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후(2055년) 한국소멸
짐 로저스가 경고한 한국소멸에 대한 수치를 확인해 본다. 2월 18일 한국 해양심층수업체의 투자 협의로 들어와 JTBC와 인터뷰 중에 한국의 저출생으로 인한 인구소멸을 경고했다.
"한국의 투자처는?"
"무엇인가를 하지 않으면 한국은 30년 뒤 소멸할 것이다. 정부도, 국민도 아무 생각이 없다는 것이다. 투자할 곳이 있겠냐!"
이에 정말로 한국은 저출산으로 인구소멸을 할 것인지 현재의 인구 지표를 산술적으로만 계산해 본다. 현재 매년 100,000명씩 감소 중이다. 그대로 30년 후면 인구는 3백만 명이 줄겠지만 이 정도로는 인구소멸을 경고하지 않는다. 문제는 단순하지 않다.
결론은
짐로저스라고 해도 뽀족한 수가 없다는 말이다.
현재 인구지표 상황
먼저 2024년 합계출산율은 0.752(비공식) 정도로 2023년 보다 높아졌다. 고무적이긴 하지만 일시적인 현상으로 본다.
아래 지표에서 사망률과 출생률을 기억하고 2055년까지 사망자와 출생아를 계산해 본다. (자료 : 2024년 12월 31일 기준 통계청)
구분 | 2024 | 증감 |
인구수 | 51,217,221 | ▼108,108 |
출생아수 | 235,337 | 3.91% 가임여성 대비 |
사망자수 | 343,445 | 3.53% 노인대비 |
(노인사망) | 293,251 | 3.01% |
(일반사망) | 50,194 | 0.51% |
노인인구 65세이상 |
10,256,782 | 20% |
가임여성수 20-39세 |
6,021,717 | 12% |
생산가능 인구수 15-64세 |
35,496,018 | ▼435,039 |
2024년 연령별 인구수
🔽연령별 인구수는 2024 연령별 인구수 페이지를 참조
2055년까지 출생아 수 계산
출산은 20대, 30대만 출산한다는 가정
2024년 출생아수 : 235,735명
가임여성대비 : 3.91%
가임여성을 기준으로 2055년까지 출생아 수를 확인해 보자. 아직 태어나지 않은 가임여성(2055년에 20세~30세가 되는 여성)은 예상 출생아(2025년~2035년) 중에서 1/2을 그대로 참고하기로 한다.
예상치를 만들 때 매년 39세의 여성은 다음 해 가임여성에서 탈락하고 19세의 여성이 가임여성으로 올라오는 구조이다.
현재 가임여성 수
단위 : 명
2024년 나이 |
가임 여성수 |
39세 | 316,606 |
38세 | 302,016 |
37세 | 301,610 |
36세 | 299,155 |
35세 | 302,864 |
34세 | 301,197 |
33세 | 334,470 |
32세 | 342,768 |
31세 | 332,409 |
30세 | 333,490 |
29세 | 333,208 |
28세 | 324,747 |
27세 | 322,940 |
26세 | 304,940 |
25세 | 296,110 |
24세 | 304,753 |
23세 | 267,620 |
22세 | 235,922 |
21세 | 236,869 |
20세 | 228,023 |
소계 | 6,021,717 |
2024년 기준 가임여성은 6,021,717명, 나이가 어려질 수록 가임여성의 수가 적어진다. 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출생아 수도 적어진다는 말이다
2055까지 가임여성 수와 출생아 수 계산
매년 가임여성으로 진입하는 수를 더하고 매년 40세가 되어 가임여성에서 탈락하는 수를 빼서 2055년까지 가임여성 수를 정한다. 출산은 현재 출생아와 가임여성비율을 그대로 적용하여 출생아 수를 정한다.
단위 : 명
연도 | 진입 | 가임여성 진입수 |
20-39세 가임여성 |
출생아 |
2025 | 19세 | 210,225 | 5,915,336 | 231,376 |
2026 | 18세 | 217,172 | 5,830,492 | 228,057 |
2027 | 17세 | 240,973 | 5,769,855 | 225,686 |
2028 | 16세 | 227,747 | 5,698,447 | 222,892 |
2029 | 15세 | 217,603 | 5,613,186 | 219,557 |
2030 | 14세 | 229,713 | 5,541,702 | 216,761 |
2031 | 13세 | 232,179 | 5,439,411 | 212,760 |
2032 | 12세 | 238,823 | 5,335,466 | 208,695 |
2033 | 11세 | 215,691 | 5,218,748 | 204,129 |
2034 | 10세 | 215,381 | 5,100,639 | 199,509 |
2035 | 9세 | 217,162 | 4,984,593 | 194,970 |
2036 | 8세 | 202,169 | 4,862,015 | 190,176 |
2037 | 7세 | 177,205 | 4,716,280 | 184,475 |
2038 | 6세 | 162,776 | 4,574,116 | 178,915 |
2039 | 5세 | 150,842 | 4,428,848 | 173,233 |
2040 | 4세 | 136,757 | 4,260,852 | 166,661 |
2041 | 3세 | 130,377 | 4,123,609 | 161,293 |
2042 | 2세 | 124,485 | 4,012,172 | 156,934 |
2043 | 1세 | 114,386 | 3,889,689 | 152,144 |
2044 | 0세 | 114,899 | 3,776,565 | 147,719 |
2045 | -1세 | 115,688 | 3,682,028 | 144,021 |
2046 | -2세 | 114,029 | 3,578,885 | 139,987 |
2047 | -3세 | 112,843 | 3,450,754 | 134,975 |
2048 | -4세 | 111,446 | 3,334,454 | 130,426 |
2049 | -5세 | 109,779 | 3,226,629 | 126,208 |
2050 | -6세 | 108,381 | 3,105,297 | 121,462 |
2051 | -7세 | 106,380 | 2,979,498 | 116,542 |
2052 | -8세 | 104,347 | 2,845,023 | 111,282 |
2053 | -9세 | 102,065 | 2,731,396 | 106,837 |
2054 | -10세 | 99,755 | 2,615,770 | 102,315 |
2055 | -11세 | 97,485 | 2,496,093 | 97,634 |
소계 | 출생아 합 : 5,207,633 |
2055년 가임여성은 2,496,033명이다. 2024년 대비 약 3백만 명이 감소한다. 출생아 수는 현재 24만 명에서 2055년에는 9만 명 수준으로 떨어진다.
2055년까지 총 출생아 수 : 5,207,633명이다.
2055년까지 사망자 수
65세 이상 노인만 사망한다는 가정
2024년 사망자 수 : 343,445 명
노인인구 대비 사망율 : 3.35%
노인이 아닌 일반인의 사망도 5만여 명이 있다. 최종 수치에서는 유사하게 나올 것을 감안하기로하고 여기서는 노인만 사망하는 것으로 한다. 2055년까지의 노인 인구수와 사망자수를 예상한다.
2055년까지 노인인구는 확정된 수치이다. 예상 사망비율을 곱하여 계산한다.(단위는 만 명이다)
단위 : 만 명
연도 | 전년 노인수 |
노인 진입 |
진입수 | 사망수 | 노인 인구수 |
2024 | 973 | 65세 | 81 | 34 | 1,020 |
2025 | 1,020 | 64세 | 89 | 39 | 1,070 |
2026 | 1,070 | 63세 | 88 | 41 | 1,117 |
2027 | 1,117 | 62세 | 85 | 42 | 1,159 |
2028 | 1,159 | 61세 | 77 | 44 | 1,192 |
2029 | 1,192 | 60세 | 81 | 45 | 1,228 |
2030 | 1,228 | 59세 | 83 | 46 | 1,265 |
2031 | 1,265 | 58세 | 79 | 47 | 1,297 |
2032 | 1,297 | 57세 | 84 | 49 | 1,332 |
2033 | 1,332 | 56세 | 91 | 50 | 1,372 |
2034 | 1,372 | 55세 | 90 | 52 | 1,411 |
2035 | 1,411 | 54세 | 90 | 53 | 1,448 |
2036 | 1,448 | 53세 | 93 | 54 | 1,487 |
2037 | 1,487 | 52세 | 88 | 56 | 1,519 |
2038 | 1,519 | 51세 | 88 | 57 | 1,550 |
2039 | 1,550 | 50세 | 85 | 58 | 1,577 |
2040 | 1,577 | 49세 | 78 | 58 | 1,597 |
2041 | 1,597 | 48세 | 75 | 59 | 1,613 |
2042 | 1,613 | 47세 | 77 | 60 | 1,631 |
2043 | 1,631 | 46세 | 72 | 60 | 1,642 |
2044 | 1,642 | 45세 | 82 | 61 | 1,663 |
2045 | 1,663 | 44세 | 83 | 62 | 1,684 |
2046 | 1,684 | 43세 | 83 | 62 | 1,705 |
2047 | 1,705 | 42세 | 82 | 63 | 1,724 |
2048 | 1,724 | 41세 | 74 | 63 | 1,735 |
2049 | 1,735 | 40세 | 66 | 64 | 1,737 |
2050 | 1,737 | 39세 | 65 | 64 | 1,739 |
2051 | 1,739 | 38세 | 63 | 64 | 1,738 |
2052 | 1,738 | 37세 | 62 | 64 | 1,736 |
2053 | 1,736 | 36세 | 62 | 63 | 1,735 |
2054 | 1,735 | 35세 | 63 | 63 | 1,734 |
2055 | 1,734 | 34세 | 64 | 63 | 1,735 |
소계 | 2,522 | 1,760 |
2055년에는 현재 34세가 65세 노인으로 진입하게 된다.
2024년 현재 노인수 : 10,256,782 명
2055년까지 노인인구로 편입 : 25,219,672
2055년까지 총 사망자 : 17,604,589
2055년 노인수 : 17,345,494 명
2055년까지 총 사망자 : 17,604,589
2055년 인구 예상
위의 자료로
2024년 현재 인구수 : 51,217,221 명
2055년까지 출생아 수 : 5,207,633 명
2055년까지 사망자 수 : 17,604,589 명
2055년까지 인구 감소 : ▼12,396,956(-34%)
2055년 예상 인구수 : 38,820,265
2055년 노인수 : 17,345,494 명
2055년 노인인구 비율 :44.7%
2055년 대한민국의 인구는 3,900만 명 수준으로 떨어진다. 30년 만에 인구는 34% 감소할 것이다. 게다가 45년 뒤(2070년) 경의 인구는 더 감소할 것이다.
또한 노인인구 비율은 44.5%에 이른다. 전 국민 2명 중 1명은 65세 이상 노인인 것이다. 짐로저스는 이 자료를 본 것인가. 단지 인구수가 적다고 대한민국이 소멸될 것은 아니다. 문제는 다른 곳에 있다.
문제는 생산가능인구
문제는 생산가능 인구수에 있다.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상황에서 저출산으로 인하여 생산가능인구로의 진입은 삐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2024년 생산가능인구(15-64세): 35,496,018명
2055년 생산가능인구 : 19,524,992
순감소 수 : ▼15,971,026(-45%)
구분 | 2024년 | 2055년 |
총인구수 | 51,217,221 | 38,820,265 |
0-14세 | 5,464,421 | 1,949,779 |
65세 이상 | 10,256,782 | 17,345,494 |
생산가능인구 | 35,496,018 | 19,524,992 |
감소수 | 15,971,026 -45.0% |
|
생산가능인구 비율 |
69.3% | 50.3% |
현재 전체 인구의 70%에 이르는 생산가능인구가 2055년에는 노인인구의 증가와 저출산의 영향으로 생산가능인구가 전체인구의 50% 수준으로 급격히 줄어든다.
생산가능인구 감소율은 무려 -45%에 이른다.
이는 생산성의 감소로 인한 국가의 부가 급격히 감소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제조업과 중화학공업에서 점차 경쟁력을 잃어가고 4차 산업으로의 전환이 무척 더딘 대한민국의 산업에서 생산성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을 찾기가 쉽지 않다.
짐로저스가 본 것
짐로저스는 이 생산가능인구의 급속한 감소, 이것으로 대한민국의 투자처가 있냐는 대답에 인구소멸을 걱정하는 답을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30년 뒤 국민 두 명 중 1명이 노인인 나라에 누가 투자를 하겠냐는 말인 듯 하다. 인구 10명 중 1명이 청년인 나라에서 소멸을 본 것인지도 모르겠다.
잃어버린 30년, 아니 잃어버린 40년이 지나야 회복될 나라에 짐로저스라고 뾰족한 수가 없어 보인다.
출산율을 높이는 데 걸림돌은 과감하게 규제, 타파하고 AI, 자율주행, 로봇, 양자컴퓨터 등의 첨단산업에 모든 돈을 때려 부어야 겨우 대한민국의 소멸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통계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년 뒤 대한민국 인구수와 인구지표 (0) | 2025.02.21 |
---|---|
2024년 경기도 시군별 인구 순위와 증감 (0) | 2025.02.21 |
2024년 시도별 출생아 수 순위 (0) | 2025.02.17 |
2024년 강원도 삼척시 읍면별 인구와 증감 (0) | 2025.02.17 |
2024년 동해시 동별 인구수와 변동 (0) | 2025.02.17 |
2024년 태백시 동별 인구수와 변동 (0) | 2025.02.17 |
2024 속초시 동별 인구수와 증감 (0)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