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군별 인구수
경기도 남부지역 시군별 인구수와 증감률
2010년 대비 2022년
2020년 대비 2022년 비교
1. 경기 남부 시군별 인구수
먼저 경기도 남부지역 인구와 경기도 북부지역 인구를 알아봅니다.
시군구 | 2010년 | 2020년 | 2022.05 |
경기도 | 11,786,622 | 13,427,014 | 13,581,496 |
경기도 남부 | 8,325,773 | 9,482,722 | 9,584,972 |
경기도 북부 | 3,460,849 | 3,944,292 | 3,996,524 |

경기도의 인구는 서울의 인구가 줄어들면서 자연스럽게 경기도의 인구가 늘어 갔습니다. 물론 지방에서 많이 이전해 온 것도 있습니다. 경기도에는 인구 100만 이상인 도시가 3곳이나 있습니다. 수원시, 용인시, 고양시입니다. 이밖에도 인구 100만에 육박하는 도시도 많습니다. 성남시, 부천시, 동탄이 있는 경기도 화성시는 폭발적인 인구 증가를 보여주며 거의 90만 명을 넘었습니다. 곧 1백만이 넘는 도시가 될 것 같습니다.부천시는 인구가 줄었네요.
시군구 | 2010 | 2020 | 2022.05 |
수원시 | 1,077,535 | 1,186,078 | 1,185,041 |
성남시 | 980,190 | 940,064 | 927,340 |
안양시 | 621,714 | 550,027 | 549,917 |
부천시 | 875,204 | 818,383 | 800,174 |
광명시 | 343,982 | 298,599 | 290,726 |
평택시 | 419,457 | 537,307 | 570,868 |
안산시 | 714,891 | 654,915 | 649,776 |
오산시 | 182,516 | 229,725 | 230,011 |
시흥시 | 403,797 | 500,895 | 513,653 |
군포시 | 287,833 | 273,791 | 267,659 |
의왕시 | 147,443 | 163,795 | 161,696 |
하남시 | 150,479 | 293,452 | 323,675 |
용인시 | 876,550 | 1,074,176 | 1,076,530 |
안성시 | 177,937 | 187,012 | 189,969 |
김포시 | 238,339 | 473,970 | 485,453 |
화성시 | 505,838 | 855,248 | 894,587 |
광주시 | 249,789 | 382,054 | 389,483 |
과천시 | 72,279 | 63,231 | 78,414 |
2. 경기 남부 시군별 인구증감과 증감률
(2010년 대비 2022년, 2020년 대비 2022년)
경기도 하남시, 2010년 대비 2020년에 115%의 인구 증가, 2020년 대비해서도 10% 증가, 매년 105씩 성장해온 셈입니다. 김포시도 비슷합니다.
시군구 | 증감 2010-2022 |
증감률 2010-2022 |
증감률 2020-2022 |
수원시 | 107,506 | 9.98% | -0.09% |
성남시 | ▼52,850 | -5.39% | -1.35% |
안양시 | ▼71,797 | -11.55% | -0.02% |
부천시 | ▼75,030 | -8.57% | -2.22% |
광명시 | ▼53,256 | -15.48% | -2.64% |
평택시 | 151,411 | 36.10% | 6.25% |
안산시 | ▼65,115 | -9.11% | -0.78% |
오산시 | 47,495 | 26.02% | 0.12% |
시흥시 | 109,856 | 27.21% | 2.55% |
군포시 | ▼20,174 | -7.01% | -2.24% |
의왕시 | 14,253 | 9.67% | -1.28% |
하남시 | 173,196 | 115.10% | 10.30% |
용인시 | 199,980 | 22.81% | 0.22% |
안성시 | 12,032 | 6.76% | 1.58% |
김포시 | 247,114 | 103.68% | 2.42% |
화성시 | 388,749 | 76.85% | 4.60% |
광주시 | 139,694 | 55.92% | 1.94% |
과천시 | 6,135 | 8.49% | 24.01% |
3. 경기도 (남부) 시군별 인구 증감률
(2020년 대비 2022년)
아래 그래프에서 인구증가가 100%를 넘긴 도시들을 볼 수 있습니다. 10년 만에 인구가 두배로 증가한 것이지요. 인구의 수도권 쏠림이 얼마나 심각한지 볼 수 있습니다.
그 와중에도 경기 화성시 인구 증가율은 76%, 경기도 광주시는 56%, 평택시는 36% 이상 증가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신흥 시군이 성장하는 사이 오래된 구 도심을 갖고 있는 도시들은 5%~15% 사이로 줄어들었습니다.

그러고 보니 경기남부지역은 전부 시단위의 지자체입니다. 경기남부 전체가 도시화가 이루어진 것이지요. 최근에 경기남도와 경기북도로 분리하니 어쩌니 하던데 그러면 경기남도는 전부 도시화가 되는 것입니다. 좋은 일인지, 발전적인 것인지, 숨 막혀 죽을 일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렇습니다.
▶경기도 남부 시군별 인구수 알아보기
경기도(북부) 시군별 인구수, 증감률
전국 시군별 인구수 경기도 북부지역 시군별 인구수와 증감률 2010년 대비 2022년 2020년 대비 2022년 비교 1. 경기도 북부 시군별 인구수 경기도 전체 인구와 경기도 남부지역, 경기도 북부지역의 인
karl5044.tistory.com
◎◎
'통계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광역시 자치구별 인구수(2022년) (1) | 2022.07.07 |
---|---|
울산광역시 자치구별 인구수 (2022년) (0) | 2022.07.07 |
대한민국 장래 인구추계 - 2022부터 2070년 연도별 인구수 (1) | 2022.07.06 |
경기도(북부) 시군별 인구수, 증감률 (0) | 2022.06.12 |
제주도, 세종시 인구수와 증감률 (0) | 2022.06.12 |
경상남도 시군별 인구수, 증감률 (0) | 2022.06.11 |
전라남도 시군별 인구수, 증감률 (0) | 2022.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