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관리, 병충해의 방제 2 - 조경기능사 필기대비
본문 바로가기
기능사자격증으로/조경기능사 필기시험대비

조경관리, 병충해의 방제 2 - 조경기능사 필기대비

by molbania3 2022. 6. 20.
반응형

조경기능사 자격증 필기시험 대비
33. 조경관리, 해충과 방제


한국 3대 해충은
흰불나방, 솔잎혹파리, 솔나방 (솔솔흰불)

3대 해충
출처 : 산림청 자료


소나무 3대 해충은?
솔잎혹파리, 솔나방, 소나무좀(솔솔좀),

소나무좀
출처 : 산림청 자료

 


코흐의 4단계 법칙
①해당 질환의 병 환부에서 공통의 병원체가 발견되어야 하고,
②병 환부에서 분리된 병원체가 실험실에서 배양되어야 하고,
③배양된 병원체를 접종했을 때 같은 증상이 일어나야 한다.
④그곳에서 분리한 병원체를 다시 배양했을 때 처음과 같은 병원체여야 한다.

 


가해 습성에 따른 해충의 구분은?
흡즙성 해충, 식엽성 해충, 천공성, 충영형성, 종실가해 해충

 

가해 습성 해충
흡즙성 진딧물, 응애, 깍지벌레, 솔입혹파리
식엽 오리나무잎벌레, 독나방, 솔나방, 흰불나방
노란쐐기나방, 버들재주나방, 텐트나방 
천공 향나무하늘소, 측백나무하늘소,
소나무좀, 박쥐나방,미끈이하늘소, 
소나무순명나방, 바구미류
충영형성 밤나무혹벌, 솔잎혹파리(흡즙도함)
종실가해 -

* 나방류는 식엽성이다. 소와 좀은 천공, 혹은 충영이다.

 


방제법의 종류는
① 생물학적 방제 : 천적이용
② 물리학적 방제 : 전정가지 소각, 낙엽태우기, 잠복소, 유살(불빛 유인)
③ 화학적 방제 : 농약 사용
④ 건전한 비배관리 : 토양, 수분, 광선, 통풍
⑤ 내병충성 품종
⑥ 응애류 : 살비제(디코폴유제,켈센)
⑦ 흰개미 : 목재의 대표적 충해
⑧ 살서제 : 쥐약
⑨잠복소 설치 : 월동 벌레를 유인 봄에 태우기 위함 (가을에 설치)


식엽성 해충 - 솔나방(1년 1회)
피해
- 송충이와 애벌레가 솔잎을 갉아먹는 소나무의 대표적 해충
화학적 방제법
- 월동한 애벌레의 가해 시기인 4월 중순~6월 중순,
- 어린 애벌레 시기인 9월 상순~10월 하순까지
- 디프제(디프엑제, 디프록스, 디프유제), 파라티온, 말라티온, NAC 분제, 스리사이드 살포
물리적 방제
- 7월 하순~ 8월 중순까지는 피해 수목 주위에 등불을 밝혀 유살
- 10월 중에 잠복소를 설치 유인하여 3월 말에 태움
-8월에 강우량이 많으면 다음 해 피해가 적다.
생물학적 방제
- 천적은 맵시벌, 고치벌, 뻐꾸기



(미국) 흰불나방, 1년에 2회(5-6월), (7-8월)
피해
- 겨울철에 번데기로 월동하며 성충 수명은 3~4일
- 가로수, 정원수 특히 플라타너스의 피해가 심각
- 포플러류, 버즘나무 등 160여 종 활엽수에 가해
- 먹이가 부족하면 초본류도 먹는다.
화학적 방제
- 수관에 디프제(디프유제, 디프테렉스 1000배액), 스미치온, 그로포수화제(더스반) 살포
생물학적 방제
- 긴등기생파리, 송충알벌
물리적 방제법
- 무리 지어 사는 애벌레를 피해 잎과 함께 채취하여 태운다.
- 8월 중에 피해 나무줄기에 잠복소를 설치하여 유인


독나방
- 각종 활엽수의 잎을 가해
- 디프제, 파라티온, 포스트 수화제
- 긴등기생파리

버들재주나방
- 가로수를 주로 가해
- 디프수화제, 디프유제, DDVP
- 밀화부리, 찌르레기

오리나무잎벌
- 성충과 유충이 동시에 잎을 갉아먹고 잎이 붉게 변색
- 디프제
- 무당벌레

텐트나방
- 유충이 갈라진 그물막을 치고 서식, 낮에는 쉬고 밤에 식물에 가해
- 포플러, 사과나무, 배나무, 참나무류, 장미류
- 메프유제, 디프제
- 포식성 벌, 맵시벌

구분 발생 천적
솔나방 1년 1회 맵시벌, 꼬치벌, 뻐꾸기
(미국)흰불나방 1년 2회(5~6),(7~8) 긴등기생파리, 송충알벌
노랑쐐기나방 1년 1회  
독나방   긴등기생파리
버들재주나방 1년 2회 밀화부리, 찌르래기
오리나무잎벌 1년 1회 무당벌레
텐트나방 1년 1회 포식성벌, 맵시벌


흡즙성 해충 - 진딧물류
피해
- 침엽, 활엽수의 대부분 수종. 무궁화, 꽃사과
- 월동한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가 수목의 줄기 및 가지에 기생하여 즙액을 빨아먹는다.
- 봄, 가을에 크게 번식
- 잎이 마르고 수세가 약해진다.
- 2차적인 피해로 각종 바이러스병을 유발
화학적 방제
- 발생 초기에 메타시스톡스 유제, 마라톤 유제 살포
생물학적 방제
- 무당벌레류, 풀잠자리, 꽃등에류, 기생벌
- 천적의 보호를 위해 잔효성이 큰 살충제는 피한다.

*진딧물은 메타, 마라톤이다.



응애류
피해(1년에 5~10회 발생)
- 대부분의 수목에 피해
- 바늘과 같이 뾰족한 입틀로 잎 뒷면의 즙액을 흡즙
- 잎에 황색의 반점을 만들고 많아지면 잎 전체가 황갈색으로 변한다.
- 발생지역에 4월 중순부터 1주일 간격으로 2~3회 정도 살포한다.
화학적 방제
- 농약의 계속 사용을 피한다.
- 응애 발생기인 4월 중순~하순에 ★살비제를 7~10일 간격으로 2~3회 수관에 살포한다.
생물학적 방제
- 무당벌레, 거미, 풀잠자리

* 응애는 무조건 살비제이다.



깍지벌레류(1년에 1-3회 발생)
피해
- 대부분의 수목에 피해(감나무, 벚나무, 사철나무 등에 많이 발생)
- 수목의 잎과 가지에 붙어서 즙액을 빨아먹는다. 수목이 쇠약해지면서 고사한다.
- 2차적으로 잎, 가지를 가해하여 그을음병을 유발
- 번식력이 강해 다수가 기생한 나무는 점차 쇠약해져서 심하면 고사한다.
- 콩 꼬투리 모양의 보호 깎지로 싸여있고 왁스 물질을 분비한다.
화학적 방제
- 수프라사이드 유제를 5월 중, 하순에 1주일 간격으로 2~3회 살포
- 메티온 유제, 기계유 유제를 살포
생물학적 방제
- 무당벌레류, 풀잠자리

솔잎혹파리(충영형성 해충에도 속한다)
피해
- 소나무, 곰솔 등에 발생
- 유충이 솔잎 기부에 벌레 혹을 만들고 그 속에서 수액 및 즙액을 빨아 먹는다.
- 솔나방과 다르게 울창한 소나무 숲의 피해가 많다.
- 1929년 서울의 비원과 목포지방에서 처음으로 발견
화학적 방제
- 오메톤 액제, 포스팜 액제, 다이메크론
생물학적 방제법
- 산솔새, 솔잎혹파리 먹좀벌, 파리살이먹좀벌

구분 발생 천적
진딧물류 1년 10회 무당벌레류, 풀잠자리,
꽃등에류, 기생벌
응애류 1년 5~10회 무당벌레, 거미, 풀잠자리
깍지벌레류 1년 1~3회 무당벌레류, 풀잠자리
솔잎혹파리 1년 1회 산솔새, 솔잎혹파리먹좀벌,
파리살이먹좀벌

* 솔잎혹파리는 흡즙성, 충영 형성 해충에 속한다.

산솔새
산솔새

 



천공성 해충 - 향나무 하늘소(측백나무 하늘소)
피해
- 1년 1회 발생
- 애벌레가 향나무나 측백나무의 형성층 부위에 구멍을 뚫어 나무를 급속히 말라 죽인다.
- 주로 쇠약한 나무를 가해
- 배설물을 내보내지 않아 발견이 힘들다.
화학적 방제법
- 봄철(3월 중 ~ 4월 중)에 메프유제(스미치온류)를 2~3회 살포하여 부화 애벌레를 죽인다.
- 봄철에 방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 피해를 받은 가지나 줄기를 10월~이듬해 2월 사이에 벌채목을 소각하고 쇠약한 나무를 관리한다.


소나무 좀
피해
- 소나무, 곰솔,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등
- 월동한 어미 벌레가 쇠약목에 천공하여 수분과 양분의 이동을 막아 고사
- 인근 지역에 소나무 벌채지나 원목을 집재한 곳이 있으면 피해가 증가한다.
- 소나무류의 지표 부근의 수피에 구멍을 뚫고 월동
- 3월 중순 ~ 4월 중순 사이에 기온이 15℃ 정도 2~3일 계속될 때 월동 장소를 탈출한다.
방제
- 수세가 약한 나무를 미리 제거
- 벌채목의 껍질을 벗겨 번식처를 제거한다.
- 벌채한 유인용 소나무에 어미 벌레가 알을 낳게 한 후 껍질을 벗겨 태운다.


박쥐나방(활엽수, 2년 1회 발생)
- 어린 유충은 초본류의 줄기를 가해
- 성장 후에는 줄기 속에서 수목으로 이동하여 나무속으로 구멍을 뚫고 들어간다.
- 마라톤 500배액

미끈이 하늘소
- 10~30년생 정도 되는 나무를 피해를 준다.
- 참나무류, 밤나무에 많은 피해
- 미프유제, 파라티온


기타 천공성 해충
소나무순명나방, 바구미류

구분 발생 천적
향나무 하늘소 1년 1회 메프제(스미치온류)
소나무좀 1년 1회 무당벌레, 거미, 풀잠자리
박쥐나방 2년 1회 마라톤 500배액
미끈이하늘소   메프유제, 파라티온

 

미끈이 하늘소


충영형성 해충 - 밤나무 혹벌
- 1년에 1회 발생
- 유충은 밤나무 눈에 기생하여 벌레 혹을 만들어 새순이 자라지 못하게 한다.
- 개화, 결실에 피해
- 꼬리 좀벌, 상수리 좀벌


솔잎혹파리
- 흡즙성 해충에도 속한다.
- 소나무 곰솔에 발생. 솔잎 기부에 유충이 벌레 혹 형성해서 수액 흡즙
- 울창한 숲에 피해
- 포스팜 액제
- 산솔새, 솔잎혹파리먹좀벌, 파리살이먹좀벌

구분 발생 천적
밤나무혹벌 1년 1회 꼬리좀벌, 상수리좀벌
솔잎혹파리 1년 1회 산솔새, 솔잎혹파리먹좀벌,
파리살이먹좀벌


묘포 해충
- 땅강아지, 풍뎅이류, 거세미나방


농약의 살포 요령은?
- 식물별 적용 병충해에 적합한 농약을 선택
- 사용농도, 사용 횟수, 안전사용 기준을 확인한다.
- 약이 날려 다른 작물에 피해가 않도록 깔때기 노즐을 낮추어 사용한다.
- 바람이 없는 맑은 날 살포한다.(맑은 날 효과가 좋다)
- 바람을 등지고 살포
- 피부노출 막고 마스크, 보호복 착용
- 살포 도중 음식을 먹거나, 담배를 피우지 않는다.
- 혼자서 긴 시간 작업 피하고 몸이 안 좋을 때는 작업 금지
- 정오에서 오후 2시에는 살포하지 않는다.
- 쓰고 남은 농약은 표시해서 혼동하지 않게 한다.
- 약은 서늘하고 어두운 곳에 전용상자에 보관한다.
- 작업 후 노출 부위를 비누로 씻고, 옷을 갈아입는다.


농약 포장지 색깔 구분
살충제 - 녹색(나무를 살린다)
살균제 - 분홍색(균은 핑크)
선택성 제초제 - 황색(반만 죽인다)
비선택성 제초제 - 적색(모두 죽인다)
생장 조절제 - 청색(푸른 신호등)

살비제 - 응애만을 죽이는 농약
살선충제(유기인제) - 식물체에 기생한 선충을 죽임
살선충제(토양 훈증제) - 토양 중의 선충을 죽인다.
** 잔디밭에 비선택성 제조체를 사용하면 잔디까지 모두 제거한다.

살균제 - 다이젠 M-45(만코지제), 보르도액, 석회유황합제
살충제 - 다이지논, 엘드린, 디프 테렉스, 스미티온, 파라티온, DDVP

■■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