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능사 필기 대비 요약
종자생산, 종자저장
종자의 정의는?
수정 완료 후 세포분열을 통해서 발육이 일어나고 주피는 종피가 되고 모체 생활 기능이 분리되어 독립하면 이를 종자라고 한다.
종자의 성장구조
씨방(자방, 배젖, 배유, 씨젖) -> 열매
밑씨(배주, 배, 씨눈) -> 종자
주피 -> 씨껍질(종피)
주심 -> 내종피
극핵(2개) + 정핵 -> 배젖(속씨식물)
난핵 + 정핵 -> 배(씨눈)
배젖 -> 배에 영양공급
배 (배축, 유아, 근축) -> 떡잎, 어린줄기, 뿌리
배주(밑씨) -> 종자
종자의 수정 공식은?
침엽, 겉씨식물
정핵 n + 난핵 n = 배(씨눈)(2n)
** 배젖이 없어서 과육이 없다.
활엽, 속씨식물 (중복수정)
제1 정핵 n + 난핵 n = 배(씨눈)(2n)
제2 정핵 n + 두 개 극핵 2n = 배젖(3n)
종자결실 예측방법은?
이전의 꽃이 핀 정도를 통해서 예측한다.
수종별 결실 주기는?
주기 | 나무들 |
매년 결실 | 버드나무류, 오리나무류, 포플러류 |
격년 결실 | 소나무류, 오동나무, 아까사나무, 자작나무 |
결실 주기 2~3년 | 참나무류, 들메나무, 느티나무, 편백, 삼나무 |
결실 주기 3~4년 | 전나무, 가문비, 녹나무 |
5년 이상 | 낙엽송, 너도밤나무 |
수종의 결실에 영향을 주는 환경 조건은?
주변 환경,
기상조건,
수종의 조건
종자 성숙 기간은?
꽃핀 직후 종자 성숙(바로) | 사시나무, 미루나무, 버드나무, 황철나무, 온백양 |
꽃핀 해 가을에 성숙(가을) | 삼나무, 편맥, 전나무, 가문비, 오동, 졸참, 신갈, 떡갈 |
꽃핀 이듬해 가을에 성숙(1년후 가을) | 소나무류,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잣나무, 자작나무 |
★꽃핀 이듬해 가을결실 수종
- 소상굴잣자(ㅅ",ㅈ, 굴참 침엽수인데 굴참나무포함)
종자 성숙 시기는?
성숙 시기(월) | 관련 수종 |
5월 | 버드나무, 미루나무, 양버들, 황철나무, 사시나무 |
6월 | 시무나무, 비술나무, 벚나무, 떡느릅나무 |
7월 | 회양목, 벚나무 |
8월 | 스트로브잣나무, 향나무, 섬잣나무, 귀룽나무, 노간주나무 |
9월 | 소나무, 낙엽송, 주목, 구상나무, 분비나무, 가문비, 향나무, 자작, 물푸레, 밤, 가래나무, 호두, 졸참, 들메나무, 층층나무 |
10월 |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리기다소나무, 해송, 구상나무, 삼나무, 편백, 전마무, 은행나무, 오동나무, 아까시나무, 상수리, 굴참나무, 갈참나무, 단풍, 대추, 밤나무, 층층나무, 오리나무 |
11월 | 동백나무, 회화나무 |
종자의 성숙도 구분은?
종자는 저장양분, 함수량에 따라 종피의 고유한 색채를 가진다.
유숙기 - 종피가 녹색, 내부 상태는 아직 유숙기 상태
황숙기 - 황색, 갈색, 종자 채취 적기
과숙기 - 과도하게 건조, 수분 침투가 어려워 발아력이 떨어진다.
종자의 채취 가능한 것을 확인하는 외적 요인은?
구과의 밀도와 단단함
수분 함유정도
종피의 색의 퇴화 정도
수종별 성숙기를 판단하는 구과의 색구분은?
소나무 | 녹색 |
측백 | 황녹색 |
가문비나무 | 흑색 |
향나무 | 청색 |
종자 채취 방법?
벌도법 - 나무를 베어서 채취
절지법- 가지의 기부나, 중간부를 잘라서 체취 (깊은 산에서 주로), 보속 생산이 불가능
장대따기 - 참나무, 밤나무
훑어따기 - 손으로 홅어서, 종자가 모여서 달리는 수종, 편백, 느릅, 느티나무
송이따기 - 송이가 잘 떨어지지 않는 수종은 전정가위, 고절가위로 송이째 딴다.
장대따기 | 밤나무, 참나무 |
홅어따기 | 편백나무, 느티나무, 느릅나무 |
송이따기 |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단풍나무, 물푸레, 오동나무 |
** 전정가위 -전지가위
** 고절가위 -고지가위(높은 가지 절단가위)
종자 건조법은?
양광 건조법 - 햇볕에 구과를 펴서 2~3회 뒤집어 건조
반음 건조법 - 햇볕에 약한 수종, 통풍이 잘되는 옥내서 펴서 건조
인공 건조법 - 건조기 사용(25~40도) 50도 이상 금지
양광 건조법 | 소나무, 낙엽송, 전나무, 회양목 |
반음 건조법 | 오리나무, 포플러, 편백, 화백, 미루나무, 참나무류 |
탈종(과육, 껍질 제거) 방법에 따른 수종의 구분
건조 봉타법 (막대기로 두들김) |
아까시나무, 박태기나무, 오리나무 |
부숙 마찰법 (말려서 비벼) |
은행, 벚나무, 비자나무, 가래나무, 주목 |
구도법 (절구에서 찧어서) |
옻나무, 아까시나무 |
도정법 (종피를 정미기에서 깍아내는) 발아촉진효과 |
옻나무 |
종자 관리에 있어서 종자의 정선작업은?
종자 외에 쭉정이, 모래, 기타 잡물을 제거하는 작업
입(粒)선법 - 손으로 구별
풍(風)선법 - 바람 이용
사(체)선법 - 체를 이용하여 (수종의 1차 선별법)
액체 수선법 - 물에 24시간 침수, 가라앉은 종자 선별(비중 차이)
액체 식염수 선법 - 비중 큰 종자 시( 물 1L + 소금 280g = 1.18 비중액)
입선법 | 밤, 가래나무, 호두나무, 상수리나무, 칠엽수등 대립종자 |
풍선법 | 가문비나무, 소나무류, 낙엽송 |
사선법 | 사리나무, 계수나무, 팽나무 |
액체 수선법 | 향나무, 주목, 도토리 등 대립종자 |
액체 식염수선법 | 비중이 큰 옻나무 |
** 종자의 식염수 선별법 정선시 식염수의 구성은 : (소금 280g/물 1L, 비중 1.18)
** 종자 정선의 수선법은 손(手)가 아니라 물(水)이다.
정선한 종자의 수득률 중 가장 높은 수종은?
호두나무 52%
가래나무 51%
은행나무 28%
소나무, 해송 3%
가문비나무 2.1%
** 대립종자(큰 종자)의 수득률이 좋다
종자 저장 방법에 따른 수종
건조저장 - 종자 건조해 용기에 담아 저장
보습저장 - 건조 시 발아력이 잃게 되는 수종에 적합
★보습저장 - 노천매장법/보호저장법/냉습저장법
건조 방법에 따른 | 수목 |
건조 저장 | 소나무, 해송, 리기다소나무, 삼나무, 편백등 소립 침엽수종 |
보습 저장 | 건조시 발아력 상실하는 참나무, 가래나무, 목련 |
보습 저장 방법의 종류는?
1) 노천매장법
- 저장과 발아 동시에 효과
- 50~100cm 깊이로 모래와 섞어 묻는 방식
- 대립 종자, 종피가 두꺼운, 종피에 수분 흡수 방해물질이 있으면 장기간 매장
- 소립 종자는 1개월
종자의 보습 저장 시 노천매장법의 매장 시기별 수종 구분
종자채취 직후 (9~10월) |
들메, 단풍, 잣, 호두, 느티나무 백합나무, 은행나무, 목련 |
토양 동결전 (11월하순) |
벽오동, 물푸레, 피나무, 신나무, 층층나무, 옻나무 |
파종 1개월전 (동결 풀린후 3월중순) |
소나무, 해송, 낙엽송, 가문비나무, 전나무 리기다소나무, 망크스소나무, 삼나무, 편백 |
2) 보호 저장법
- 모래와 종자를 섞어서 용기 안에 저장
- 은행, 밤나무, 굴참나무
- 오염 안된 습한 모래, 종자 함수율이 30% 밑으로 안 내려가게 주의
3) 냉습 저장법
- 발아촉진 목적으로 후숙에 중점
- 용기 안에 보습재로 이끼, 모래와 종자를 섞어 3~5도로 유지
- 종자의 함수율은 20~25% 유지
건조 저장 방법의 종류는?
상온 저장법 - 건조 후 용기에 담아 상온 저장(장기저장은 불가)
★저온 저장법 - 건조 후 진공 밀봉하여 저온에서 저장, 낙엽송 같은 결실 주기가 긴 수종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종자생산, 발아관리
산림기능사 필기 대비 요약 - 종자생산, 발아 관리
산림기능사 필기 대비 요약 - 종자생산, 발아관리 수목의 개화 결실을 촉진시키는 방법은? 생리적 방법 화학적 방법 물리적 방법 개화 결실을 촉진하는 생리적 방법은? C/N율 조절 - (C-탄수화물)/(
karl5044.tistory.com
★★
'기능사자격증으로 > 산림기능사 시험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 임업기계(소도구) (0) | 2021.10.11 |
---|---|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 임업기계(장치) (0) | 2021.10.11 |
산림기능사 필기 대비 요약 - 산림기초 (0) | 2021.10.10 |
산림기능사 필기 대비 요약 - 묘목생산(실생묘) (0) | 2021.10.09 |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 묘목식재 (0) | 2021.10.09 |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 숲 가꾸기(풀베기, 가지치기) (0) | 2021.10.07 |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 산림갱신 (0) | 2021.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