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시도별 출생아 수 순위
본문 바로가기
통계자료들

2024년 시도별 출생아 수 순위

by molbania3 2025. 2. 17.
반응형

전국 시도별, 시군구별 출생아 순위
2024년



전국 연도별 출생아 추이

꾸준히 감소하던 출생아는 2024년에 이르려 약 5,300여 명, 2.3% 정도 증가했다.정부 당국은 드디어 인구 감소가 멈추었다고 환호성을 질렀다.
 
저출산대책의 정책이 적중하여 출산율이 반등했다면 긍정적인 것이긴 하다. 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사망자 수도 늘어난다. 아래 그래프(1981~2024까지 출생아 수)에서 볼 수 있듯이, 짐로저스가 경고한 것처럼 대한민국의 인구는 소멸로 가는 중이다.

 

🔽짐로저스의 한국소멸 경고에 대한 자료

연도별 출생아수


전국 연도별 출생아 추이

연도  출생아수
()
전년대비
증감
2024 235,337 5,309
 2023 230,028 19,158
 2022 249,186 11,376
 2021 260,562 11,775
 2020 272,337 30,339
 2019 302,676 24,146
 2018 326,822 30,949
 2017 357,771 48,472
 2016 406,243 32,177
 2015 438,420 2,985
 2014 435,435 1,020
 2013 436,455 48,095
 2012 484,550 13,285
 2011 471,265 1,094
 2010 470,171 25,322
 2009 444,849 21,043
 2008 465,892 30,930
 2007 496,822 45,063
 2006 451,759 13,052
 2005 438,707 38,251
 2004 476,958 18,078
 2003 495,036 1,875
 2002 496,911 63,023
 2001 559,934 80,155
 2000 640,089 19,421
 1999 620,668 20,926
 1998 641,594 33,800
 1997 675,394 15,832
 1996 691,226 23,794
 1995 715,020 6,165
 1994 721,185 5,359
 1993 715,826 14,852
 1992 730,678 21,403
 1991 709,275 59,537
 1990 649,738 10,307
 1989 639,431 6,339
 1988 633,092 9,261
 1987 623,831 12,188
 1986 636,019 19,470
 1985 655,489 19,304
 1984 674,793 94,362
 1983 769,155 79,157
 1982 848,312 19,097
 1981 867,409  

 


2024년 시도별 출생아 순위

 
2024년 기준 전국 시도별 출생아 수이다. 인구가 많은 시도에서 출생아 수가 많은 것은 당연하다. 경기도의 출생아 수가 약 71,400여 명(전체 30%)으로 압도적으로 많다.

2024년에 제주, 세종시를 제외하면 울산광역시에서 가장 적게 아이들이 태어났다.

시도 출산율
2023
출생아수
2024
 전국 0.721 235,337
 경기도 0.766 71,451
 서울시 0.552 39,588
 인천시 0.694 15,433
 경상남도 0.799 12,941
 부산시 0.664 12,847
 대구시 0.702 10,090
 경상북도 0.860 10,083
 충청남도 0.842 9,740
 전라남도 0.972 8,084
 충청북도 0.886 7,508
 대전시 0.787 7,226
 전라북도 0.780 6,676
 강원도 0.893 6,521
 광주시 0.706 6,020
 울산시 0.814 5,182
 제주도 0.827 3,125
세종시 0.971 2,822

 

🔽 전국 시군구별 합계출산율 순위


전국 시군구별 출생아 수 Top 10

순위  시군구  출생아수
2024
1 경기 화성시 7,186
2 경기 수원시 6,396
3 경기 용인시 5,400
4 경기 고양시 5,157
5 충북 청주시 4,834
6 경기 성남시 4,527
7 경남 창원시 4,352
8 인천 서구 4,235
9 경기 평택시 4,031
10 충남 천안시 3,420

 

반응형

시군구별 출생아 수 Bottom 10

순위  시군구  출생아수
2024
1 경북 영양군 24
2 경북 울릉군 33
3 경북 봉화군 47
4 인천 옹진군 49
5 전남 구례군 51
6  부산 중구 52
7 충북 증평군 54
8  전북 무주군 57
9 대구 군위군 58
10 경남 산청군 59

 

🔽전국 시도별 합계출산율 순위



 서울시 구별 출생아수 순위


서울시 구별 출생아수는 거의 인구에 비례한다. 송파구의 인구가 가장 많고 가장 많은 아이가 태어났다. 그 뒤로 강서구, 강동구 순이다. 이 지역들은 인구도 많다.

인구수가 적은 종로구, 중구의 출생아 수가 가장 적다. 특별히 청년 비율이 높은 관악구, 광진구, 서대문, 동대문구의 출생아 수가 적다. 이들 지역은 합계출산율도 낮다.

 시군구  출생아수
2024
 서울시 39,588
 송파구 3,054
 강서구 2,554
 강동구 2,476
 강남구 2,397
 영등포구 2,043
 구로구 2,004
 노원구 1,967
 서초구 1,784
 은평구 1,762
 성북구 1,722
 동작구 1,670
 중랑구 1,630
 마포구 1,624
 성동구 1,553
 양천구 1,509
 동대문구 1,434
 관악구 1,375
 서대문구 1,374
 광진구 1,172
 도봉구 992
 용산구 962
 금천구 820
 강북구 741
 중구 548
 종로구 421

부산시 자치구별 출생아 순위

부산진구의 출생아가 가장 많다. 해운대구, 동래구, 북구 정도가 2024년 출생아 수가 1천 명을 넘겼고 나머지 자치구의 출생아 수는 1천 명 이하이다.

부산 중구의 2024년 출생아수는 52명으로 전국 출생아 순위에서 밑에서 6번째이다. 중구는 인구구모도 작다.

 시군구 출생아수
2024
 부산시 12,847
 부산진구 1,547
 해운대구 1,432
 동래구 1,226
 북구 1,137
 사하구 985
 강서구 969
 연제구 955
 남구 890
 기장군 861
 사상구 656
 수영구 634
 금정구 525
 동구 363
 서구 310
 영도구 305
 중구 52
전국 하위 6위

 


대구시 2024년 지역별 출생아 수

인구가 많은 지치구에서 출생아 수도 많다.  2023년에 편입된 군위군의 출생아 수는 58명으로 전국 밑에서 9위이다.

 시군구  출생아수
2024
 대구시 10,090
 달서구 2,024
 북구 1,683
 동구 1,645
 달성군 1,543
 수성구 1,320
 중구 799
 서구 594
 남구 424
 군위군 58
전국 하위 9위

 


인천시 지역별 출생아 수


2024년 기준으로 인천 서구의 출생아수가 가장 많다. 서구의 출생아수는 전국 시군구의 7위이다.  옹진군의 2024년 출생아 수가 59명이다. 이는 전국 시군구의 4위이다. 강화군, 인천 동구의 출생아 수도 매우 적다,

 시군구  출생아수2024
 인천시 15,433
 서구 4,235
전국 8위
 부평구 2,563
 연수구 2,272
미추홀구 2,075
 남동구 1,742
 중구 1,046
 계양구 1,000
 강화군 240
 동구 211
 옹진군 49
전국 하위 4위

 


광주시  지역별 출생아 수

 시군구 출생아수
2024
 광주시 6,020
 북구 1,898
 광산구 1,850
 서구 983
 남구 693
 동구 596

 


 대전시 출생아 수

 시군구  출생아수
2024
 대전시 7,226
 유성구 2,431
 서구 2,136
 동구 1,043
 중구 868
 대덕구 748

 


 2024년 울산시 출생아 수

울주군의 2024년 출생아 수는 1,037명이다.

 시군구  출생아수
2024
 울산시 5,182
 남구 1,347
 북구 1,295
 울주군 1,037
 중구 856
 동구 647

 


세종시 출생아 수

 시군구  출생아수
2024
세종시 2,822

 


2024년 경기도 출생아 수


경기도에서 2024년 출생아 수가 가장 많은 지역는 화성시이다. 젊은 부부들이 많이 모여 사는 곳이다. 화성시의 2024년 출생아 수는 7,186명으로 전국 시군구에서 1위이다. 수원시. 용인시, 고양시의 출생아 수가 전국 상위권이다. 

 

연천. 가평, 여주, 동두천등 상대적으로 개발이 덜 된 지역의 출생아 수는 많이 적은 편이다. 인구 자체가 적으며 젊은 부부도 적을 것으로 보인다.

 시군구 출생아수
2024
 경기도 71,451
화성시 7,186
전국 1위
 수원시 6,396
전국 2위
 용인시 5,400
전국 3위
 고양시 5,157
전국 4위
 성남시 4,527
전국 6위
 평택시 4,031
전국 9위
 안양시 3,369
 남양주시 3,343
 부천시 3,179
 시흥시 3,002
 파주시 2,671
 김포시 2,564
 안산시 2,530
 의정부시 2,087
광주시 2,079
 하남시 2,034
양주시 1,770
 광명시 1,362
 오산시 1,317
 군포시 1,177
 이천시 1,112
 의왕시 928
 안성시 821
 구리시 801
 과천시 673
포천시 472
 양평군 417
여주시 413
 동두천시 248
 가평군 236
 연천군 149

 


강원도 출생아 수


원주, 춘천을 제외하고 전 지역의 출생아수가 1천 명 이하이다. 2024년 출생수가 100명 이하인 지역은 횡성군, 평창군, 양양, 태백시, 정선군, 영월군이다. 영월군의 출생아수는 70명으로 강원도에서 가장 적다.

 시군구  출생아수
2024
 강원도 6,521
 원주시 1,862
 춘천시 1,430
 강릉시 755
 속초시 370
 동해시 347
 삼척시 231
 홍천군 227
 철원군 205
 인제군 187
 화천군 145
 고성군 119
 양구군 110
 횡성군 100
 평창군 99
 양양군 93
 태백시 93
 정선군 78
 영월군 70

 


충청북도 2024년 출생아 수

충주시의 신생아 수는 4,800여 명으로 전국 시군구의 4위이다. 반면 증평군의 출생아 수는 54명으로 전국 하위 8위이다.

 시군구  출생아수
2024
 충청북도 7,508
 청주시 4,834
전국 5위
 제천시 1,056
충주시 736
 괴산군 496
 단양군 279
 진천군 204
 옥천군 106
 영동군 86
 보은군 70
 음성군 67
 증평군 54
전국 하위 7위

 


충남 지역별 출생아수

 시군구  출생아수
2024
 충청남도 9,740
 천안시 3,420
전국 10위
 아산시 2,193
당진시 867
 서산시 811
 홍성군 452
 논산시 367
 예산군 302
 공주시 275
 보령시 274
계룡시 229
 태안군 152
 서천군 113
 부여군 112
 금산군 111
 청양군 62

 


 
2024년  전북 출생아수


고창군의 한해 출생아 수는 150명 정도 하루에 1명도 태어나지 않는다. 산부인과가 영업을 할 수가 없을 것이다. 임실. 순창, 무주, 진안, 장수군의 출생아 수는 한 해에 100명이 넘지 않는다. 특히 무주군은 전국 하위 8위이다.

 시군구  출생아수
2024
 전라북도 6,676
 전주시 2,592
 군산시 964
 익산시 960
 완주군 541
 김제시 345
 정읍시 334
 남원시 259
 고창군 149
 부안군 143
 임실군 92
 순창군 91
 진안군 88
 장수군 61
 무주군 57
전국 하위 8위

 


 전라남도 2024년 신생아 수


여수, 순천 지역이 전넘에서 출생아수 순위 1, 2위이다. 나머지 지역은 100명 미만이고 진도, 신안, 곡성, 구례군은 100명이 안된다.

특히 구례군의 2024년 출생아수는 51명으로 전국에서 하위 5위이다. 

 시군구  출생아수
2024
 전라남도 8,084
 순천시 1,438
 여수시 1,173
 광양시 935
 나주시 775
 목포시 759
 무안군 561
 영광군 363
 화순군 243
 해남군 219
 장성군 191
 고흥군 179
 영암군 162
 완도군 157
 강진군 155
 담양군 145
 장흥군 111
 보성군 107
 함평군 105
 진도군 92
 곡성군 83
 신안군 80
 구례군 51
전국 하위 5위

 


2024년 경상북도 출생아 순위


포항, 구미, 경산지역에서는 1천 명 이상의 신생아가 태어났다. 이 3 지역의 출생아수가 경북 출생아의 50% 이상이다.

 

농어촌지역의 출산율은 100명 이하가 대부분이다.

 시군구  출생아수
2024
 경상북도 10,083
 포항시 2,225
 구미시 1,967
 경산시 1,178
 경주시 895
 김천시 599
 안동시 549
 영천시 432
 영주시 316
 칠곡군 292
 예천군 272
 상주시 268
 문경시 232
 울진군 185
 성주군 135
 의성군 134
 청도군 83
 영덕군 76
 고령군 72
 청송군 69
 봉화군 47
전국 하위 3위
 울릉군 33
전국 하위 2위
 영양군 24
전국 하위 1위

 
출생아가 100명 이하 지역은 청도군, 영덕, 고령군, 청송, 봉화군, 울릉군, 영양군이다. 인구 소멸 고위험 지역에 속하는 지역이다. 영양군의 2024년 출생아 수는 24명으로 전국에서 꼴찌이다.


경남 시군별 출생아  순위


창원시의 2024년 출생아 수는 4,300여 명으로 경남 전체의 30% 수준이고 전국 시군구별 순위에서 10위이다.

 시군구  출생아수
2024
 경상남도 12,941
창원시 4,352
전국 7위
 김해시 2,362
 양산시 1,774
 진주시 1,644
 거제시 846
 사천시 406
 통영시 311
 밀양시 274
 거창군 242
 창녕군 139
 함안군 115
 합천군 75
 고성군 75
 하동군 70
 남해군 70
 의령군 64
 함양군 63
 산청군 59
전국 하위 10위

 
경남에서는 한해에 출생아수가 100명이 안 되는 지역이 7개 지역이다. 최근 경남의 인구유출과 인구감소가 심각하다고 한다.


제주도 지역

 시군구  출생아수
2024
 제주도 3,125
 제주시 2,452
 서귀포시 673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