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은 온천과 더불어 이순신장군을 떠 올리게 된다. 아산시는 1995년 온양시와 아산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시가 되었다. 옛 온양시를 중심으로 도심을 형성하고 있다. 서울지하철 1호선의 광역노선의 종점인 신창역이 아산시 신창면 폴리텍대학 아산캠퍼스 근처에 있다. 신창역의 이름에 "순천향대"가 병기되어 있는데 순천향대학교가 근처에 있다. 아산시 배방읍에는 KTX 천안아산역이 있고 천안시와 접해있어 신도시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이 지역은 삼국시대에는 탕정군(온양군), 아술현(아산군), 굴직현(신창군), 온수군, 인주현, 신창현으로 불렸고 조선 시대에 이르러 온양군, 아산현, 신창현이 되었다.
온양군지역(온양 1~6동·배방읍·송악면·탕정면), 아산군 지역(염치읍·음봉면·둔포면·영인면·인주면), 신창 군(선장면·도고면·신창면) 지역이 아산군으로 통합되었다.
행정구역은 배방읍, 염치읍 2개의 읍과 탕정면을 포함하여 9개의 면과 온양지역의 행정동 6개로 구성되어 있다. 아산시의 인구수와 가볼 만한 곳을 알아본다.
1. 충남 아산시 인구 추이
아산시의 인구수는 2011년 부터 계속하여 증가하여 왔다. 시내지역보다 읍면지역의 인구증가가 더 크다. 이유는 KTX 개통과 더불어 중규모의 도시인 천안시와 접해 있다는 것이다. 2011년 대비 시내지역의 인구는 1만 명 정도 증가(2011년 대비 10% 증가)했지만 읍면지역의 인구는 거의 5만 명 정도(2011년 대비대비 31% 정도) 늘어났다.
아산시 인구 추이(단위 : 명)
구분 | 2011년 | 2020년 | 2022 12월 |
아산시 전체 |
274,523 | 316,129 | 334,539 |
아산시 시내지역 |
114,155 | 126,777 | 124,489 |
아산시 읍면지역 |
160,368 | 189,352 | 210,050 |
아래 그래프를 보아도 아산시 읍면지역의 인구수가 시내지역보다 더 많고 더 많이 증가한 것을 보여준다. 아산시의 구도심인 온양지역보다 천안시와 KTX 천안아산역에 가까운 읍면지역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진 것을 수치상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아산시 인구 추이(단위 : 명)
2. 아산시 읍면, 동별 인구수
KTX역이 있는 배방읍의 인구수가 85,000여명으로 가장 인구가 많다. 인구수가 8만 5천 명의 읍이라면 자치시로 승격돼도 될 만한 인구수다. 현재 자치시 중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시는 강원도 태백시로 인구수는 대략 4만 명 정도이다. 이순신 장군 사당이 있는 현충사가 있는 염치읍의 인구수는 6,180여 명이다.
탕정면의 인구수도 33,000여 명으로 면지역 치고는 엄청나게 많다. 곧 읍으로 승격될 수도 있다. 둔포면, 음봉면의 인구수도 만만치 않게 많다. 서해와 접해 있는 인주면, 영인면의 인구수는 5천여 명이다.
시내역 중에서는 온양 3동의 인구수가 37,000여 명으로 가장 많고, 온양6동의 인구수도 3만 명 정도이다. 온양 1동의 인구수가 9,100여 명으로 시내지역에서는 가장 인구수가 적다.
아산시 읍면동별 인구수(단위:명)
아산시의 인구 증가는 읍면지역의 인구 증가가 이끌었다. 2011년 대비하여 배방읍은 44% 증가, 탕정면은 83% 증가, 둔포면은 123%나 증가 하였다. 서울 광역지하철 1호선의 종점인 신창역이 있고 경찰대학이 있는 신창면의 인구는 되려 줄어들었다.
아산시 읍면동별 인구변동(단위:명)
구분 | 2011년 | 2020년 | 2022 12월 |
증감 |
아산시 전체 |
274,523 | 316,129 | 334,539 | ▲ |
온양1동 | 6,877 | 9,468 | 9,137 | ▼ |
온양2동 | 9,071 | 10,785 | 10,616 | ▼ |
온양3동 | 31,904 | 36,876 | 37,875 | ▲ |
온양4동 | 20,990 | 18,873 | 17,874 | ▼ |
온양5동 | 19,730 | 21,656 | 21,013 | ▼ |
온양6동 | 25,583 | 29,119 | 27,974 | ▼ |
염치읍 | 7,679 | 6,531 | 6,180 | ▼ |
배방읍 | 59,738 | 75,617 | 85,708 | ▲ |
송악면 | 3,745 | 4,254 | 4,150 | ▼ |
탕정면 | 18,108 | 21,675 | 33,185 | ▲ |
음봉면 | 15,866 | 19,932 | 20,207 | ▲ |
둔포면 | 10,265 | 21,724 | 22,890 | ▲ |
영인면 | 6,630 | 5,524 | 5,395 | ▼ |
인주면 | 7,921 | 6,553 | 5,997 | ▼ |
선장면 | 3,975 | 3,133 | 2,985 | ▼ |
도고면 | 5,151 | 4,464 | 4,413 | ▼ |
신창면 | 21,290 | 19,945 | 18,940 | ▼ |
아산의 온천지대
온양온천 - 아산시 온천동 일대에 위치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온천이다. 고려시대 때에는 온수군으로 지칭되었다. 조선시대에 여러 왕이 온궁을 짓고 휴양이나 병의 치료차 머물고 돌아간 사례가 많아 다수의 관련 유적들이 남아 있다.
아산온천 - 영인면과 음봉면 일대에 자리한 온천으로 온천테마파크 아산스파비스가 위치해 있다.
도고온천 - 도고면에 위치한 온천이다.
3. 아산시 가볼 만한 곳
아산 외암마을 - 송악면
아산외암마을에는 약 5백 년 전에 이 마을에 정착한 예안 이씨 일가가 지금까지 주류를 이루어 살고 있다. 이끼 낀 나지막한 돌 담장이 인상적이며, 집집이 쌓은 담장 길이를 합하면 모두 5,300미터나 된다. 아산시 송악면 설화산 밑에 위치하고 있다.
60여 호 남짓 되는 이 마을은 직접 이곳에서 살고 있는 마을 주민들과 만나게 된다는 점이 박물관에서 옛 흔적을 보는 것과는 다른 느낌을 준다. 마을 입구의 장승을 비롯하여 조선시대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디딜방아, 연자방아, 물레방아, 초가지붕 등이 보존되어 있다. 팜스테이가 가능하고, 취화선, 태극기 휘날리며 등의 영화가 이곳을 배경으로 촬영되었다.
현충사 - 염치읍
온양온천 역에서 4km 떨어진 염치읍 백암리 방화산 기슭에 위치한 현충사는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얼을 기리는 사당이다. 별칭으로 '아산 이충무공 유허'(牙山 李忠武公 遺虛)라고도 한다. 이순신이 성장하여 무과급제 할 때까지 살던 곳으로 충무공이 1598년 노량해전에서 순국한 지 108년 후인 1706년 조선 숙종 32년 이곳에 그의 얼을 기리기 위하여 사당을 세웠으며, 1707년 숙종이 친히 ‘현충사’란 이름을 내렸다.
아산 꽃식물원 - 고도면
연중 3,000여 종의 원예종 관상식물을 감상할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실내온실 식물원으로 계절마다 다양한 꽃이 아름답다.
위 글과 사진은 아산시청 자료를 참조합니다.
아산여행은 여기
아산시 문화관광 포털에서
8. 아산시 행정구역 지도
출처 : 이 사진은 위키백과의 아산시 자료를 참조합니다.
본 통계자료는 통계청 자료를 참조합니다.
■■
'통계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남 부여군 인구수와 인구증감 2023년 (0) | 2023.02.03 |
---|---|
전국 성씨별 인구순위(김이박최정...) (10) | 2023.01.31 |
충남 계룡시 읍면동별 인구수와 가볼만한 곳 (0) | 2023.01.29 |
충남 공주시 읍면, 동별 인구수와 가볼만한 곳 (0) | 2023.01.28 |
충남 천안시 읍면동별 인구수와 가볼 만한 곳 (0) | 2023.01.28 |
전국 세대별 남녀 인구수 비교 (2022년 12월말) (0) | 2023.01.25 |
2030년 전국 노인인구와 청소년 인구비율 (0) | 202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