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연령별 세대별 인구수(2024년)
본문 바로가기
통계자료들

대한민국 연령별 세대별 인구수(2024년)

by molbania3 2025. 1. 18.
반응형

대한민국 세대별 연령별 인구수

2024년 12월 기준(통계청)

 

대한민국 인구수 2024년

2021년과 비교하여 2022에는 약 20만 명 정도 줄었습니다.  2022년과 비교하여 2023년에는 약 113,000여 명이 줄었고  2024년에는 2023년 대비 약 10만 명이 줄었습니다. 

 

대한민국 최고 인구였던 2019년 대비하여 2024년 현재 약 63만 명이 줄었습니다.

연도 인구수 증감
2019 51,849,861  
2020 51,829,023 ▼20,838
2021 51,638,809 ▼190,214
2022 51,439,038 ▼199,771
2023 51,325,329 ▼113,709
2024 51,217,221 ▼108,108

 

 

▶ 출생연도별 인구수

▶ 2024년 시도별 인구수

▶ 전 세계 국가별 인구수


 

2024년 대한민국 세대별 인구수 

우리나라의 40-50대 중년 인구수는 1600만 명(31%)이다.  노인인구 비율(65세 이상)은 20%이지만 실제로 60세 이상의 노인 세대는 약 30%(1,500만 명) 정도이다. 

 

반면 20-30세 청년인구는 24%(1,200만 명) 정도이다. 그리고 20세 이하 인구는 약 700만 명(14%)에 불과하다.

2024년 대한민국 세대별 인구수
2024년  세대별 인구수


2024년 세대별  인구수 

대한민국 세대별 인구의 가장 큰 특징은 '나이가 적을수록 인구수도 적다'는 말입니다. 이는 대한민국 사회, 경제적으로 많은 문제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최소한 50대 이상의 인구 모두 사망하는 30년 후(2055년)에나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보일 것이다. 

세대 전체 비율
100~ 12,801 0.02%
90 435,310 0.85%
80 2,264,887 4.42%
70 4,595,105 8.97%
60 7,967,887 15.56%
50 8,658,873 16.91%
40 7,592,677 14.82%
30 6,679,353 13.04%
20 5,685,455 11.10%
10 4,630,063 9.04%
0세대 2,694,810 5.26%
합계 51,217,221 100%

 


2024년 세대별 남녀 인구수 

전체 인구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약  0.8% (약 22만 명) 더 많다.  10대에서 50대까지는 남성인구가 많고 60대가 넘어가면 여성 인구가 더 많아진다.

 

특히 80세 이상에서는 여성 인구가 급격히 많아진다.  여성이 더 오래 산다는 결론을 알 수 있다.

세대 남자 여자 여성
비율
100~ 2,156 10,645 83%
90 108,600 326,710 75%
80 863,114 1,401,773 62%
70 2,136,584 2,458,521 54%
60 3,940,920 4,026,967 51%
50 4,372,190 4,286,683 49.5%
40 3,866,755 3,725,922 49%
30 3,496,166 3,183,187 48%
20 2,953,306 2,732,149 48%
10 2,377,619 2,252,444 49%
0세대
1~9세
1,380,914 1,313,896 49%
합계 25,498,324 25,718,897 50.2%

2024년 연령별(2025년 기준 나이) 인구수 

 

0세대(1세~9세) 연령별 인구수 

2024년에 태어나 1세(2025년 기준)가 된 아이들의 수는 235,300명 수준으로 작년보다 약간 늘었다. 그래도 1세의 인구수는 1942년에 태어난 84세(2025년 기준) 어르신의 인구수(253,302명) 보다 적다.

연령별 인구수 남자 여자
2016년생  
9
413,851 211,682 202,169
2017년생  
8
365,050 187,845 177,205
2018년생
 7
334,145 171,369 162,776
2019년생
 6
309,988 159,146 150,842
2020년생
 5
279,924 143,167 136,757
2021년생  
4
267,456 137,079 130,377
2022년생
 3
254,654 130,169 124,485
2023년생
 2
234,405 120,019 114,386
2024년생  
1
235,337 120,438 114,899
0세대
소계
2,694,810 1,380,914 1,313,896

 

반응형

10대(10세~19세) 연령별 인구수 

10대의 인구는 대략 40만 명의 인구수를 유지하고 있다.

연령별 인구수 남자 여자
2006년생  
19
448,543 231,371 217,172
2007년생  
18
495,166 254,193 240,973
2008년생  
17
468,559 240,812 227,747
2009년생  
16
448,184 230,581 217,603
2010년생  
15
473,881 244,168 229,713
2011년생  
14
476,596 244,417 232,179
2012년생  
13
490,336 251,513 238,823
2013년생  
12
442,088 226,397 215,691
2014년생  
11
441,402 226,021 215,381
2015년생
 10
445,308 228,146 217,162
10대
소계
4,630,063 2,377,619 2,252,444

 


 

20대(20~29세) 연령별 인구수 

20대 초반의 인구수는 40만 명대, 20대 후반의 인구는 약 60만 명 대의 인구수를 유지하고 있다. 2001년생에 이르러 출생아수는 50만 명으로 떨어졌고  23세(2002년 생)의 인구에서 40만 명 대로 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대한민국 인구감소의 시작점이  2000년대 초반이었음을 알 수 있다. 

연령별 인구수 남자 여자
1996년생  
29
681,868 357,121 324,747
1997년생  
28
667,939 344,999 322,940
1998년생  
27
636,549 331,609 304,940
1999년생  
26
616,775 320,665 296,110
2000년생
 25
636,135 331,382 304,753
2001년생
 24
556,481 288,861 267,620
2002년생  
23
492,239 256,317 235,922
2003년생  
22
491,115 254,246 236,869
2004년생  
21
471,844 243,821 228,023
2005년생  
20
434,510 224,285 210,225
20대
소계
5,685,455 2,953,306 2,732,149

30대(30~39세) 연령별 인구수 

1980년대 출생아가 잠깐 감소했다가 1992년에 이르러 잠깐 인구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90년 대 생의 청년들이 결혼하고 출산하는 2024년 시점에서 출생아 수가 아주 적게나마 증가한 결과로 나타났다.

연령별 인구수 남자 여자
1986년생  
39
625,732 323,716 302,016
1987년생  
38
616,111 314,501 301,610
1988년생  
37
624,255 325,100 299,155
1989년생  
36
629,332 326,468 302,864
1990년생  
35
638,888 337,691 301,197
1991년생
 34
699,943 365,473 334,470
1992년생
 33
722,490 379,722 342,768
1993년생  
32
707,440 375,031 332,409
1994년생
 31
710,451 376,961 333,490
1995년생
 30
704,711 371,503 333,208
30대
소계
6,679,353 3,496,166 3,183,187

40대(40세~49세) 연령별 인구수 

40대의 연령별 인구수는 60~80만 명 정도이다. 40대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이는  1981년생(2025년 기준 44세)이다.

연령별 인구수 남자 여자
1976년생
 49
753,629 384,882 368,747
1977년생  
48
770,890 386,811 384,079
1978년생  
47
715,135 368,747 346,388
1979년생
 46
820,303 413,295 407,008
1980년생
 45
829,962 422,606 407,356
1981년생
 44
833,847 425,525 408,322
1982년생
 43
816,621 415,488 401,133
1983년생  
42
743,698 379,322 364,376
1984년생
 41
658,671 336,764 321,907
1985년생  
40
649,921 333,315 316,606
40대
소계
7,592,677 3,866,755 3,725,922

50대(50세~59세) 연령별 인구수 

2차 베이이붐 세대인 50대의 인구가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다. 이들 인구수(약 860만 명)로 한 국가를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현재 연령별 인구가 가장 많은 나이는 1971년 생(2025년 기준 54세)으로 현재 인구수는  약 926,200명이다. 이들은 100만 명 이상이 태어났다.

연령별 인구수 남자 여자
1966년생  
59
794,467 411,796 382,671
1967년생  
58
840,885 413,180 427,705
1968년생
 57
905,496 452,015 453,481
1969년생
 56
904,839 454,189 450,650
1970년생  
55
900,755 456,245 444,510
1971년생  
54
926,217 470,941 455,276
1972년생  
53
880,074 449,412 430,662
1973년생
 52
880,162 440,746 439,416
1974년생  
51
845,911 430,986 414,925
1975년생  
50
780,067 392,680 387,387
50대
소계
8,658,873 4,372,190 4,286,683

60대(60~69세) 연령별 인구수 

60대의 인구도 약 800만 명 정도이며 특별히 60대에 이르면 여성인구가 많아지기 시작한다. 이는 60대에 이르러 남성들의 사망이 많아지기 시작된다는 말이다. 현재 60대의 사망률은 21% 정도이다. (2024년 기준 연령별 사망률 참조 

연령별 인구수 남자 여자
1956년생  
69
658,457 318,929 339,528
1957년생  
68
733,263 359,232 374,031
1958년생
 67
742,363 365,419 376,944
1959년생
 66
814,596 397,854 416,742
1960년생  
65
885,571 432,747 452,824
1961년생
 64
879,639 433,229 446,410
1962년생
 63
850,523 428,356 422,167
1963년생  
62
767,375 387,341 380,034
1964년생
 61
808,536 406,052 402,484
1965년생  
60
827,564 411,761 415,803
60대
소계
7,967,887 3,940,920 4,026,967

70대(70~79) 연령별 인구수 

70대의 인구가 460만 명이다. 10대 인구수 460만 명과 비슷하다.  무시할 만한 수준의 인구가 아니며 이들의 정치적 목소리가 무척 크다.  현재 70대의 사망률은 37%(2024년 기준)이다. 

연령별 인구수 남자 여자
1946년생
 79
310,514 138,114 172,400
1947년생  
78
397,170 176,740 220,430
1948년생
 77
400,233 182,485 217,748
1949년생
 76
408,805 187,236 221,569
1950년생  
75
409,126 189,170 219,956
1951년생  
74
387,886 180,670 207,216
1952년생  
73
538,274 252,878 285,396
1953년생  
72
491,599 231,612 259,987
1954년생  
71
573,038 276,279 296,759
1955년생  
70
678,460 321,400 357,060
70대
소계
4,595,105 2,136,584 2,458,521

80대(80~89)  연령별 인구수 

80세부터는 사망률(60%)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80대의 인구는 70대의 50% 수준으로 감소한다. 그래도 2백만 명 이상의 인구구성을 가지고 있다. 보수가 표를 위해서라도 계속하여 노인들을 공경해야만 하는 이유이다.

연령별 인구수 남자 여자
1936년생
 89
127,411 39,025 88,386
1937년생  
88
148,723 48,127 100,596
1938년생
 87
173,422 58,776 114,646
1939년생  
86
205,355 72,579 132,776
1940년생  
85
211,640 77,263 134,377
1941년생  
84
253,302 96,668 156,634
1942년생  
83
321,363 127,195 194,168
1943년생  
82
272,939 110,257 162,682
1944년생  
81
280,780 116,606 164,174
1945년생  
80
269,952 116,618 153,334
80대
소계
2,264,887 863,114 1,401,773

 


90대 이상 연령별 인구수 

90세 이상의 연령대에서의 특이점은 할머니들이  할아버지들보다 22만 명 이상 더 많다.  90대의 노인들 중에서 여성 비율은 무려 75% 이상이다. 100세 이상 노인들 중에서 여성 비율은 83% 정도이다.

연령별 인구수 남자 여자
1924~
101~
8,577 1,525 7,052
1925년생
100
4,224 631 3,593
1926년생
 99
6,369 1,020 5,349
1927년생
 98
10,996 1,871 9,125
1928년생  
97
15,836 2,871 12,965
1929년생  
96
22,258 4,593 17,665
1930년생  
95
28,825 5,731 23,094
1931년생  
94
37,064 8,117 28,947
1932년생  
93
52,589 12,542 40,047
1933년생
 92
65,163 16,595 48,568
1934년생  
91
86,601 23,586 63,015
1935년생  
90
109,609 31,674 77,935
90대 소계 448,111 110,756 337,355

■■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