서울시 동대문구 행정동별 인구수(2023년)와 증감
본문 바로가기
통계자료들

서울시 동대문구 행정동별 인구수(2023년)와 증감

by molbania3 2023. 3. 13.
반응형

한반도의 동남쪽으로 달려가는 기차의 출발역인 청량리역이 있는 동대문구의  명칭은 조선 시대의 도읍지인 한양의 동문인 흥인지문의 별칭 '동대문'으로부터 비롯되었다. 현재 동대문(흥인지문)은 종로구에 속해 있다. 동대문구의 행정 구역은 이문동, 휘경동을 포함하여 14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대문구에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울시립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서울캠퍼스, 경희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가 있다. 동대문구의 2023년 인구수와 증감, 동대문구에서 가볼 만한 곳을 알아본다.
 


서울시 자치구별 인구수(단위:명)

순서 자치구 2011년 2020년 2023년
02
1 송파구 682,209 667,960 658,868
2 강서구 569,072 580,185 568,666
3 강남구 565,710 539,231 529,962
4 노원구 603,930 523,037 502,820
5 관악구 526,397 495,060 487,430
6 은평구 493,634 479,835 465,627
7 강동구 495,138 459,970 460,280
8 양천구 500,210 454,251 440,042
9 성북구 485,171 437,153 430,170
10 서초구 433,564 425,126 405,126
11 구로구 427,468 404,408 395,422
12 중랑구 423,706 394,702 385,129
13 동작구 401,408 391,220 379,622
14 영등포구 397,443 379,480 376,410
15 마포구 389,493 371,890 365,447
16 동대문구 365,486 342,837 337,293
17 광진구 371,936 346,682 337,071
18 도봉구 365,573 325,257 310,853
19 서대문구 314,852 312,173 308,194
20 강북구 345,054 308,055 293,119
21 성동구 300,711 293,556 280,474
22 금천구 243,438 231,733 229,395
23 용산구 246,501 230,040 218,175
24 종로구 168,382 149,384 141,433
25 중구 133,193 125,240 120,555

동대문구의 인구수의 순위는 서울시의 자치구 중에서 16번째이다.  광진구와 인구수가 비슷하다.


1. 서울 동대문구 인구 추이

 

1985년 동대문구의 94만여 명이었다. 이후 성북구, 중랑구로 분구되면서 인구가 줄어들었다. 동대문구의 현재 인구수는 337,000여 명으로 광진구와 비슷한 인구수를 갖고 있다.
 
2011년 365,000여 명이던 동대문구의 인구수는 2023년 현재 337,000여 명으로 대략 28,000여 명이 줄어들었다. -7.7% 정도 감소율이다. 2020년과 비교해도 1.6% 정도 줄어 감소율이 약간 둔화되었다. 동대문구의 인구수는 서울시 전체 인구의 약 3.6% 정도를 차지한다.

구분  2011  2020  2023.02
서울시 10,249,679 9,428,372 9,427,583
동대문구 365,486 342,837 337,293

 

아무리 서울이라도 전국적인 인구감소의 시대에 역행하지 못하고 줄어들고 있으며 비슷한 감소율로 서울시의 각 자치구의 인구수도 줄어들고 있다. 참고로 서울시의 2022년 합계출산율은 0.59명이다. 전국에서 꼴찌이다.  인구가 늘어날 수가 없는 구조이다.



동대문구 인구 추이 그래프(단위:명)

동대문구 인구 추이
동대문구 인구 추이


 2. 서울 동대문구 동별 인구수

 
동대문구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동은 장안1동으로 인구수는 38,000여 명이다. 장안2동의 인구수도 32,000여 명으로 많은 편이다. 용신동의 인구수는 34,900여 명으로 동대문구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다.

경희대가 있는 회기동의 인구수는 10,500명 정도로 동대문구에서 인구수가 가장 적다. 청량리동의 인구수는 대략 18,000여 명이다.

동대문구 동별 인구수(단위:명)

동대문구 동별 인구수(단위:명)
동대문구 동별 인구수(단위:명)


3. 서울 동대문구 동별 인구증감


용신동의 인구가 늘었다. 2020년 대비하여 약 3,700여 명이 늘었고 휘경1동의 인구수도 약 385명이 늘어났다. 회기동과 휘경2동도 인구가 늘었지만 미미한 숫자이고 그 외의 지역은 모두 인구가 줄어들었다.

전농동 지역과 답십리 지역의 인구 감소가 큰데 아마도 재개발 이슈가 있어서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재개발 재건축이 마무리되면 감소한 인구수가 어느정도 회복될 것으로 보이지만  더 이상 늘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동대문구 동별 인구증감(단위:명)

2020-2023비교

구분  2011년  2020년  2023년
.02
증감
동대문구 365,486 342,837 337,293 -5,544
용신동 32,463 31,190 34,925 3,735
제기동 28,064 24,994 24,138 -856
전농
1
27,299 30,204 28,728 -1,476
전농
2
21,500 19,181 18,123 -1,058
답십리
1
20,534 29,099 28,111 -988
답십리
2
32,403 29,209 27,753 -1,456
장안
1
37,188 38,710 38,015 -695
장안
2
32,901 33,039 32,342 -697
청량리동 24,628 19,870 18,620 -1,250
회기동 11,224 10,473 10,533 60
휘경
1
17,033 13,631 14,016 385
휘경
2
25,010 24,297 24,363 66
이문
1
31,925 18,477 17,995 -482
이문
2
23,314 20,463 19,631 -832

 


4. 동대문구 가 볼 만한 곳


경동시장 - 제기동
경동시장은 서울 동대문구에 있는 재래시장으로, 대구약령시와 더불어 한국 최대의 한약재 시장이다. 청량리역과 제기동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있으며 대한민국 한약재의 70% 정도를 공급하고 있다.

경동시장 - 제기동
경동시장 - 제기동

출처 : wiki/Gyeongdong_Market-02.jpg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회기동
 
경희대학교는 1911년에 개교한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의 후신으로  해방 후 1947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수송동에 신흥무관학교의 역사와 전통을 계승한 신흥전문학원을 설립하였으며, 1949년에  2년제 신흥초급대학으로  그해 12월 4년제 신흥대학(新興大學)으로 전환하였다. 
 
1955년에는 종합대학인 신흥대학교로 승격되며 1960년에 교명을 ‘경희대학교’로 바꾸었다. 봄꽃이 아름다운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경희대학교-회기동
경희대학교-회기동

출처 : https://wiki/KHU_Seoul_Campus.jpg


선농단(先農壇)
조선 시대에 신농(神農)씨와 후직(后稷)씨를 제사 지내던 곳이다. 조선조에 임금이 친히 이곳에서 춘분과 추분에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선농제(先農祭)를 지냈으며, 가뭄이 심할 때는 기우제(祈雨祭)를 지냈다.
 
선농제를 올린 뒤에는 선농단 동남쪽에 마련된 적전(籍田)에서 왕이 친히 밭을 갈아 백성들에게 농사일의 소중함을 알리고 권농에 힘썼다. 이 친경(親耕) 행사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순종 융희 4년(1910년)까지 계속되었다.
 
현재는 4m의 장방형의 제단과 문인상만 남아 있으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오래된 선농단 향나무가 있다.

선농단(先農壇)
선농단

출처 : https://wiki/File:선농단. jpg


영휘원(永徽園)과 숭인원(崇仁園) - 청량리동
영휘원(永徽園)은 고종의 후궁인 순헌황귀비 엄 씨의 무덤이며 숭인원(崇仁園)은 의민황태자의 아들 이진의 무덤이다.

엄귀비는 증찬정(贈贊政) 엄진삼(嚴鎭三)의 장녀로 태어나 8세에 경복궁에 들어가 명성황후 민 씨의 시위상궁(侍衛尙宮)이 되었다가,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가 시해된 후 고종의 후궁(後宮)이 되어 1897년 영친왕 이은을 출산하였다. 1901년 비(妃)에 책봉되고, 이후 황귀비에 책봉되었다. 
 
이진(李晉)은 이왕세제 이은 공의 장남이다.  어머니는 일본 제국의 황족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의 딸 마사코 여왕이다. 일본 도쿄부 출생으로 조선을 방문했다가 귀국을 하루 앞두고 출생한 지 9개월도 채 안 되어 1922년 덕수궁 석조전에서 의문사하였다.


5. 동대문구 행정구역 지도

동대문구 행정구역 지도
동대문구 행정구역 지도


출처 : 이 사진은 위키백과의 동대문구 자료를 참조합니다.
본 통계자료는 통계청 자료를 참조합니다.


■■

▶ 서울시 자치구별 인구수 알아보기
 

 

서울특별시 자치구별 인구수 (2022년)

서울특별시 자치구 인구수, 2022년 기준 2010년 대비 2022년 기준 증감률 비교 1. 전국 백만이상의 도시들 NO 구분 2022년 인구수 추세 1 서울특별시 9,494,807 ▼ 2 부산광역시 3,336,737 ▼ 3 인천광역시 2,95

karl5044.tistory.com

■■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