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강원도 동해시 행정동별 인구수
동해시 인구수 : 87,675명(2024년 12월)
노인인구비율 : 25%(2024)
합계출산율 : 0.949(2023)
전체인구수 | 87,675 | 비율 |
청년인구 20-39세 |
16,248 | 19% |
노인인구 65세이상 |
21,889 | 25% |
신생아 2024년 |
359명 | 2.2% |
합계출산율 2023 |
0.949 |
동해시 연도별 인구 변동
2024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동해시 인구수는 약 87,000명이다. 2021년에 9만 명의 인구 규모가 8만 명대로 떨어졌고 계속 감소 중이다.
연도 | 인구 | 전년대비 |
2024 | 87,675 | ▼950 -1.1% |
2023 | 88,625 | ▼801 -0.9% |
2022 | 89,426 | ▼655 |
2021 | 90,081 | ▼512 |
2020 | 90,593 | 71 |
2019 | 90,522 | ▼750 |
2018 | 91,272 | ▼1,579 |
2017 | 92,851 | ▼446 |
2016 | 93,297 | ▼598 |
2015 | 93,895 | ▼667 |
2014 | 94,562 | ▼581 |
2013 | 95,143 | 1,246 |
2012 | 93,897 | ▼1,907 |
2011 | 95,804 |
매년 약 1%의 인구가 감소 중이다. 50년 후 2070년에 가면 동해시의 인구는 현재의 반토막이 될 것으로 보인다. 동해시도 마찬가지로 지방 중소 도시의 인구감소가 시작된 듯하다.
동해시 행정동별 인구
동해시의 경우 새로 아파트가 들어선 북삼동, 공단이 있는 북평동 그리고 천곡동 세 지역의 인구수가 동해시 전체인구의 70% 수준이다. 반면 구도심 지역의 인구수는 2~4천여 명 정도이다.
천곡동의 인구가 약 3만 명으로 가장 많고 삼화동의 인구는 2,400여 명으로 가장 적다.
구분 | 2024 | 비율 |
동해시 | 87,675 | 100.0% |
천곡동 | 29,012 | 33.1% |
북삼동 | 21,373 | 24.4% |
북평동 | 13,091 | 14.9% |
동호동 | 4,711 | 5.4% |
부곡동 | 4,653 | 5.3% |
송정동 | 3,420 | 3.9% |
망상동 | 3,213 | 3.7% |
발한동 | 3,009 | 3.4% |
묵호동 | 2,706 | 3.1% |
삼화동 | 2,487 | 2.8% |
2024년 동해시 동별 인구 그래프
동해시 인구 변동
10년 전 2014년 대비 2024년 인구 증감
2014년 대비 유일하게 북평동의 인구가 늘었고 북삼동을 제외한 나머지 전 지역의 인구는 적게는 7%, 많게는 30% 이상 감소 했다. 발한동의 감소가 가장 크다.
구분 | 2014 | 2024 | 증감 | 비율 |
동해시 | 94,562 | 87,675 | ▼6,887 | -7.3% |
천곡동 | 31,351 | 29,012 | ▼2,339 | -7.5% |
송정동 | 4,931 | 3,420 | ▼1,511 | -30.6% |
북삼동 | 21,715 | 21,373 | ▼342 | -1.6% |
부곡동 | 6,366 | 4,653 | ▼1,713 | -26.9% |
동호동 | 4,750 | 4,711 | ▼39 | -0.8% |
발한동 | 4,607 | 3,009 | ▼1,598 | -34.7% |
묵호동 | 3,996 | 2,706 | ▼1,290 | -32.3% |
북평동 | 9,680 | 13,091 | 3,411 | 35.2% |
망상동 | 3,512 | 3,213 | ▼299 | -8.5% |
삼화동 | 3,654 | 2,487 | ▼1,167 | -31.9% |
2014년 대비 30% 이상 감소한 지역은 송정동, 발한동, 묵호동, 삼화동 지역이다.
전년(2023년) 대비 2024년 인구 증감
전년과 비교하면 동해시의 인구는 약 1,000여 명이 감소했다. 북삼동을 제외한 전 지역이 감소 중이다. 지역 내에서의 인구 이동도 심한 것 같다.
일부지역의 인구 감소비율도 -3~4% 정도로 감소폭도 크다.
구분 | 2023 | 2024 | 증감 | 비율 |
동해시 | 88,625 | 87,675 | ▼950 | -1.1% |
천곡동 | 30,102 | 29,012 | ▼1,090 | -3.6% |
송정동 | 3,505 | 3,420 | ▼85 | -2.4% |
북삼동 | 19,912 | 21,373 | 1,461 | 7.3% |
부곡동 | 4,791 | 4,653 | ▼138 | -2.9% |
동호동 | 4,881 | 4,711 | ▼170 | -3.5% |
발한동 | 3,150 | 3,009 | ▼141 | -4.5% |
묵호동 | 2,798 | 2,706 | ▼92 | -3.3% |
북평동 | 13,479 | 13,091 | ▼388 | -2.9% |
망상동 | 3,364 | 3,213 | ▼151 | -4.5% |
삼화동 | 2,643 | 2,487 | ▼156 | -5.9% |
매년 인구가 3~4%씩 준다는 것은 그 지역이 슬럼화된다는 의미이다. 축소사회 시대, 몰락하는 중소 지방도시의 운명이다. ■
'통계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짐 로저스가 경고한 30년 후 한국소멸 맞아? (0) | 2025.02.19 |
---|---|
2024년 시도별 출생아 수 순위 (0) | 2025.02.17 |
2024년 강원도 삼척시 읍면별 인구와 증감 (0) | 2025.02.17 |
2024년 태백시 동별 인구수와 변동 (0) | 2025.02.17 |
2024 속초시 동별 인구수와 증감 (0) | 2025.02.16 |
2024년 강원도 양양군 읍면별 인구수 (0) | 2025.02.16 |
대한민국 연령별 세대별 인구수(2024년) (0) | 202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