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뒤 대한민국 인구수와 인구지표
본문 바로가기
통계자료들

10년 뒤 대한민국 인구수와 인구지표

by molbania3 2025. 2. 21.
반응형

10년 뒤 2035년 대한민국 인구


2024년 12월 현재 인구는 51,217,221명이다. 2035년 대한민국의 인구는 약 49,292,682명으로 예상된다. 저위추계(출산율등 최저로 예상)로 10년 뒤를 예상한 수치이다.

2024년 현재 인구 대비 약 192만 명이 감소한다. 문제는 학생, 청소년, 청년, 그리고 중년의 인구도 줄어든다. 게다가 생산가능인구는 줄어들고 노인인구만 늘어난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160만 명이 감소하고
청년층은 170만 명 감소
중장년층도 200만 명 감소한다.
 
생산가능인구는 420만 명이 감소하고
노인인구는 458만 명증가한다.

 

추계인구와 실제인구의 차이

2022-2024, 3개년 간 추계인구와 실제 인구 간의 차이는 평균 0.69%로 실제인구가 더 감소하였다. 아래 추계인구에서 약 0.7% 정도 더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차이는 20~30만 명 정도이다.

이 글에서 참조한 10년 뒤 추계인구는49,292,000명이지만 실제 감소비율을 적용해 보면 48,950,000명으로 예상된다. 차이는 약 340,000명이다..

 

🔽 장래(2070년 까지) 청년, 노인인구수


1. 향후 50년간 추계인구


10년 뒤(2035년)에는 약 200만 명이 감소하여 인구는 4,900만 명이 될 것이고
 
20년 뒤 2045년 경에는 540만 명이 감소하여  4,570만 명
30년 뒤 2055년에는 4,050만 명
2060년 경에는 3,700만 명
2070년 경에는 3,130만 명 정도로 예상된다. 인구는 현재 2024년 대비 2,000만 명 정도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연도 추계인구
감소
2022 51,675,569
2023 51,707,069
 2024 51,655,460
 2030 50,508,967
-708,000
 2035
10년 뒤
49,292,682
-1,924,500
 2040 47,741,481
-3,450,000
 2045
20년 뒤
45,750,846
-5,460,000
 2050 43,332,504
-7,880,000
 2055
30년 뒤
40,505,373
-10,710,000
 2060 37,421,040
-13,800,000
 2070 31,318,720
-19,900,000

인구추계 그래프(저위)

인구추계 그래프

 


10년 뒤 대한민국 인구 지표

 

10년 뒤면 2035년이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생산가능 인구가 400만 명 이상 감소한다는 것이다. 경제에 심각한 문제를 불러올 것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늘어나는 노인인구이다.
2024년 노인인구 : 10,256,000명
노인인구 비율 : 20%
 
2035년 노인인구 14,800,000명
노인인구 비율 : 30%
 
노인 인구는 10년 동안 약 458만 명이 늘어나고 노인인구 비율도 폭발적으로 상승한다. 정부에서 노인 연령을 높이려는 노력은 이렇게 늘어나는 노인들에 대한 복지 비용이 천문학적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기 때문이다.

나이 2024 2035 증감
전체인구 51,217,221 49,292,682 1,924,539
유아기
0-9
3,140,118 2,046,517 1,093,601
청소년
10-19
4,619,265 2,949,564 1,669,701
청년
20-39
12,580,219

24.6%
10,860,230

22.0%
1,719,989
중년
40-59
16,429,193 14,386,200 2,042,993
노년
60-64
4,191,644 4,210,113 18,469
노인
65+
10,256,782

20.2%
14,840,058

30.1%
4,583,276
생산가능
14-64
35,496,018 31,219,137 4,276,881
가임여성
20-39
6,021,717 5,132,633 889,084

 

게다가 출산율을 높이는 가임여성의 인구도 약 90만 명이 감소한다. 대한민국의 인구가 늘어날 일이 없다는 말이다.

반응형

10년 뒤 연령별 인구 변동

 

10년 뒤 2035년의 연령별 인구 변동을 보면, 
35~39세의 인구가 늘어나는 데 이는 2024년 현재 35-39세의 인구가 적었던 탓이다. 그 뒤로는  59세 중년층까지 전부 감소하고 60세 이상  장년층부터 노인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거의 100만 명 이상씩 늘어난다.

연령 2024
(만 명)
2035
(만 명)
증감
(만 명)
5,122 4,929 192
0 - 4 127 105 22
5 - 9 187 99 88
10 - 14 232 119 114
15 - 19 229 176 53
20 - 24 265 236 29
25 - 29 331 241 89
30 - 34 348 269 79
35 - 39 315 339 25
40 - 44 388 357 31
45 - 49 384 324 60
50 - 54 443 380 63
55 - 59 427 378 49
60 - 64 419 421 1.8
65 - 69 363 406 43
70 - 74 240 381 141
75 - 79 179 323 144
80 - 84 134 196 62
85 - 89 76 110 33
90 - 94 27 51 24
95 - 99 6 15 9
100+ 1 2 1.4

 

10년 뒤 가장 인구수가 많은 연령대는 60대이다.  게다가 100세 이상의 노인 인구는  8,500명에서 약 22,000명으로 늘어나게 될 것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100세 시대로 들어가는 건가!!
 
줄어드는 생산가능인구, 청년인구, 늘어나는 노인인구. 노인 연령만 높인다고 해결될 문제인가 묻고 싶다. 근본적인 문제는 일하고 사회에 활력이 되는 청년층을 늘이는 방법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냥 손 놓고 늙은 국민들이 그냥 죽어나가면 다시 젊은 층이 늘어날 것을 기다리고만 있을 건가?
 
내 임기와, 나와 관계없는 먼 미래의 이야기인가?
아니, 당장 10년 뒤에 벌어질 일이다.
어쩌면 짐로저스가 말한 것처럼 늦었는지도 모른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젊은 층의 일자리이다.
대기업만 쳐다보는 청년들 탓하지 말고, 노인복지만 신경 쓰지 말고, 주야장천 콘크리트 건물에 세금 쓰지 말고  차라리 중소기업의 청년들에게 대기업에 비견되는 복지와 급여를 지원해라.■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