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능사 필기대비 - 산림환경(미생물, 무기염류)
본문 바로가기
기능사자격증으로/산림기능사 시험대비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 산림환경(미생물, 무기염류)

by molbania3 2022. 1. 13.
반응형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미생물, 무기염류


 

토양 미생물의 종류는?

세균류

- 무기물을 분해

-토양에 가장 많이 분포

- 25~30℃, pH 6~8 정도에 왕성

 

균류

-호기성으로 유기물을 분해

- 토양의 통기성이 중요하다.

- 외생균류, 내생균류, 내외생균류로 구분한다.

 

방사상균

- 실모양, 유기물을 분해,

- 세균과 곰팡이 중간 성격의 미생물,

- 호기성으로 통기성이 중요하다.

 

조류

- 남조류, 녹조류 등

- 유기물 생성,

- 공중질소의 고정,

- 토양에 산소공급

 

**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은 균류, 방사상 균이다.

 

 

토양에 서식하는 미생물로 조류의 역할은?

유기물의 생성

공중 질소의 고정

토양에 산소의 공급

 

 

토양 미생물의 생육조건은?

최대 용수량의 60-80%의 수분

생육온도는 0-80도, 최적 온도는 27-28도

pH는 중성

토양의 깊이는 2~3cm에서 최대로 번식한다.

토양의 O층(유기물층)에 분포한다.

 

 

토양 미생물의 역할은?

탄소순환

토양구조의 입단화(떼알 구조를 만든다)

암모니아 화성 작용

질산 화성 작용

공중질소 고정 작용

인산 가급태화

토양 미생물 간 길항작용

 

*길항작용(antagonism)

생물체 내의 2가지 물질이 어떤 현상에 대해 서로의 역할과 반대로 작용하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상반되는 2가지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여 그 효과를 서로 상쇄시키는 작용

 

 

토양 미생물의 유해작용은?

병해를 유발

질산 환원 작용

탈질 작용

환원성 유해물질 생성과 집적

무기성분의 변화

황산염의 환원 작용


 

** 질소 순환작용

공기 중에는 질소(N2)가 78% 정도이다.

식물은 질소를 직접 이용하지 못하고 토양으로부터 암모늄(NH4+)이나 질산(NO3-)의 형태로 흡수한다.

질소동화 작용 공기중의 유리질소는 토양중의 미생물에 의해 고정되고
이 고정된 질소는 식물에 의해 흡수되며
이 흡수된 질소는 탄수화물에서 유도된 유기물질과 결합하여
아미노산, 핵산 및 그 밖의 함질소 유기물을 합성하게 된다.
암모니아화 작용 동식물의 죽은 잔해등의 유기물이 토양미생물에 의해
질소 화합물이 암모니아로 분해되는 것
용탈 질산은, 암모늄과 같은 것은 토양중에 잘 흡착되지 않으므로
토양의 하층으로 유실되는데 이것을 용탈이라고 한다.
질산화 작용 생성된 암모니아가 산소의 공급이 충분한 환경에서는
질산으로 산화되는데
이를 질산화 작용이라고 한다.
탈질작용 호기성세균이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 
질산성질소 또는 아질산성질소를 
기체상태인 N₂ 또는 N₂O를 생산하고
공기중으로 달아나 질소의 손실이 발생하는 과정이다. 
탈질을 일으키는 세균을 탈질균이라 한다.
시비한 질소 손실의 원인이고 축산오수와 같은
질소함량이 높은 오수에서 질소를 제거하는 기술로 이용한다.
질산 환원 작용 질산 화성 작용과는 반대로
질산이 환원되어 아질산으로 되고, 다시 암모니아로 변화하는 작용.
혐기 상태 또는 부분적 혐기 상태에서 일어난다

 

 

토양 미생물중 균류의 특성은?

유기물을 분해한다.

호기성으로 통기성이 부족하면 활동이 저조해진다.

산성토양에서도 잘 번식한다.

토양이 비옥할수록 균근의 형성은 적어진다.

 

 

*균류의 공생에 따른 나무 종류

외생균류 자작나무, 참나무, 소나무(송이버섯), 가문비 (뿌리표면 공생)
내생균류 은행나무, 향나무, 낙우송, 호두나무 (뿌리세포 안에 공생)
내외생균 피나무(내생, 외생 성질 모두)

 

산림대를 구분하는 주요 요소는?

기온과 강수량

 

 

우리나라 산림대 구분 지역은?

난대림 - 위도 35도 이남

온대림 - 위도 35~43도

 - 온대 남부림 - 전남, 경북 이남

 - 온대 중부림 - 경기, 강원 황해 

 - 온대 북부림 - 평안도, 함경도 등 중부 이북

한대림 -평북, 함북의 고원, 고산지대 ℃

 

* 산림대 별 수종

지역구분 수종
난대림 붉가시나무, 동백, 후박, 아왜나무,
가시나무, 사철, 해송, 삼나무, 편백
온대남부 개비지나무, 곰솔,
굴피나무, 단풍나무
온대중부 때죽나무, 신갈, 향나무, 느티나무
온대북부 피나무, 박달, 신갈, 전, 잣나무
한대림 가문비, 분비나무,
잎갈나무, 주목, 잣, 전나무

 

** 산림대 별 임상 구조

난대림 14℃ 이상 고유 상록활엽수 임상 피괴
낙엽활엽수,
침활혼합림,
소나무림화
온대림 5~14 고유의 낙엽활엽수의 임상 파괴
소나무림화된 곳이 많음
온대남부 12~14 소나무, 곰솔의 단순림화
서어나무, 단품, 굴피등 혼효림화
온대중부 10~12 소나무순림화
신갈나무, 때죽나무 혼효림화
온대북부 5~10℃  피, 박달, 신갈, 잣아무 혼효림화
소나무 순림화
한대림 5℃ 미만 고유의 침엽수림 황폐
자작, 사시, 황철 등 혼효림화
침활혼효림화
잎갈나무늬 순림화

 

수목이 요구하는 다량원소  무기염류는?

C - 45%

O - 45%

H - 6%

N - 1.5%

K - 1.0%

Ca - 0.5%

Mg - 0.2%

P - 0.2%

S - 0.1%

** 소량 원소는 0.01% 이하로 요구된다.

수목에 필요한 무기질 분포
수목 무기질 구성

 

미량원소 종류는?

CI, Fe, Mn, B, Zn, Cu, Mo(몰리브덴) - 0.00001%

 

 

양분 요구량이 많은 순서는?

농작물 > 활엽수 > 침엽수

 

 

*양분 요구량에 따른 나무 종류

요구량 상 오동나무, 느티나무,
전마무, 밤, 물푸레, 참나무
요구량 중 낙엽송, 잣나무,
서어나무, 버드나무
요구량 하 소나무, 해송, 향나무, 노간주,
아까시, 자작, 오동나무

 

 

무기물질의 역할

무기물질 특 징 결 핍 과 잉
N-질소 수목의 단백질, 아미노산등 유기화합물 구성
질소는 잎에 많다.
가장 결핍이 쉬운 무기원소이다.
잎의 생장 불량
잎의 황백
괴사

잎이 짙은 녹색
도장현상
가뭄, 병충해의 저항성 약화

P-인산 강산성토양에서는 이용불가.
중성토양에서는 유효성 증가
뿌리 신장 촉진, 내한성, 내건성 증가
잎에 가장많이 분포

뿌리 생육 저로 생육 불량
암록색 잎, 개화, 결실 불량
과실, 종자 생육 불량
황화현상 발생
영양생식 멈추고 성숙이 빨라진다.
수확량이 감소한다.
K-칼륨 탄수화물, 단백질, 효소활성화등 대사 촉매
뿌리, 줄기발육강화, 개화 결실에 관여
병충해에 저항력 증가
잎의 기공작용에도 관여
황화, 고사
신장에 불량
뿌리 생장 불량, 뿌리 썩음병 원인
칼슘과 마그네숨 흡수에 방해
Mo-
몰리브덴
질소를 고정하는 균류 생장에 기여
단백질 합성에 기여
잎이 안쪽으로 감긴다.
황화현상이 나타난다.
황화현상이 나타난다.
B-붕소 세포분열과 화분의 수정
세포막의 펙틴형성
통별조직의 유지
생장점과, 뿌리생장이 어렵다.
꽃가루생성이 불량
불임

잎의 항화현상, 고사
Ca-칼슘 건조지역 수목의 잎에 많이 보유한다.
정단 분열조직을 발달 시킨다.
단백질 합성에 관여
뿌리, 지상부 생장에 역활
식물체 내에서 이동성이 낮다.
분열조직의 생장 불량
신옆, 경옆에서 결핍증상 많다.
철, 아연, 마그네슘 흡수 방해
Mg-
마그네슘
엽록소 필수 구성성분
컬륨, 망간에 길항작용
종자와 잎에 많이 분포
늙은 잎에 먼저 황화현상, 백화현상
뿌리, 줄기 생장 불량
 
S- 토양에 유기태로 존재
미생물에 의해 유기화 되어 식물이 흡수
단맥질, 아미노산 구성물질이다.
식물의 생리작용에 관여
유기물량이 적은 사질토에서 결핍현상 발생
생장 저조
뿌리 박테리아에 의한
질소 고정 작용 저하
토양의 산성화
Fe- 엽록소 생성
호흡효소를 만든다.
엽록소 생성 불량
세입페서 황화현상
망간, 인산의 결핍 초래
Mn-망간 산화, 환원 작용-산화효소
엽록소 생성
작은 잎이 나타난다.
잎의 황화현상
쌍지옆은 황색반점
알타리성 토양에서 결핍현산
철의 결핍이 발생

** 엽록소 생성과 관련된 무기염류 -Mn(망간), Fe(철), Mg(마그네슘)

 

■■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