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 산림해충들
본문 바로가기
기능사자격증으로/산림기능사 시험대비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 산림해충들

by molbania3 2021. 10. 19.
반응형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산림해충들


곤충의 세대, 생활사는?

알-유충-번데기-성충-생식과정을 거치는 것을 세대

1화성 - 1년에 1세대를 경과한 것을 

다화성 - 1년에 여러 세대를 경과한 것을 

 

 

곤충의 부화순서

 

 

곤충의 변태

유충-  완전변태한 어린 벌레

약충 - 불완전 변태한 어린 벌레

 

 

변태의 종류

변태의 종류 변태과정 관련곤충
완전 변태 알-유충-번데기-성충 딱정벌레, 바구미, 소나무좀, 오리나무잎벌레
도토리거위벌레, 나비, 솔나방,
벌, 개비, 밤나무순혹벌, 모기,
파리, 각다귀, 솔잎혹파리
불완전
변태
알-유충-성충 메뚜기목, 잠자리목, 매미목,
강도래목, 노린재목
과변태 알-유충-의용-용-성충 딱정벌레목 과뢰과

 

영기 - 곤충의 탈피기간

용화 - 유충이 번데기가 되는 과정

우화 - 번데기에서 성충

용기 - 번데기에서 우화까지 기간

 

 

 

유충의  탈피 횟수에 따른 나이

(유충이 탈피할 때까지 기간 "영"이라고 한다.)

1령충 - 1회 탈피전 까지

2령충 - 1회 탈피한 경우

3령충 - 2회 탈피한 경우

 

 

번데기의 형태에 따른 분류는?

나용

피용

위용

전용

 

 

 

곤충의 생식 방법

양성생식, 단위생식, 다배생식, 유생 생식, 자웅동체

양성생식 수정에 의한 생식
단위생식 수정없이 영양번식,
암컷만 생식을 하기에
처녀생식이라고 한다.

무배생식, 무포자생식
다배생식 수정된 난핵이 분열하여
각각 개체로 발육

1개의 알에서
2개이상의 곤충이 생긴다.

벼룩좀벌과 고치벌
유생생식 유생의 시기에 생식세포가
성숙하여 단위생식이 일어나
체내에 새개체가 생긴다.

 

 

곤충의 자극에 대한 방향성 (주성)

자극에 대하여 자극으로 향하거나 멀어지는 성질

자극의 종류에 따라 구별된다.

주광성 빛의 방향에 따른 반응
주화성 화학물질에 대한 반응
-해충방제의 수단
주지성 중력에 대한 반응
주풍성 기류
주수성 유수(물의 방향)
주촉성 접촉에 대한 반응

** 주화성- 불에대한 반응이 아니라 화학물질에 대한 반응이다.

 

 

휴면

곤충의 생활환경 중 불리한 환경이 변하여도  발육이 진행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기 지속되는 현상

휴면의 환경적 조건은

일장(낮의 길이),

온도,

먹이 등이다.

절대휴면 특정발육단계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수면

필수수면
일시휴면 불리한 환경에 처한 경우 휴면
조건휴면

 

 

수목의 피해부위에 따른 해충들

수목 피해부위 관련해충
독나방, 매미나방, 미국흰불나방,
버들재주나방, 솔나방,
솔잎혹파리, 어스렝이나방

오리나무잎벌레, 잣나무넓적잎벌레,
진딧물류, 집시나방,
텐트나방, 흰불나방
줄기 깍지벌레, 나무좀, 박쥐나방,
소나무좀, 솔껍질깍지벌레,
솔수염하늘소
종실,구과 도토리바구미, 밤나방, 밤바구미,
복숭아명나방, 솔알락명나방, 하늘소류
눈, 새순 나무좀, 혹벌류, 바구미
뿌리 나무좀, 풍뎅이류, 하늘소류
분열조직 박쥐나방, 소나무좀,
알락박쥐나방, 측백하늘소

 

박쥐나방, 출처-국립수목원

 

피해 방식에 따른 해충들

피해방식 관련 해충들
흡즙성 깍지벌레, 노린재류, 버즘나무방패벌레,
선녀벌레, 응애류, 진딧물류
천공성 소나무좀, 바구미류, 박쥐나방, 하늘소류
충영의 형성 진딧물류, 혹별류, 솔잎혹파리

선녀벌레, 출처-두산백과

 

 

산림해충의 종류

★솔잎혹파리

소나무, 해송에 피해

유충이 잎의 기부에 벌레 혹을 만들어 즙액을 흡즙

1년에 1회 발생

유충 형태로 지피물아래 혹은 땅속에 월동한다.

5~7월 우화하여 성충이 되고 우화 당일 산란한다.

성충 수명은  1~2일로 짧다.

유충의 크기는 1.8~2.8mm 정도이고 성충은 수컷 1.75mm, 암컷 2.0mm 정도이다.

 

 

 

솔입혹파리 성충, 유충 -두산백과

 

솔잎혹파리 방제법

임지를 건조하게 한다.

밀생 인분은 간벌하고 불량목, 피압목은 제거한다.

성충 우화기에 약제를 살포하거나 천적으로 기생벌, 조류를 이용한다.

약제 방제는 나무주사를 통해서 방제, 포스팜 액제, 아세타미프리드 액제를 이용한다.

방제는 5월쯤 실시하고 10월쯤 효과를 조사한다.

 

기생벌로는

솔잎혹파리 좀벌,

혹파리살이 좀벌,

혹파리등뿔 좀벌,

혹파리반뿔 좀벌 등이 있다.

 


★솔나방 (유충- 송충이)

소나무, 해송에 피해를 주는 토종벌레이다.

4월경에 유충이 잎을 갉아먹는다.

성충이 되기 위해 1년 정도의 긴 유충 기간을 가진다.

1년에 1회 발생

월동은 5령충이 지피물, 나무껍질 사이에서 월동한다.

8령충이 번데기가 되고 이후 나방이 된다.

나방이 크기는 날개를 펴면 45~90mm 정도로 큰 편이고 주로 밤에만 활동한다.

7~8월쯤 주로 발생하고 500개 정도의 알을 솔잎 위에 낳는다.

솔나방의 유층은 묵은 잎을 식해하나 밀도가 높으면 새잎도 식해 한다. 

솔나방은 전년도 여름에 호우가 잦으면 이듬해는 피해가 줄어든다.

 

솔나방 유충, 성충 -한국민족문화백과/두산백과

 

 

솔나방 방제법

월동 후 유충의 활동 시기에 아바멕틴 유제를 나무주사하거나 미생물 농약 BT제를 사용한다.

주광성이 있어 유아등을 이용하여 유살

월동장소를 만들어 유인후 소각한다.

솔나방 알의 천적인 송충알좀벌이,

유충의 천적인 고치벌, 맵시벌을 이용한다.

 

솔나방 방제 월동장소


★소나무좀

소나무, 해송, 잣나무에 피해를 준다.

유충이 수피 아래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 피해 준다.

6월에 우화 하여 새가지의 신초를 가해하며

암컷 성충은 형성층 목질부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 아래위로 갱도를 만들어 60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

1년에 1회 발생

월동은 뿌리 부근의 수피 틈에서 월동한다.

 

 

소나무좀 방제법

쇠약목, 고사목은 벌채를 한다.

2~3월쯤 먹이 나무를 설치 유인하여 먹이나무를 소각

4월쯤 수피를 제거하여 번식처를 없앤다.

약제 살포시 2~4월쯤 페니트로티온 유제를 살포한다.

생물학적 방법으로 기생성 천적인 좀벌류, 맵시벌류, 기생파리류 등를 이용

딱따구리 등 조류를 보호한다.

 


밤나무 혹벌

밤나무에 피해, 잎눈에 기생하여 작은 벌레 혹을 만들어 이에 새가지가 자라지 못하게 한다.

성충은 초여름 우화 하여 1주일 정도 충영 내에 있다가 구멍을 뚫고 6~7월 외부로 탈출하여 새눈에 3~5개 정도 산란한다.

1년에 1회 발생

월동은 유충으로 월동한다.

유충의 체장 길이는 2.5mm, 성충은 3.0mm

암컷만 단위생식(단성생식)을 한다.

 

 

밤나무 혹벌 방제법

내충성 품종으로 조림한다.

중국흰꼬리좀벌, 노란꼬리좀벌, 남색긴꼬리좀벌, 상수리좀벌 등 천적을 이용한다.

늦은 봄 비료를 주면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피해가 심하면 내충성 품종으로 교체가 가장 효과적이다.

 

 

태극나방, 출처-한국민족문화 대백과


솔알락명나방

잣나무, 소나무 등 구과에 피해를 준다.

1년에 1회 발생

월동은 땅속이나 구과에서 유충 형태로 월동한다.

 

 

솔알락명나방 방제법

우화기 혹은 산란기인 8월쯤 약제를 수관에 살포한다.

 


★미국흰불나방

포플러, 벚나무 등  200여 종의 활엽수에 피해를 주는 등 넓은 범위의 피해가 발생한다.

캐나다에서 건너온 외래해충이다.

1년에 2회 발생

월동은 나무 껍질, 지피물 밑에서 번데기 형태로 월동

부화한 유충은 4령까지 실을 만들어 잎을 둘러싸고 그 속에서 집단생활을 한다.

5령기에 유충으로 흩어진다. 

 

미국흰불나방, 출처-두산백과

미국흰불나방 방제법

피해를 받은 낙엽은 소각하고

나방살이납작맵시벌, 송충알벌 등의 천적을 이용한다.

방제 약제로는 트리클로르폰수화제, BT 수화제를 살포한다.

 


오리나무잎벌레

오리나무, 박달나무, 밤나무 등에 피해를 준다.

성충, 유충이 동시에 잎을 식해 한다.

유충의 입틀은 저작구형이다.

1년에 1회 발생한다.

월동은 성충 형태로 지피물이나 흙속에서 월동한다.

성충의 몸길이는 7mm 내외로 진한 남색을 띤다.

 

 

오리나무잎벌레 방제법

5월쯤 잎 뒷면에 붙어 있는 난괴(알덩어리)를 소각

발생한 유충은 포살 한다.

유충 발생 시기에는 디플루벤주론, 트리플루뮤론 수화제 등으로 방제한다.

생물학적 방제법은 천적인 무당벌레가 있다.

 


복숭아명나방

밤나무, 복숭아나무, 감나무 등 종실에 피해를 준다.

1년에 2회 발생하고

수피에서 유충 형태로 월동한다.

어린 유충이 1,2령 시기에  밤의 가시를 식해하고 3령 이후에는 과육을 식해 한다.

2화기 성충은 7월 중순~8월 상순에 우화 하여 밤나무 종실에 1~2개씩 산란한다.

 

 

복숭아명나벙 방제법

복숭아의 경우 5월경에 봉지를 씌워 피해를 막거나 7월경 디프유제, 페니트로티온 등 약제를 살포한다.

곤충병원성 미생물인 Bt균을 이용하거나

성페로몬 트랩을 지상 1.5~2m 위치의 가지에 매달아 성충을 유인한다.

 


박쥐나방

버드나무, 단풍나무, 밤나무 등에 피해를 준다.

1년에 1회 발생한다.

유충은 초본 줄기에 구멍을 뚫고 피해를 주다가

나무 위로 올라가 환상으로  가지에 피해를 준다.

거미줄을 형성하는데 배설물과 목재 잔재물이 섞여있다

성충은 주로 밤에 활동

알은 땅에다가 산란한다.

 

 

박쥐나방 방제법

천공이 발생한 곳에 약제를 주입하거나

유충이 발생되는 초본류를 제거한다.

 


집시나방(매미나방)

낙엽송, 참나무, 밤나무를 가해한다. 가해 범위가 넓다.

1년에  1회 발생한다.

알 상태로 나무줄기에서 월동한다.

잡식성 해충으로 유충은  침엽수와 활엽수의 잎을 식해 하며 삭해범위가 넓어 피해가 크다.

 

 

집시나방, 출처-두산백과


★텐트나방(천막벌레나방)

참나무류, 살구나무, 포플러류 등의 다수의 활엽수를 가해한다.

1년에  1회 발생하며 4월에 부화한다.

부화 유충은 실을 만들어 천막 모양의 집을 짓는 게 특징.

4령까지 집단생활을 하다가 5령부터 흩어져 생활한다.

천막에서 낮에는 쉬고 밤에만 잎을 가해한다.

알을 낳을 때는 가지에 반지 모양으로  200~300개의 알을 낳는다.

 

 

텐트나방 방제법

유령기에 군서 생활을 할 때 벌레집을 제거하거나

불을 이용한 소살을 통해서 방제한다.

 


버즘나무방패벌레

노린재목으로 버즘나무류, 물푸레나무류 등에 가해

1년에 1~3회 발생한다.

9월쯤 성충이 수피 틈에서 월동한다.

외래해충이며 약충이 기주 잎에 모여 흡즙 한다.

주로 장마철에 피해가 심각하며 조기 낙엽이 발생한다.

 


도토리 거위벌레

참나무류의 구과를 가해한다.

1년에 1~2회 발생한다.

노숙 유충으로 땅속에서 월동한다.

주로 도토리에 구멍을 뚫어 산란하고

열매의 연결부를 짤라 떨어뜨린다.

이후 부화한 유충이 과육을 식해 한다.

 


밤바구미

밤나무, 참나무 종실을 가해한다.

1년에 1회 발생한다.

노숙 유충이 땅속 깊은 곳에서 월동하고 이후 번데기

산란기간은 8~10월이다.

유충이 배설물을 외부로 유출하지 않아 피해 식별이 어렵다.

 

 

밤바구미 방제법

훈증 처리하는 게 효과적이다.

방제약제는

펜토에이트 분제,

카보설판 수화제,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테니트로티온유제

 


★어스렝이나방(밤나무 산누에나방)

밤나무, 호두나무, 은행나무, 벚나무에 피해를 준다.

성충은 45mm정도, 날개를 편 길이는 100~130mm

유충은 100mm

1년에 1회 발생

알로 나무줄기 껍질 속에 월동

어린 유충은 군서 생활하며 잎을 뜯어먹고 차후 분산하여 가해한다.

 

어스렝이나방, 출처-두산백과

어스렝이나방 방제법

나무줄기에 있는 난괴를 채취, 소각으로 방제한다.

유충 가해기인 5~6월에

디프수화제,

메프수화제 등의 유기인제를 살포한다.

 


 

 

◈◈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