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능사 필기시험 요약 - 2. 한국 조경사
본문 바로가기
기능사자격증으로/조경기능사 필기시험대비

조경기능사 필기시험 요약 - 2. 한국 조경사

by molbania3 2022. 3. 28.
반응형

조경기능사 필기시험 대비 요약
2. 한국 조경사


조경, 정원 용어 참고

방지(方池) - 사각형 연못,
방도(方島) - 사각형 섬(장방형)
원도(圓島) - 원형 섬

방지방도(사각 연못, 사각형 섬) 
방지원도(사각 연못, 둥근 섬)

원지(菀池) - 지원(연못이 있는 정원)
석가산 - 괴석으로 구성된 산 모양

화계(花階) - 꽃 계단
석지(石池) - 돌로 만든 연못
첨경물 - 정원에 추가된 조경 소재
십장생 - 해, 산, 구름, 바위, 소나무, 거북, 사슴, 학, 불로초, 물
사군자(四節友) - 매, 난 국, 죽 (명나라 진계유의 그림, “매란국죽사보“)에서 유래
별장 - 전원생활 목적의 주거지
별서 - 은둔 목적의 주거지
별업 - 관리 목적의 주거지(아지트)
누정원림(누각과 정자) - 명승지에 간단한 정자를 세운 곳
원림(園林) - 정원의 중국어(인공 숲)



한국 조경사의 특징

전체적으로 직선을 기본으로 공간을 구성(예외, 안압지는 중국의 정원형식인 직선과 곡선으로 조성)
신선사상이 배경 - 경회루, 광한루, 궁남지, 정림사, 미륵사지, 안압지(경광한-안정미궁뎅이...로 외우자)
수심을 양성하는 기능을 한다.
계단모양의 후원과 화계(꽃 계단)
정원의 연못 형태와 단조로운 공간 구성(직선)
원림 속의 풍류를 목적으로 한 정원형태를 구성했다.
수목은 주로 낙엽활엽수로 계절감각을 나타낸다.(꽃나무류)
자연과의 일체감을 중요시함

*선과 곡선의 혼합은 중국정원식임

 

 

동양의 조경의 철학적 기반은

음양오행설, 자연숭배, 신선설



시대별 정원의 역사
고조선 - 유(囿), 금수를 기르던 최초의 정원(유는 동물원의 의미)
고구려 - 안학궁 정원, 장안성 - 4성,  동명왕 진주지
백제 - 임류각, 궁남지, 석연지(임궁석 순서)
신라 - 정전법의 시가지 구획(가로 세로), 목련


통일신라시대의 정원
안압지, 포석정곡수거, 유상곡수연, 사절유택, 별서 풍습

*안압지만 유일하게 직, 곡선 혼합(직선, 곡선 혼합은 중국조경식)



고려시대
궁궐 정원 - 구영각 지원, 격구장, 화원, 석가산 정원
민간정원 - 문수원 난지, 이규보의 사륜정
객관 정원 - 순천관(대표 객관정원)



조선시대
경복궁 - 경회루, 아미산원, 향원정 지원, 자경전의 화문장
창덕궁 - 후원(비원), 낙선재 후원, 대조전 후원
창경궁 - 통명전
덕수궁 - 석조전, 침상원
별서정원- 양산보 소쇄원, 윤선도 부용동 원림, 정약용의 다산정원
별업정원 - 윤개보 조석루원
누정원림- 광한루, 활래정. 명옥헌원. 전신민의 독수정원림
별당정원 - 서석지원, 하환정 국담원, 다산초당원림

 

*연도별 정원의 순서를 묻는 문제가 있다.
안학궁-임류각-궁남지-석연지-포석정(안임금이 석포로 가다.)



고조선 시대
대동사강 단씨조선기에 노을 왕이 새와 짐승을 키우는 유(囿)를 조성
* 최초의 조경 시설로 본다.



고구려 시대
안학궁
- 신선사상 기반의 자연풍경식 정원,
- 자연 곡선과 인공 축산의 형태

*신선사상 정원 - 안학궁, 정림사, 안압지, 미륵사지, 궁남지, 광한루



장안성(평양성) - 4성으로 구성
외성-민가
중성-관청
내성-왕국
북성- 사원과 국방


백제시대
임류각(백제 동성왕, 파괴됨)
- 경관조망, 궁궐의 후원, 높은 누각,
- 위락(사냥) 기능,
- 삼국사기에 전각과 임류각을 지었다는 기록이 있음

*문헌상 최초 정원



궁남지(무왕)
- 부여에 현존, 최초의 신선사상을 배경으로 한 지원.
- 못의 형태는 방(方, 사각형) 형
- 버드나무를 식재, 누각
- 못 안에 방장(섬-봉래산 상징), 교각이 있음

최초의 신선사상 접목 정원 - 궁남지


석연지(의자왕)
- 돌로 연못(어항)을 만들고 연꽃을 넣었다. 정원용 첨경물
- 조선시대의 세심석으로 발전
- 건축기술이 일본에 전해짐

* 돌연꽃이 아니다.
* 일본에 정원기술 전수 : 노자공

 


신라시대 조경과 정원
- ★동사강목- 신라시대 조경의 최초 기록
- 정전법 -시가지 구성 격자형 구획
- 목단(목련) 도입


통일신라시대 정원

임해전 지원(안압지, 월지)
- 신선사상이 배경으로 해안 풍경
- 직선과 다양한 곡선 처리(한반도 지형과 유사)
- 동사강목, 삼국사기 기록
- 면적 40,000 m2, 연못 17,000 m2
- 3개의 섬(석가산은 무산 12봉을 상징), 거북섬
- 정적으로는 위락공간, 동적으로는 선유 공간

* 중요, 직선곡선, 삼국유사가 아니다.(기출나옴)

 


포석정
- 왕희지의 난정고사를 본뜸
- 유산곡수연(풍류)

*곡수연 - 굽어서 흐르는 연못(통일신라 포석정)

 


사절유택
- 계절에 따른 귀족의 별장
- 봄(동야택), 여름(곡양택), 가을(구지택), 겨울(가이택)


고려시대

궁궐 정원
★동지 - 위락공간
화원(화오) - 화단
석가산(괴석) 정원 - 중국 석가산 정원이 도입됨
격구장 - 말 타고 공놀이

민간정원
춘천 청평사의 문수원 영지(남지)
사다리꼴 방지(연못)

* 고려시대 민간 정원( 시대구분에서 자주나온다)


고려시대의 정원의 특징은?
강한 대비, 호화 사치스러움(송나라 영향)
시각적 효과 - 관상 위주의 정원
괴석으로 조성된 석가산, 원정, 화원 등을 후원이나 별당에 배치했다.
휴식과 조망을 위한 정자문화
식생은 낙엽활엽수, 꽃과 열매 감상이 대부분
* 우리나라의 식생의 특성상 정원 나무는 낙엽활엽수가 대부분이다.
* 예종과 의종(예의)



★고려와 조선시대 조경, 원림을 관장하는 관서는?
고구려 - 궁원
고려 - 내원서
조선 - 상림원(전기), 산택사, 장원서(후기), 원유사


조선시대 정원의 특징
중국식 조경의 모방을 벗어니 한국적 정원 기법 발달
자연과의 조화를 중요시함
풍수지리설의 영향을 받음
신선사상의 영향 계속, 삼신상, 십장생, 중도(島)
음양오행사상 - 연못의 형태가 방지원도형태
은일사상
** 방지방도 - 사각형 연못에 사각형 섬


조선시대 후원 장식용 장치는?
세심석
괴석
굴뚝


조선시대 침전 후원에 주로 설치한 조경은?
계단식 노단


조선시대 주택정원 구성의 대상은?
후원(뒤뜰), 사랑채의 마당



조선시대 궁궐정원, 경복궁 - 경회루
- 방지와 3개의 방도(방지방도형)
- 사신영접, 궁중연회, 유희공간

방지방도형 정원 대표


경복궁 - 교태전 후원의 아미산원
- 4단의 계단식 화계
- 돌배나무, 말채나무, 쉬나무 식재
- 첨경물로는 석지, 굴뚝(십장생 조각), 괴석, 화계, 화문담(꽃문양 담)


경복궁 - 향원정 지원
- 원형에 가까운 부정형
- 연꽃이 식재
- 취향교라는 다리가 있음


경복궁 - 자경전
- 화문담(꽃 장식이 된 담), 나비, 국화꽃, 대나무, 석류, 천도, 매화)
- 굴뚝 - 십장생과 포도, 연꽃, 대나무가 조각됨

* 꽃담에 그려진 나무, 꽃에 대한 문제가 시험에 나왔습니다.




창덕궁
- 궁궐 안의 원림조성
- 다래나무(600년), 향나무 식재


창덕궁 - 대조전 후원
- 계단식 화계
- 가장 자연스러운 정원 조성(자연지형의 원림)


창덕궁 - 낙선재 후원
- 화강암 장대석 사용
- 5단의 화계
- 단청을 하지 않음


창덕궁 - 후원
- 금원, 비원, 북원, 후원으로 불림
- 부용정 - 인공적인 방지원도 정원
- 애련정 - 연경당(민가 모방), 화계단, 단청이 없음
- 관람정 - 부채꼴의 반원 형태의 자연 곡선 모양의 원림(한반도 모양)
- 존덕정 - 6각 지붕
- 옥류천 - 5 개의 정자, 인공폭포, 곡수거, 위락공간
* 부채꼴 모양의 정자 - 관람정, 선자정, 졸정원

방지원도형 정원 대표

* 정원중 국보 정원이다.



창경궁
- 통명전을 중심으로 후원과 석난지(중도형 장방형)

창경궁 - 통명전 지당(연못 마당)
- 사각 방지, 아치형 돌다리(석교), 석 난간


창경궁 - 낙선재
- 1847년 근래에 건립
- 서재, 사랑채


덕수궁
- 석조전, ★최초의 서양식 건물
- 침상원. 최초의 유럽형(프랑스식) 평지 정형식 정원


민간정원으로 주택정원의 대표적인 곳은?
강릉 선교장, 구례 운조루, 봉화 청암정(구암정), 광주 환벽당


별서정원의 대표적인 곳
- 양산보의 소쇄원(정형적, 유학적)

   (제월당, 애양단, 고암정사. 오곡문, 매대, 난대, 광풍각 등 10여개)
- 윤선도의 부용동 원림(세연정역, 동천석실역)
- 정약용의 다산정원( 방지원도, 석가산)
* 조선시대이다.(순서도 기억하자)

 

대표적인 별당정원
- 정약용의 다산초당(방지원도, 석가산)
- 정영방의 서석지원(수경정원)
- 주재성의 하환정 국담원(방지방도, 거북이 돌)
* 조선시대이다.


방지방도와 방지원도의 대표 정원들은?
방지방도(사각 연못, 사각형 섬) 대표 정원
- 경회루, 활래정, 부용동 세연정지원, 화환정토담원,


방지원도(사각 연못, 둥근 섬) 대표 정원
- 창덕궁부용정. 창경궁부용정, 경복궁향원정, 다산초당, 하엽정정원


누각과 정자
- 누각은 관가에서, 정자는 민간에서 만듦
- 대표적인 루(누각) - 광한루

- "누"는 천지인 3재를 주제로 한다.


- 대표적인 정자 - 강릉 선교장 활래정(자연적인 형태의 연못)
- 정영방의 서석지



조경에 대한 역사적 문헌들
양화소록(강희안) - 조경식물에 대한 전반적 고찰
화암소록(강희안) - 양화소록 부록
산림경제(홍만선) - 농가
임원경제지(서유거) - 정원식물의 종류, 경승지 소개

고려사



조선시대 정원의 식재식물 종류는?
낙엽활엽수의 꽃나무류, 고유수종
* 과일나무는 아니다.

 

 

조선시대 민간주택 마당의 종류와 역활

대문과 현관 사이 - 정전(앞뜰)

거실앞, 휴식 - 주정(안뜰)

건물사이의 마당 - 중정

침실쪽, 사생활 보호, 부녀자들의 공간 - 후정(뒷뜰)

후정은 궁정의 후원처럼 독특한 정원을 보여주고 있다. - 화계(꽃계단)

작업장 - 작업정, 차폐식물, 화초류, 관목을 식재

* 후정과 사랑마당(안뜰)이 중요한 곳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정원들
1. 최초의 국립공원 - 지리산 1967년
2. 최초의 공공공원 - ★파고다(탑골, 1897) 공원 - 영국인 브라운
3. 최초의 서양식 건물 - 덕수궁 석조전
4. 최초의 유럽식 정원 - 덕수궁 침상원(프랑스식 정형 정원)
5. 문헌상 최초의 정원 - 백제 임류각
6. 최초로 우리나라 공원법이 제정 -1967년
7. 조경식물에 대한 최초의 문헌 - 강희안의 양화소록
8. 최초의 신선사상이 접목된 정원 - 궁남지
9. 최초의 정원 조경에 관한 서적 - 대동사강

 

* 대동사강 잊지마라.
* 파고다(탑골)공원은 일제 이전이다.

*사군자 : 매난국죽

*사절우 : 매송국죽(실외 친구들로 난이 빠지고 소나무)

 

출처 : 이사진과 글은 CC-BY-SA 3.0에 따라 공개 배포되는 위키백과 문서 를 사용합니다.
조경기능사 필기대비 요약본 2

조경기능사필기대비 요약본2.hwp
0.04MB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