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대한민국 인구수
2024년 12월 31일 기준 시도별 인구수와 인구증감을 알아보자. 대한민국인구는 2019년 51,849,861명의 정점을 찍고 감소하는 중이다. 2024년 12월 31일 현재 대한민국 인구수는 51,217,221명이다. 2019년 대비 약 630,000명이 줄어들었고 2023년 대비하여 약 108,000명이 줄었다.
2024년 시도별 인구수
수도권과 지방의 인구수를 비교하면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도)의 인구수는 약 2,600만 명이고 지방의 인구수는 약 2,500만 명으로 약 87만 명 정도가 수도권에 더 많이 산다.
구분 | 인구수 2024.12 |
비율 |
수도권 (서울,경기,인천) |
26,047,523 +877,825 |
50.9% +0.9% |
지방 | 25,169,698 | 49.1% |
전국 시도별 인구수를 보면
경기도의 인구수가 약 1,370만 명으로 전체의 26%를 차지하며 압도적으로 많다. 그 뒤로 서울시 약 930만 명, 부산시, 인천시, 경상남도의 인구수가 300만 명대이다.
세종시, 제주도를 제외하고 인구가 가장 적은 시도는 울산광역시로 인구수는 약 109만 명 정도이다.
행정구역 | 인구수 2024.12 |
비율 |
전국 | 51,217,221 | 100.0% |
경기 | 13,694,685 | 26.7% |
서울 | 9,331,828 | 18.2% |
부산 | 3,266,598 | 6.4% |
경남 | 3,228,380 | 6.3% |
인천 | 3,021,010 | 5.9% |
경북 | 2,531,384 | 4.9% |
대구 | 2,363,629 | 4.6% |
충남 | 2,136,574 | 4.2% |
전남 | 1,788,819 | 3.5% |
전북 | 1,738,690 | 3.4% |
충북 | 1,591,177 | 3.1% |
강원 | 1,517,766 | 3.0% |
대전 | 1,439,157 | 2.8% |
광주 | 1,408,422 | 2.7% |
울산 | 1,098,049 | 2.1% |
제주 | 670,368 | 1.3% |
세종 | 390,685 | 0.8% |
시도별 인구수 그래프
그래프를 보면 서울, 경기도의 인구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년도(2023년) 비교 인구 증감
2023년 대비하여 인구가 증가한 시도는 인천시, 세종시, 경기도, 충청남도이며 서울시, 부산시, 경남, 경북의 인구가 많이 줄었다.
구분 | 2023 | 2024.12 | 증감 |
전국 | 51,325,329 | 51,217,221 | -108,108 |
서울 | 9,386,034 | 9,331,828 | -54,206 |
부산 | 3,293,362 | 3,266,598 | -26,764 |
대구 | 2,374,960 | 2,363,629 | -11,331 |
인천 | 2,997,410 | 3,021,010 | 23,600 |
광주 | 1,419,237 | 1,408,422 | -10,815 |
대전 | 1,442,216 | 1,439,157 | -3,059 |
울산 | 1,103,661 | 1,098,049 | -5,612 |
세종 | 386,525 | 390,685 | 4,160 |
경기 | 13,630,821 | 13,694,685 | 63,864 |
강원 | 1,527,807 | 1,517,766 | -10,041 |
충북 | 1,593,469 | 1,591,177 | -2,292 |
충남 | 2,130,119 | 2,136,574 | 6,455 |
전북 | 1,754,757 | 1,738,690 | -16,067 |
전남 | 1,804,217 | 1,788,819 | -15,398 |
경북 | 2,554,324 | 2,531,384 | -22,940 |
경남 | 3,251,158 | 3,228,380 | -22,778 |
제주 | 675,252 | 670,368 | -4,884 |
2019년(최대 인구) 비교 인구 증감
대한민국 최대 인구였던 2019년과 비교하여 인구 증감을 알아보면
전국적으로 약 63만 명이 줄어들었고 수도권에서는 서울시의 인구가 약 40만 명이 줄었고 경기도, 인천시의 인구는 각각 45만, 6만여 명이 늘어났다.
지방에서는 경상북도의 인구가 가장 많은 비율(-5%)로 줄어들었다. 그 뒤로 부산시 -4.3%, 울산시 -4.4%, 전북, 전남, 경북, 경남의 인구감소가 크다.
구분 | 2019 | 2024.12 | 증감 |
전국 | 51,849,861 | 51,217,221 | -632,640 -1.2% |
서울 | 9,729,107 | 9,331,828 | -397,279 -4.1% |
부산 | 3,413,841 | 3,266,598 | -147,243 -4.3% |
대구 | 2,438,031 | 2,363,629 | -74,402 -3.1% |
인천 | 2,957,026 | 3,021,010 | 63,984 |
광주 | 1,456,468 | 1,408,422 | -48,046 |
대전 | 1,474,870 | 1,439,157 | -35,713 |
울산 | 1,148,019 | 1,098,049 | -49,970 -4.4% |
세종 | 340,575 | 390,685 | 50,110 |
경기 | 13,239,666 | 13,694,685 | 455,019 +3.4% |
강원 | 1,541,502 | 1,517,766 | -23,736 |
충북 | 1,600,007 | 1,591,177 | -8,830 |
충남 | 2,123,709 | 2,136,574 | 12,865 |
전북 | 1,818,917 | 1,738,690 | -80,227 -4.4% |
전남 | 1,868,745 | 1,788,819 | -79,926 -4.3% |
경북 | 2,665,836 | 2,531,384 | -134,452 -5.0% |
경남 | 3,362,553 | 3,228,380 | -134,173 -4.0% |
제주 | 670,989 | 670,368 | -621 |
종합적으로 2019년 대비하여 지방(서울 포함)의 인구는 약 120만 명이 줄었고 그중 약 55만 명은 경기도, 인천으로 이동했고 약 63만 명은 자연감소로 볼 수 있다.
'통계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서울시 구별 청년 노인인구 비율 (0) | 2025.01.10 |
---|---|
2024년 서울시 구별 인구순위와 증감 (0) | 2025.01.09 |
2024년 전국 시도별 노인인구 비율 (0) | 2025.01.08 |
2024년 전국 시도별 노인 및 청년인구 비율 (0) | 2024.09.03 |
2024년 6월 충청남도 지방소멸 위험지역과 소멸지도 (0) | 2024.08.30 |
충청북도 시군별 인구수 - 2024년 6월 (0) | 2024.08.20 |
충청북도 지방소멸 위험지역과 소멸지도 - 2024년 6월 (0) | 2024.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