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치구별 20대, 30대 청년층의 인구수와 많이 사는 곳 순위
본문 바로가기
통계자료들

서울시 자치구별 20대, 30대 청년층의 인구수와 많이 사는 곳 순위

by molbania3 2023. 6. 10.
반응형

서울시에서  20, 30대 청년층이 많이 사는 지역을 알아본다. 연령 구분은 20대는 20세~29, 30대는 30세~39세까지를 구분하였고 노인인구는 65세 이상으로 하였다. 인구수는 2023년 5월  주민등록 기준이며 자료는 통계청에서 집계한 자료이다.


1. 서울시 청년, 노인 인구수와 비율

서울시에 사는 20대 인구수는 138만 명 정도이고 30대는 142만 명 정도로 비슷하다. 20대 남성은  65만여 명, 서울시에 사는  20대 여성 인구수는  72만여 명으로 20대 여성이 20대 남성보다 6만 5천여 명이 더 많다. 서울시 20대의 인구비율은 14.6%, 30대의 인구비율은 15% 정도이다.

 

서울시 청년인구수(2023)

서울시 청년인구수
서울시 청년인구수

서울시에 거주하는 30대의 남녀 인구수는 비슷하며.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는 169만여 명으로 서울시 전체 인구의 18% 정도이다.(이미 고령사회이다)

 

서울에 사는 65세 이상 노인의 남녀 비율은 여성 노인이 56%로  약 12%가 많고 인구수로는 193,000명 정도가 더 많다.

 

서울시 청년, 노인인구비율(2023)

구분 전체 비율
서울시 9,418,885  
20 1,379,056 14.6%
30 1,425,785 15.1%
65
이상
1,691,311 18.0%
구분
서울시 4,560,702 4,858,183
20 657,023 722,033
30 713,169 712,616
65
이상
749,108 942,203

 


2. 20대가 많이 사는 곳 순위

서울시에서 20대가 가장 많이 사는 곳은 관악구이다. 그다음으로는 송파구, 강서구, 강남구, 노원구 순이다. 일단 인구수가 많은 곳이 20대의 인구수도 많다.

 

비율로 구분해 보면, 관악구에 사는 20대 관악구 인구의 23% 가장 높은 비율이다. 광진구에서는 20대의 인구수 자체로는 적지만 비율로는 18% 정도로 2번째로 높다. 그다음은 동대문구, 마포구, 서대문구 순이다. 

 

이들 지역의 특징을 알 수 있는데 대부분 대학이 있는 지역이다. 관악구에는 서울대가 있고 붙어있는 동작구에는 중앙대, 숭실대(동작구이긴 하지만 근처이다)가 있다. 

 

광진구에는 건국대, 세종대가 있으며, 서대문구, 마포구에는 연세대, 이대, 서강대, 홍대 등이 있고, 동대문구에는 경희대를 포함하여 외대, 시립대, 카이스트등 많은 대학이 밀집해 있다. 길 건너 성북구에는 고려대도 근처에 있다.

 

서울시 20대 인구수(2023)

구분 20대 비율
관악구 110,729 53,751 56,978 22.7%
송파구 86,289 40,605 45,684 13.1%
강서구 81,411 36,963 44,448 14.4%
강남구 67,871 32,103 35,768 12.7%
노원구 67,360 34,252 33,108 13.4%
성북구 65,460 30,995 34,465 15.2%
동작구 64,388 31,165 33,223 16.9%
은평구 62,182 29,107 33,075 13.4%
마포구 59,836 26,390 33,446 16.4%
광진구 59,804 27,867 31,937 17.8%
영등포 57,848 26,320 31,528 15.4%
강동구 57,053 27,657 29,396 12.4%
동대문 56,613 27,030 29,583 16.8%
양천구 53,731 27,138 26,593 12.2%
구로구 52,162 25,175 26,987 13.2%
중랑구 51,408 24,772 26,636 13.4%
서초구 49,792 23,831 25,961 12.3%
서대문 48,989 22,902 26,087 15.9%
성동구 41,781 20,380 21,401 14.9%
강북구 39,227 18,920 20,307 13.4%
도봉구 38,445 19,270 19,175 12.4%
금천구 35,924 17,440 18,484 15.7%
용산구 31,150 14,434 16,716 14.3%
종로구 21,929 10,373 11,556 15.6%
중구 17,674 8,183 9,491 14.6%

이들 지역에는 20대 여성인구도 비슷한 비율로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반대로 20대 인구비율이 제일 낮은 지역은 의외이지만 양천구로 12% 정도이다. 그 뒤로는 서초구, 도봉구, 강동구, 강남구 순이다.  이들 지역의 특징은 아파트 값이 비싸 주거비용이 크다거나 도봉구처럼 아주 외곽지역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3. 30대가 많이 사는 곳 순위

서울시에서 30대 인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은 송파구,  강서구, 관악구, 강남구, 영등포구 순이다. 일단 구의 전체 인구수가 많기에 상대적으로 30대의 인구수도 많다. 

 

구별 인구수대비 비율로 보면, 영등포구에 구의 인구대비 18% 정도로 가장 높은 비율로 30대가 거주한다. 그 뒤로 관악구, 용산구, 마포구, 강서구 순이다. 

 

서울시 30대 인구수(2023)

구분 30대 비율
송파구 105,218 50,268 54,950 16.0%
강서구 97,251 48,652 48,599 17.1%
관악구 88,159 49,102 39,057 18.1%
강남구 77,069 35,882 41,187 14.4%
영등포 70,239 35,578 34,661 18.7%
강동구 68,786 34,054 34,732 15.0%
은평구 65,304 31,927 33,377 14.1%
마포구 63,407 29,902 33,505 17.4%
구로구 61,428 31,389 30,039 15.6%
노원구 61,368 30,754 30,614 12.2%
동작구 59,778 30,309 29,469 15.7%
중랑구 57,635 29,536 28,099 15.0%
성북구 56,879 28,507 28,372 13.2%
서초구 56,673 26,127 30,546 14.0%
광진구 54,746 27,240 27,506 16.3%
양천구 53,718 26,651 27,067 12.2%
동대문 48,572 25,076 23,496 14.4%
성동구 45,463 22,241 23,222 16.3%
서대문 44,844 22,106 22,738 14.5%
도봉구 38,067 19,555 18,512 12.3%
용산구 38,010 18,932 19,078 17.5%
금천구 37,836 20,791 17,045 16.5%
강북구 35,615 18,716 16,899 12.2%
중구 20,375 10,225 10,150 16.8%
종로구 19,345 9,649 9,696 13.8%

반대로 30대 거주인구 비율이 낮은 지역은 노원구, 양천구, 강북구, 도봉구, 성북구순으로 구별인구의 12% 정도이다. 양천구를 제외하고 이들 지역의 특징은 외곽지역, 그리고 주택이 노후화가 된 곳이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지역에는 상대적으로 노인인구비율이 높다.

 

▶전국 7대 광역시 청년 인구수와 비율

▶서울시 자치구 노인이 많이 사는 곳 순위

■■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