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 4. 일본의 조경사
본문 바로가기
기능사자격증으로/조경기능사 필기시험대비

조경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 4. 일본의 조경사

by molbania3 2022. 3. 29.
반응형

조경기능사 필기시험 대비 요약
4. 일본의 정원과 조경 역사



* 일본의 정원과 조경 용어

지피류(식물) - 땅 위를 덮고 있는 잡초
사의[寫意] - 외형보다는 내재적인 정신이나 의취(意趣)를 표현하는 것
축경[縮景]식 - 동양 산수화나 수석 ·분재 등의 형식으로 광대한 자연경을 축소하여 꾸미는 기예.
고산수[枯山水]식 - 동양의 정원 구성 양식의 하나로, 식물과 물이 없이 이루어진 정원
임천 [林泉] -숲 속의 샘물. 숲 속의 자연. 은사(隱士)의 정원(庭園).
회유 - 연못을 돌아 다닌다는 산책의 의미(섬과 다리)
* 배를 탄다는 의미는 아니다.

 


일본 정원 양식, 조경의 특징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 사의주의 자연풍경식이 발달
자연의 사실적인 취급보다 자연풍경을 이상화하여 독특한 축경법으로 상징화된 모습을 표현
(자연 재현 - 추상화 - 축경화로 발달)
기교와 관상적 가치에만 치중하여 세부적 수법 발달, 실용적 기능 무시
조화를 중요한 조경기법으로 사용
차경수법이 가장 활발함
인공적 기교 중시, 축소지향적, 추상적 구성, 관상적
지피류 많이 사용

** 기교와 관상, 사의주의가 자주 나온다.



★일본 정원의 양식 변천

임천식
- 침전 건물 중심이며, 정원 중심에 연못과 섬을 만드는 수법.
- 자연경관을 인공으로 축경화(縮景化)하여 산을 쌓고 못, 계류, 수림을 조성한 정원

** 침전식 정원 기법 - 침전 앞에 못과 섬을 만드는 방법


회유임천식
- 임천식 정원의 변형

- 숲과 깊은  굴곡의 수변을 이용한다.

- 섬과 연못에 다리로 연결 설치하는 방식, 회유식

** 다리 연결이 중요한 포인트이다.

** 침전이 들어가면 침전식, 임천이다.



축산(산을 쌓음) 고산수 수법(14C)
- 나무를 다듬어 산봉우리 표현
- 바위를 세워 폭포수 상징(중심점).
- 왕모래로 강을 표현하는 수법,
- 대표 정원은 대덕사 대선원.
- 주된 표현내용은 정토세계의 신선사상이다.

평정 고산수 수법(15C 후반)
- 왕모래와 몇 개의 바위만 정원 재료로 사용하고
- 식물재료는 사용하지 않는다.
- 축석기교가 최고로 발달.
- 대표 정원은 용안사로 연못 모양이 복잡해짐

다정양식(16C)
- 다실 중심으로 소박함을 풍기는 양식, 상록활엽수
- 윤곽선 처리에 곡선 많이 사용
- 도산시대에 발달

원주파 임천식(에도)
- 임천식과 다정식의 결합으로 실용에 미를 더함

축경식 수법
- 자연경관을 그대로 옮기는 수법,


일본 정원의 철학적 변화 과정
자연 재현-> 추상화 -> 축경화.


조경기법의 발생순서
회유임천식-> 고산수식-> 다정식 -> 축경식


조경 양식의 변화
침전식 - 축산임천식 - 회유임천식 - 축산고산수식 - 평정고산수식 - 다정양식 - 원주파 회유인천식 - 축경식

구분 조영방식
비조시대
아스카
임천식
평안시대
헤이안
침전식
겸창시대
가마쿠라
침전식,
축산임천식
회유임천식
실정시대
무로마치
축산 고산수식
평정 고산수식
도산시대
모모야마
다정식
강호시대
(에도)
회유식,
원주파 임천식
명치시대
메이지
축경식

 



비조(飛鳥) 시대, 아스카시대(593~709)

수미산과 오교로 된 궁전 정원 축조(백제인 노자공)
- 문헌상 일본 최초의 정원,
- 일본서기(일본 조경에 관한 현존하는 최고의 기록)에 기록
- 불교사상 배경
- 수미산, 돌에 조각을 가한 석조물로 추정(신선설의 영향)
- 곡수연의 시작

** 한국, 백제가 일본 정원 양식에 영향을 주었다.



평안(헤이안) 시대 전기(793~966)

- 전 시대까지의 조경기법(신선 정원, 자연풍경 묘사 정원) 전수
- 임천식 정원(자연경관을 인공으로 축경화하여 산을 쌓고 연못, 계류, 수림을 조성한 정원} 또는 회유임천식 정원이라 함

해안풍경 묘사 정원 등장
- 하원원 : 사교장소. 못가에 가마솥 설치해 해수를 끓여 수증기 솟아오르게 함
- 자아원 : 대 택지
- 육조원 : 신이 있는 해안 풍경

신선 정원(신선사상 배경 정원)
- 신천원(수렵장, 사교장) 왕궁 남쪽에 붙어 있는 금원(용천으로 가뭄에도 물이 마르지 않아 신천원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 조우전 후원
- 백량전
- 대각사 차아원 : 대각사는 사가천황의 이궁 차아원이 전황 사후 절로 바뀜



평안(헤이안) 시대 후기(967~1191)

- 침전조 정원 양식, 정토정원 양식 출현
- 불교식 정토사상의 영향으로 회유임천식의 양식이 정립됨(자연식 정원 중 숲과 깊은 굴곡의 수변 이용한 정원)


침전조 정원
- 주택 건물 앞에 정원을 배치하는 기법(정형화된 정원)
- 동삼조전 - 연못에 3개의 섬이 있고, 주변은 자연지형의 산과 울창한 나무, 섬과 섬 사이의 평교 및 홍교 설치, 꽃나무 식재, 헤이안 시대를 대표하는 대저택

작정기(作庭記) - 저자 귤준강
- 일본 최초의 조원지침서(정원서)
- 일본 정원 축조에 관한 가장 오래된 비전서
- 침전조 건물에 어울리는 조원법 서술
- 내용으로는 돌을 세울 때 마음가짐과 세우는 법, 못의 형태, 섬의 형태, 폭포 만드는 법, 원지를 만드는 법, 지형의 취급방법 등이 기술되어 있다.

정토 정원
불교의 정토사상을 바탕으로 한 사원
기본배치 - 남대문 - 홍교 - 중도 - 평교 - 금당으로 이어지는 직선 배치
대표적 정원 - 평등원 정원(사계절 감상), 모월사 무량광원(해안풍경 연출)

신선정원
평안조 후기에 유행
조우이궁 : 신선도를 본뜬 본격적 정원의 시초



경창(가마쿠라) 시대(1192~1338)

선종의 전파로 정원 양식에 영향을 미침. 고급 저택, 전시대의 정원 그대로 답습

정토정원
- 정유리사정원, 청명사정원, 영보사정원

선종정원
- 자연지형(心자형) 이용한 입체적 요소
- 남선원정원
- 서천사정원 : 몽창국사 작품. 동굴이 특징적. 마애의 조각적 산수정원
- 서방사정원 : 나무와 물을 쓰지 않는 고산수지천 회유식 심(心)자형 연못이 있고, 해안풍의 지안선, 야박석이 가장자리에 여러 개 배치하여 항구에 배가 정박해 있는 모습을 상징화함. 이끼의 정원이며 가운데에 연못이 있어 지천회유식 또는 임천회유식이라고 한다.

몽창국사
겸창, 실정 시대의 대표적 조경가이며 선종 사원의 창시자
정토사상의 바탕 위에 선종의 자연관 접목
대표작 : 서방사정원, 서천사청원. 영보사정원, 혜림사 정원, 천룡사 정원



실정(무로마찌) 시대(1334~1573)

- 선종의 영향으로 고산수정원의 형성 및 발달. 정토정원은 계속 유지
- 일본 조경의 황금기
- 선(禪)사상이 정원 축조에 영향을 주었다.

정토정원
- 천룡사 지원(정원)
몽창국사 작품. 지천회유식, 조원지 중심의 심(心)자형 연못을 구성하고 천황의 명복 위해 만든 사원으로 석조 기법이 뛰어남, 자연 곡선이 처리된 못가에 경석을 배치했다.

- 금각사(녹원사)
정토세계를 구상한 정원(황금각이 경호지 북안에 위치, 야박석 배치)

- 은각사(자조사)
고산수 지천 회유식, 조석을 중요시하고 정원 면적이 축소된 경향을 띤다. 금각사를 모방하여 만들어짐

고산수 지천회유식 정원
고산수 지천회유식 정원 -은각사


고산수(故山水)정원

- 일본어로 "가레산스이(かれさんすい)"
- 신선사상의 영향으로 고도의 상징성과 추상적 구성
- 물을 사용하지 않고 산수의 풍경을 상징적으로 표현
- 축소지향적인 일본의 민족성을 잘 표현하는 방식이다.
- 고도의 세련미 요구(대덕사 대선원, 용안사)
- 물 대신 모래를 사용해 바다나 계류를 나타내고, 암석을 세워 폭포를 조성, 돌을 사용하여 섬 또는 반도를 표현했다.
- 상록활엽수를 사용하다가 나중에는 식물을 사용하지 않음

축산고산수 수법(14C)
- 초기적 수법, 정토사상, 신선사상, 바위(폭포), 왕모래(냇물), 다듬은 수목(산봉우리) 사용
- 나무를 다듬어 산봉우리의 생김새를 얻게 하고 바위를 세워 폭포를 상징하며 왕모래를 깔아 냇물이 흐르는 느낌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수법
- 강조의 중심 : 폭포와 바위돌
- 대표 정원: 대덕사 대선원(大徳寺には大仙院書院庭園) - 흰모래, 소나무 식재, 고산수의 초기 작품

축산고산수법 -대덕사
大徳寺には大仙院書院庭園



평정고산수 수법(15C 후반)
- 축산고산수에서 더 나아가 초감각적 무(無)의 경지 표현
- 식물의 사용 없고, 왕모래와 몇 개의 바위만 사용
- 대표 정원 : 용안사 방장정원 - 서양에서 가장 유명한 동양정원. 두꺼운 토담으로 둘러싸인 장방형의 방장마당에 백사를 깔고 물결모양으로 손질. 15개의 암석을 자연스럽게 배치. 추상적 고산수 수법

평정고산수식 정원 전형 -용안사
평정고산수식 정원 전형 -용안사



축산고산수법과 평정고산수법의 차이
공통점 - 물을 사용하지 않음
다른 점 - 나무(평정 고산수법은 나무를 사용하지 않음 -더욱더 추상화됨), 돌, 모래

축산고산수법 대표 - 대덕사 대선원

평정고산수법 대표 - 용안사

* 고산수(故山水)정원 - 축소지향적인 일본의 민족성을 잘 표현하는 방식이다.

 

 

일본 정원에서 고산수법이 유행하게 된 이유는?

선사상의 상징성, 추상성 표현이 주류가 됨

중국 수묵화 영향

전란으로 재정부족으로 정원 면적 축소

새로운 정원 양식이 요구됨



도산(모모야마) 시대(1574~1603)

- 자연 순응적 정원에서 탈피한 과장된 호화 정원 축조(일본인의 간소미와 대조적)
- 다정(茶庭)식 정원의 출현
- 사상은 선사상(仙思想)에서 출발
- 고산수정원이 확립

신선정원
- 삼보원 정원 :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축조. 호화로운 조석(組石)과 명목(名木)이 과다 식재

다정원(노지형, 다정)
- 호화로운 정원과는 대조적 경향으로 실정 시대부터 시작됨, 다실과 다실에 이르는 길을 중심으로 좁은 공간에 꾸며지는 자연식 정원으로 다도를 즐기는 다실과 인접한 곳에 자연의 한 단편을 교묘히 묘사한 일종의 자연식 정원

- 특징, 음지식물을 사용, 화목류를 사용하지 않음

- 평지에 노지형으로
- 좁은 공간을 이용하여 필요한 모든 시설 설치
- 윤곽선 처리에 곡선이 많이 시용
- 특정 구조물 : 징검돌, 자갈, 쓰꾸바이(물통), 세수통, 석등, 이끼긴 원로
** 다정식의 첨경물이 자주 시험에 나온다.



도산시대의 대표적인 조원가
- 소굴원주 : 건축과 정원 등 조경 관계 전문가. 대담한 직선. 인공적 곡선과 곡면 도입
- 천리휴 : 자연에 가까운 숲 속 분위기 연출



다정식 정원의 소재별 의미

정원 재료 표현내용
디님돌, 포석 풍우에 씻겨
드러난 산길
물통, 세수분, 돌그릇 샘터
솔잎 무성한 숲속
석등, 석탑 사찰, 참배의 길

** 물통, 세수분 등은 신선사상에 영향을 받음



강호(에도) 시대(1603~1867)

- 일본의 특징적 정원 문화인 자연축경식 정원 탄생
- 후원은 건물과 독립된 정원으로 지천회유식
- 원주파임천식(임천양식과 다정양식의 혼합, 지천회유식), 다정양식의 완성
- 원주파임천식을 에도임천식이라고도 한다.


- 대표 정원
수학원 이궁 : 상, 중, 하 3개의 독립적 다실역으로 구성. 자연풍경식
계리궁 - 서원이나 다정 주위에 직선적 원호 배치. 섬-신선사상


에도시대 3대 공원
- 강산 후락원(곡수다정식),
- 육림원,
- 겸육원(원주파임천식)



명치(메이지) 시대(20세기 전기) 이후

- 문호 개방으로 서양풍의 조경문화(서양식 화단과 암석원) 도입,
- 축경식정원(자연풍경을 그대로 축소 묘사)
- 규모가 작은 공간에 기암절벽, 폭포, 산, 연못, 절, 답 등을 한눈에 감상
- 대표 공원, 일본 최초의 서양식 공원 - 히비야 공원

 

*서양식 공원 최초

중국- 청나라 원명원

한국 - 덕수궁 침상전

일본 - 메이지 히비야공원


시대별 대표적인 정원

시대구분 종류 대표정원
비조시대 신선정원 수미산, 오고(홍교)
평안
전기시대
해안정원 하원원, 육조원, 차아원
" 신선정원 신천원, 조웅전 후원, 주성원의 백량전
평안
후기시대
침전조정원 일승원, 동삼조전(정형적),
" 정토정원 평등원, 모월사 무량광원
겸창시대
(선종의 유래)
정토정원 정유리사, 청명사, 영보사
" 선종정원 서천사, 서방사, 남선원
실정시대 정토정원 천룡사, 녹원사(금각사), 자조사(은각사)
" 축산 고산수정원 대덕사 대선원
" 평정 고산수정원 용안사
도산시대 다정식 신선정원 시호사 삼보원
강호시대(에도) 회유임천식과
다정식 혼합
계리궁, 수학원 이궁,
강산 후락원, 육의원, 겸육원
명치시대 서구식 정원 히비야공원

** 해안 정원 - 해안 풍경을 만든 정원을 말한다.



일본 최초의 정원은?

문헌상 일본 최초의 정원 -수미산과 오교로 된 궁전 정원
가장 정형적 정원(침전조식) - 동삼조전
불교식 정토사상의 영향을 받기 시작한 시대 - 헤이안시대

불교식 정토사상이 본격적으로 영향을 받기 시대 - 경창, 카마꾸라시대

선(禪)사상이 정원축조에 지대한 영향을 준 시대 - 무로마치(실정)시대 
신선도를 본뜬 본격적 정원의 시초 - 조우이궁(헤이안시대)
서양에서 가장 유명한 동양정원 - 용안사 방장정원
일본 최초의 서양식 공원 - 히비야공원
불교 선종이 최초로 적용된 시대 - 경창(가마쿠라)시대
일본 최초의 조원지침서(정원서) - "작정기(作庭記)" 저자 귤준강

자연축경식이 시작된 시기는 - 에도시대


 

조경기능사 필기대비 요약본- 중국,일본 조경사

조경기능사필기대비 요약본3-4.hwp
0.08MB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