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능사 필기 대비 요약
종자생산, 발아 관리
수목의 개화 결실을 촉진시키는 방법은?
생리적 방법 - C/N율 조정, 시비
화학적 방법 - 생장 호르몬 주입
물리적 방법 - 상처주기, 일사량 등
개화 결실을 촉진하는 생리적 방법은?
1- C/N율 조절
- (C-탄수화물)/(N-질소) C의 비율을 높여서 개화 결실 촉진
- C/N율이 높으면 화성(수분)을 유도하고, 낮으면 영양생장이 지속된다.
- 접목, 단근, 환상박피 등에 적용한다.
2- 시비(비료주기)
- N, K, P(질소, 칼륨, 인산)을 조절하여 대사를 촉진.
- 화아(꽃눈)분화기에 시비하면 결실이 촉진된다.
- 질소보다 인산, 칼륨의 조절이 더 효과가 있다.
** 질소비료는 아니다.
개화 결실 촉진 시 화학적 처리 방법은?
- 성장호르몬으로 화아(꽃눈) 분화를 촉진
- 인식 화분(멘토르 화분)은 불화합성을 인식하여 화합성을 유도한다.
개화 결실 촉진 시 물리적 처리 방법은?
- 건조, 상처주기 등 기계적 처리를 통해서 수분이나 결실을 촉진한다.
- 간벌 등 임목 밀도 조절(밀도 줄인다) 통해서 촉진
- 일사량, 온도 등의 환경변화로 의한 결실 유도, 촉진
** 물리적 결실 촉진 - 건조, 상처, 밀도,일사량, 온도조절
종자 품질관리의 검사항목 8가지는?
순량률
용적중
실중
L 당 립수
KG 당 립수
수분
발아율
효율
종자의 크기를 구분하는데 있어서 대립 종자와 중립 종자의 크기의 기준이 되는 수종의 종자는?
잣나무 종자
종자의 크기에 따른 구분은?
대립종자 | 1L 당 1,000이하의 잣 보다 큰 종자 | 밤, 상수리, 호두, 은행, 가래 |
중립종자 | 1L 당 1,000~3,000립 정도 잣과 비슷 | 잣, 물푸레, 백합, 피나무 |
소립종자 | 1L 당 3,000~100,000립 정도 | 소나무, 분비나무, 전나무, 벚나무 |
세립종자 | 1L 당 100,000립 이상 종자 | 낙엽송, 자작, 편백, 삼나무, 오리나무 |
** 대립 종자 - 리터당 1,000개 이하
종자검사 시 요구되는 시료량
종자검사 후 품질보증 표를 붙이고 넣는 용기에 표기하는 색깔은?
검정 채종원 종자 - 청색
미검정 채종원 종자 - 분홍색
채종림 종자 - 녹색
채종 임분 종자 - 황색
종자 발아 검사법은?
항온 발아기 - 상온 23도에서 정상 발아시험을 한다.
환원법 - 약품을 침지하여 색변화로 확인
절단법- 배를 갈라서 육안으로 검사
X선 분석법 - X선 촬영하여 내부 확인
** X선 분석법은 발아 촉진이 아니라 발아검사이다.
** 발아 최적 온도= 상온 23도
항온 발아 검사의 판정 기준은?
종자 발아 기준은 유아나 유근이 나온 경우
시험 종료일까지 발아 안되면,
절단 후 검사 시 이상 없으면 정상으로 판정한다.
반복시험을 통하며 편차가 발생하면 재시험한다.
발아시험 중 재시험하는 기준은?
평균 발아율 90% 이상 | 편차가 10% 이상시 |
평균 발아율 80~90% | 편차가 12% 이상시 |
평균 발아율 80% 미만 | 편차가 15% 이상시 |
종자발아 기준이 되는 대표 수종의 발아 시험기간은?
정상 발아시험 기간 |
수종 |
14일 | 사시나무, 느릅나무 |
21일 | 가문비, 편백, 화백, 아까시나무 |
28일 | 소나무, 해송, 낙엽송, 삼나무, 자작, 오리나무 |
42일 | 느티나무, 옻나무, 전나무, 목련 |
발아시험 중 환원법에 사용되는 약품은?
테트라졸륨 1% 수용액,
테룰루산소다(Na2TeO2)
테트라졸륨 수용액은 어두운데 보관
테트라졸륨 수용액은 휴면 종자에도 잘 적용된다.
침엽 수종의 경우 배와 배유가 같이 염색되도록 한다.
시험약제 | 정상발아 배로 판정 |
테트라졸륨 1%수용액 | 적색, 분홍색 |
테룰루산소다(Na2TeO2) | 흑색, 암갈색 |
환원법 발아시험에 잘 적용되는 수종은?
피나무, 주목, 향나무, 잣나무
환원법에 따른 발아율(%)
적용 예)
약품 환원법으로 검사한 소나무 종자의 정상 립수는 850개/ 전체 검사 립수는 1000개 일 때 발아율은= 850/1000 X 100(%) = 85%
★** 산불이 난후에 발아하는 종자는 방크스소나무 - 일정 이상 온도 상승시 발아한다.
순량률(%)
- 파쇄 립, 협잡물 등을 제외 순수 종자 중량(대립 종자는 순량률 계산 안 함)
적용 예)
채취한 잣나무 종자의 중량(1.2kg)을 잡물, 파쇄립 등을 제거 후 중량이 1,090g이면 순량률은
1,090/1,200 X 100(%) = 90.8%
주요 종자의 순량률
잣나무, 은행나무 - 98%
밤나무, 가래, 곰솔 - 96%
가문비 - 78%
오리, 음나무, 화백, 졸참나무 - 72%~74%
실중량
- 순정 종자 1000 립의 무게(g)
- 실중 값이 높으면 종자가 충실하다.
용적중
- 종자가 1리터 안의 무게(g)-부피(용적)의 무게이다.
- 1리터 미만이면 부라웰 곡립계로 측정한다.
- 씨뿌림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수치이다.
적용 예)
1리터의 용기 안에 잣나무 종자 수가 900 립이고 중량이 1.2kg 일 때
실중량과 용적중은?
실중량 = 900립 : 1,200g = 1000립 : 1,333g
용적중 = 1,200g
종묘사업 실시요령상 품질기준 발아율(%)이란?
준비한 전체 시료 중 일정기간 동안 발아된 종자 립수의 백분율
적용 예)
종묘사업 실시요령에 따른 자작나무 종자의 발아 측정에서 전체 시료가 980개/ 발아한 종자가 102개 일 때
발아율은= 102/980 X 100(%) = 10.4%
종묘사업 실시요령에 따른 주요 종자의 발아율은 다음과 같다.
해송 - 92%
소나무 - 87%
리기다소나무, 측백 - 85%~84%
전나무 -25%
낙우송 - 11%
자작나무 - 10%
발아세(%)
발아시험을 위한 일정기간 동안 발아한 종자수의 비율로 “발아율 > 발아세”
발아율은 전체, 발아세는 일정기간
적용 예)
가문비 종자(총 1,000 립)의 정상 발아 기간은 21일이다. 가장 많이 발아한 날이 20일이고 이때의 발아 종자수는 480개이고 전체 발아기 간 중에 발아한 종자가 540개 일 때 발아세와 발아율은?
발아세 = 480개/1000개 x 100% = 48%
발아율 = 540/1000 X 100(%) = 54%
효율(%) - 실제 종자 사용 가치를 나타낸다. 종자품질기준에 따른 각각의 수종과 효율은 아래와 같다.
곰솔 - 88%
소나무 - 82%
리기테다소나무 - 80%
주목 - 53%
분비나무 - 26%
자작나무 - 8%
적용 예)
종자품질 기준에 따라 채취한 잣나무 종자의 중량(1.2kg)을 잡물, 파쇄립 등을 제거 후 중량이 1,090g이며, 이때 종자립수는 980 립이다. 자작나무의 종자의 발아 측정에서 전체 시료가 980개/ 발아한 종자가 102개 일 때 효율은?
1- 순량률 : 1090/1200 =90.8%
2- 발아율 : 102/980 =10.4%
3- 효율은 : 90.8 X 10.4 / 100 = 9.44%
종자의 휴면 상태란?
종자가 발아조건을 갖추었으나 발아가 되지 않는 상태
종자의 휴면 상태의 원인은?
불투수성 - 과피, 종피가 단단하고 두꺼워 습기 불충분
물리적 요인 - 배가 물리적으로 성장 방해받을 때
가스 교환(호흡) -가스 교환 억제, CO2 축적으로 휴면
미 성숙한 배 - 배의 발달이 불충분
이중 휴면성 - 여러 개의 휴면 원인이 중첩
배 휴면 - 배 자체의 휴면(주로 유실수)
생장억제 물질 - 발아억제물질(ABA)이 종자에 존재(주로 유실수)
발아 휴면 원인 | 주요 수목 |
불투수성(두꺼워) | 잣, 산수유, 대추, 가래, 자귀나무 |
물리적 방해 | 호두, 잣, 가래, 주목 |
가스 교환의 어려움 | - |
미 성숙한 배 | 들메나무, 향나무, 주목, 은행나무 |
배 자체 휴면 | 배, 사과, 복숭아나무 (주로 유실수) |
생장 억제물질로 인해 | 사과, 배, 피나무, 포도, 귤 (유실수) |
이중 휴면 | 주목 |
종자가 발아할 조건(환경변수)은?
산소 충분- 산소 없이 무기 호흡에 의한 발아도 있다.
수분 충분 - 종피가 연해지고 가스 교환이 용이
온도 - 20~30도(최적 23도)
빛 - 수종에 따라 발아 또는 억제된다.
** 발아의 환경변수 - 산소, 습도, 햇빛, 온도
발아과정은?
★** 종자의 발아에서 가장 먼저 발달하는 것은 유아(눈)이 아니라 유근이다(뿌리)
** 발아순서 - 수분흡수-효소(배성장)- 종피의분열-유묘형성
발아 촉진법의 종류는?
구분 | 사용법 | 적용 수목 |
종피파상법 | 과피나 종피에 상처 | 향나무, 주목, 옻나무 |
황산처리법 (탈납법) |
황산에 넣어 표면 부식 | 옻나무, 피나무, 콩과 수목 |
침수 (침지)처리법 |
물에 담궈 냉수침지법, 온탕침지법 | 낙엽송, 삼나무, 편백, 소나무, 리기다소마무 |
노천매장법 | 종자 저장과 발아 동시에 | |
층적법 | 습한 모래, 이끼를 종자와 층층이 쌓아둔다. | 배휴면 종자에 적용 (주로 유실수) |
약품처리법 | 호르몬제, 화학약품 통해서 | 지베렐린, 시토카닌, 에탈렌, 질산칼륨 |
발아촉진 약품은?
지베렐린,
시토카닌,
에틸렌,
질산칼륨
** 발근촉진제는 인돌젖산(IBA), 인돌초산(IAA), 루톤액, 나프탈린아세트산(초산,NAA)
** 발아촉진제와 발근촉진제는 다르다.
** 종자 건조 후 실내에 저장한 종자의 발아촉진법은 침수 처리법이다.
** X선 분석법은 발아 검사법이다.
필기대비 -종자생산
산림기능사 필기 대비 요약 - 종자생산
산림기능사 필기 대비 요약 - 종자생산 종자의 성격은? 수정 완료 후 세포분열을 통해서 발육이 일어나고 주피는 종피가 되고 모체 생활 기능이 분리되어 독립하면 이를 종자라고 한다. 종자의
karl5044.tistory.com
★★
'기능사자격증으로 > 산림기능사 시험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 산림환경(미생물, 무기염류) (0) | 2022.01.13 |
---|---|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 숲 가꾸기(솎아베기, 간벌, 시비) (0) | 2022.01.12 |
산림기능사 필기 대비 요약 - 묘목 생산(영양 번식) (0) | 2022.01.11 |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 산림해충들 (0) | 2021.10.19 |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 농약 (0) | 2021.10.17 |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 곤충과 해충 (1) | 2021.10.17 |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 수목병 종류 (0) | 2021.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