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 유지관리, 자산관리
본문 바로가기
기능사자격증으로/산림기능사 시험대비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 유지관리, 자산관리

by molbania3 2022. 1. 15.
반응형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유지관리(도끼 - Ax, 톱 - Saw)
자산관리


도구 유지관리

도끼 손질
도끼날은 평줄, 원형 공구성을 이용한다.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반복연마(줄찌꺼기가 길게 나오면 정상적인 줄질)



도끼날 연마각도와 모양은?
벌목용 - 9~12도
가지치기용 - 8~10도
도끼날의 정상형은 아치형 모양
날카로운 삼각형 모양은 - 날이 수목에 끼이기 쉽다.
무딘 삼각형 모양은 날이 튄다.

도끼날 손질

** 벌목용 도끼날은 9~12도
** 벌목용 도끼의 무게는 440g~1,400g 정도로 유지한다.
** 작은 가지의 가지치기는 손도끼가 효과적이다.




손톱의 구조와 부분별 역할

구분 설명
톱니 가슴 목재를
절단하는 부분
당겨서 절단한다.
톱니 꼭지각 쐐기역활,
꼭지각이 작으면
톱니가 약해진다.
톱니 등 목재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톱니 홈 톱밥이 머물렀다가 나가는 곳
톱니 꼭지선 꼭지선이 일정하지 않으면
톱질에 힘이든다.
톱니 뿌리선 뿌리선이 일정하면
톱니가 강하고 작업능률이 좋다.

** 톱니홈의 역할이 산림기능사 시험에 자주 출현한다.

톱니의 종류에 따른 구분
톱은
- 삼각톱,
- 이리톱으로 구분된다.

톱니 구분


일반 톱니 가는 법은?
평면 줄로 톱니 높이를 모두 같게 갈아준다.
톱니 곡지선이 일치하도록 한다.
톱니 꼭지선 조정 시 낮아진 꼭지선만큼 톱니 홈을 파주어서 홈의 바닥이 직선이 되도록 한다.
양면 날을 일정한 각도로 연마한다.



삼각톱니 가는 법은?
줄질은 안내판 선과 평행하게
줄질은 안에서 밖으로



삼각 톱날 연마각도(가슴각)는?
가슴각 침엽수는 60도,
가슴각 활엽수는 70도(꼭지각이 더 날카롭다)
꼭지각은 38도

** 꼭지각이 38도, 가슴각은 62도~70도

구분 삼각톱날 이리톱날
꼭지각 38도 50-60도
가슴각 침엽수- 60도
활엽수 -70도
침엽수- 60도
활엽수 -75도
등각 80도?? 35도

** 합계가 180도 안나오는데.....




톱니 젖힘
톱니 젖힘은 나무와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
침엽수는 활엽수보다 많이 젖힌다.( 목섬유가 연하고 마찰이 크기 때문)
톱니 젖힘은 톱니 뿌리선에서 2/3 지점을 중심으로 밖으로 젖힌다.
젖힘의 크기는 모든 톱니가 일정해야 한다.

활엽수는 0.2~0.3mm
침엽수는 0.3~0.5mm

** 활엽수가 더 강하다. 더 날카로워야 한다.(0.2335mm)



이리톱의 톱날 연마각도
가슴각 - 침엽수 60도
가슴각 - 활엽수 75도 정도
톱니 꼭지각은 56~60도
톱니 등각은 35도 정도이다.
톱니 젖힘은 삼각톱과 같다.
활엽수나, 얼어있는 나무는 0.3mm
침엽수는 0.4mm


산림자산과 감가상각


산림자산의 종류

생산자산 - 고정자산, 유동자산, 임목자산

고정자산 - 임지, 건물, 기계
임목자산 - 임목 축적분
유동자산 - 미처분임산물, 묘목, 비료, 종자



감가상각의 종류
물질적 감가 - 기계의 사용과 자연적 감가
기능적 감가 - 진부화, 부적응(기능상실)에 의한 감가

구분 내용
물질적 감가 사용에 의한 감가,
자연적 감가
진부화 감가 기술발달로
장비의 구형화
부적응 감가 사업의 변화 및 확장으로
설비 부적응

감가상각비 계상법
정액법,
정률법,
급수법,
비례법,
연수합계법

산림기능사 정액 감가상각비
적용 예)
구입가 30,000,000의 정액 매년 감가상각비
잔존가는 취득가의 10%
상각률 20%
내용연수 = 5,
매년 상각비를 구하려면 내용연수를 1 로

매년 정액 감가상각 -
D = 30,000,000 - 3,000,000 = 27,000,000
27,000,000 / 1 X 0.2 = 5,400,000

정액 감가상각 -
D = 30,000,000 - 3,000,000 = 27,000,000
27,000,000 / 5 = 5,400,000

작업경비의 종류는?
기계손료
인건비
연료비


산림산업의 임업기계화의 목적은?
노동생산성 향상
생산비용 절감
중노동 해방


★국내에서의 임업기계화를 진행하는데 제약사항은?
험준한 지형
영세한 규모의 산림경영
기계화 사업의 경험 부족



임업기계화의 종류
인력 작업단계
- 대부분의 작업을 인력이나 소형 동력 작업기로 한다.

부분 기계화 작업단계
-벌목은 체인톱, 집재는 기계화

중급 기계화 - 소경재 중경재 벌목작업에서 사용
고급 기계화 - 벌목작업만 체인톱으로 하고 조재, 집재 작업은 임목수확전용 기계로 한다.
고급 기계화 - 작업능률, 노동생산성이 좋다.

완전기계화 작업단계
- 전과정 기계화
- 펠러번쳐, 프로세서, 하베스트 이용
- 집재작업에는 집게 있는 트랙터, 포워더를 사용

■■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