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자연재해(바람, 저온피해)
조경기능사 용어 정리
상해(霜害) - 서리로 인해 일어나는 피해.
한해(寒害) - 겨울 추위에 따른 피해의 총칭을 말한다. 동해, 한간해, 한풍해, 열상형 동해 등
동해(凍害) - 기온이 -12∼13℃까지 내려 세포가 동사되는 저온피해
한간해(寒干害) - 저온 해에 더하여 건조 상태가 계속되는 겨울에 푸르게 마르는 증상
열상형(熱傷型) 동해 - 초겨울 또는 이른 봄에 저온에 의해 땅에 접촉된 줄기가 열상(열피해)을 일으키는 피해,
한풍해(寒風害) - 강한 한풍으로 잎이 절상(뿌러짐)하는 피해
寒傷(한상)-조직결빙은 아니지만 저온으로 생리적 장애
상주(뿌리 서리피해) - 서릿발, 겨울 땅속 물이 뿌리로 흡수되면서 결빙, 해동 반복으로 뿌리가 상하는 피해
한해(旱害) - 토양수분 부족에 의해 발생하는 작물의 생육장해(가뭄해)
저온 피해의 종류는?
상해(서리 피해)
- 가을 기온 급감으로 갈변 피해(서리 피해)
상렬(가지 터짐)
- 수목 내부의 수분이 저온으로 다른 수축, 팽창으로 팽창압이 발생 수목 갈라짐
상주(뿌리 서리피해)
- 서릿발, 겨울 땅속 물이 뿌리로 흡수되면서 결빙, 해동 반복으로 뿌리가 상하는 피해
** 寒傷(한상)-조직결빙은 아니지만 저온으로 생리적 장애
상해의 종류는?
만상 - 이른 봄 서리
- 어린나무 손상,
- 1년에 만상으로 나이테가 2개 생기기도 한다(상륜)
조상- 늦여름, 가을 서리
상해(서리) 피해가 높은 수종은?
유지 함량이 낮고 전분 함량이 높을 때 피해가 크다.
상해와 관련된 영향요인
요인 | 상해피해 종류 |
수종 | 수종에 따라 전분함량이 높은 수종일수록 피해 크다 |
수령 | 나이가 어릴수록 피해 크다. |
지형 | 습기 많은 지역에 피해크다. 계곡등 |
방위 | 남면보다 북사면의 수종이 피해가 크다. |
기후 | 맑은 새벽시간에 많이 발생 |
묘포지와 조림지에서의 상해 대책
묘포지 상해 예방 | 조림지 상해 예방 |
방풍림 조성 | 피해 적은 수종 선택 |
배수를 양호하게 | 상해피해 받을 수종은 음지에 가식, |
만상 피해 수종은 파종시기를 늦춘다. |
상해피해 받을 수종은 발아 늦게 한 후 가식 |
묘상에 짚이나 낙엽을 덥는다. |
습지는 배수구를 설치 |
상렬(가지터짐)이 자주 발생하는 수종은?
수양버들, 느릅나무, 포플러, 참나무
주로 서남향으로 노출된 큰 나무에 많이 발생
상렬 피해방지 대책은?
배수를 양호하게 한다.
적정 울폐도를 유지
방풍림을 조성한다.
** 임분 밀도 - 단위면적상 임목의 밀도, 밀도 측정방법으로는 수관 점유면적(수관 울폐율), 흉고 단면적(단면적 밀도), 재적 임목 본수(입목도)
** 수관 울폐도(樹冠鬱閉) - 수관 점유 면적비, 임분 내의 전체 수관 면적에 대한 수직 투영 면적과 그 임분의 면적의 비를 10 분율로 표시한 임분 밀도. (0.4 이하-소밀도/ 0.4~0.7-중밀도/ 0.7 이상-고밀도)
상주(뿌리 서리피해) 피해의 발생 이유는?
뿌리가 지표면에 분산되는 천근성 수종에서 일어나며
진흙이 많은 토양일수록 피해가 많다.
상주의 피해 방지대책은?
배수를 양호하게
지피물을 보호하고
안될 경우는 볏짚, 톱밥 등을 덮어준다.
다습한 곳은 파종상을 높게 해 준다.
가을철 파종 시에는 복토를 두껍게 해 준다.
피해가 예상지역은 파종조림을 피하고 식재조림 한다.
토양에 모래를 혼합한다.
지역적으로는 남부지방에서 주로 발생한다.
눈에 의한 피해
설해피해는 차라리 추운 지방보다 따뜻한 지방에서 많이 일어난다.
따뜻한 지방의 이른 봄에 자주 일어난다.
단순림보다는 혼효림, 동령림보다는 이령림이 설해 피해 방지에 효과적이다.
식재 시 삼각식재나 장방형식재가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설해의 종류는?
설해의 종류 | 특징들 |
설절 | 수관에눈 쌓여 가지 부러지는 것 |
설할 | 눈이 누르는 압력으로 나무가 터지는 피해 |
설도 | 적설로 뿌리째 넘어가는 피해 |
설압 | 눈으로 인해서 가지가 굽어지는 피해 |
바람에 의한 피해의 종류는?
주풍 - 한 방향으로 불어오는 바람(10~15m/s)
폭풍 - 29m/s 이상의 비바람
조풍(염풍) - 바다에서 불어오는 소금기 있는 바람
** 풍도목 - 바람에 의해 쓰러진 나무
주풍(10~15m/s)에 의한 피해는?
생장량 감소
수형(나무모양)불량
생리적 장애
주된 피해는 편심 생장
편심 생장(한쪽으로 편향된 성장, 연륜(나이테)의 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 직경생장)의 종류는?
침엽수는 상방편심
활엽수는 하방편심
** 침엽수류는 바람이 불어가는 쪽, 즉 압력을 받는 쪽에 압축이상재가 생기고 바람이 불어오는 쪽에는 세포분열이 억제되어 연륜(나이테)의 중심은 그 반대쪽으로 치우친다.
** 활엽수류는 수간이 기울어 질 경우, 바람이 불어오는 쪽 즉 긴장력을 받는 쪽에 신장이상재가 생기고 연륜(나이테)의 중심은 그 반대쪽으로 치우친다.
압축이상재
- 굽혀진 재목의 경사아래방향으로 즉 압축방향으로 성장륜의 폭이 넓게 편심생장하는 것. 침엽수에서 발생함.
신장이상재
- 활엽수류의 수간에서 바람 또는 기울음에 의하여 인장력을 받는 부위에 교질섬유가 다량으로 생겨나고 도관의 수가 감소하는 대신에 두꺼운 세포벽을 갖는 섬유의 수가 증가한다.
바람에 강한 나무수종
구 분 | 바람과 수종 |
바람에 강한 수종 | 소나무, 해송, 참나무 |
바람에 약한 수종 | 편백, 포플러, 자작나무 |
폭풍 피해의 예방대책은?
폭풍(29m/s) 피해는 가지가 부러지고, 나무가 뿌리째 뽑힌다.
단순 동령림은 피하고 이령 혼효림으로 조림
개벌이나 산벌 작업은 피하고 택벌 작업을 한다.
바람 방향으로 방풍림을 조성
벌채 순서는 폭풍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실시한다.
폭풍 피해 대비 방풍림의 조림 넓이는?
방풍림의 너비는 10~20m 정도
방풍림의 효과 거리는
- 풍상 기준 수고의 5배,
- 풍하기준은 수고의 15~20배
** 방풍림 수목 - 해송, 향나무, 사철, 팽나무, 후박나무
조풍(바닷바람)의 피해는?
염풍이 잎의 뒷면 기공으로 침입, 생리작용 저해, 삼투압의 변화로 원형질의 분리 피해, 고사
염도 0.5% 이상은 잎이 갈색, 검은색으로 변한다.
염풍이 토양으로 스며들 경우 미생물의 기능 저하로 유기물 분해가 느려짐
바다 바람에 강한 나무수종
구분 | 바다 바람과 나무 |
염풍에 강한 수종 | 해송, 향나무, 사철나무, 팽나무, 후박나무 |
염풍에 약한 수종 | 소나무, 전나무, 벚나무, 편백, 화백, 배나무 |
** 바닷바람에 강한 나무 - 해송, 향, 사철, 팽, 후박나무
- 주로 바닷가에 많이 산다.
기후와 관련된 수목병은?
강우- 잣나무잎떨림병
상처 - 밤나무 줄기마름병
대기오염 -소나무 그으름잎마름병
산불- 리지나뿌리썩음병
바이러스 - 모자이크병(괴저, 모자이크, 잎말림)
♧♧
'기능사자격증으로 > 산림기능사 시험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 와이어 로프 (1) | 2022.01.14 |
---|---|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 목재의 화학적 구조 (0) | 2022.01.14 |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 자연재해(동물 피해, 온실가스 피해) (0) | 2022.01.13 |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 산림환경(미생물, 무기염류) (0) | 2022.01.13 |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 숲 가꾸기(솎아베기, 간벌, 시비) (0) | 2022.01.12 |
산림기능사 필기 대비 요약 - 묘목 생산(영양 번식) (0) | 2022.01.11 |
산림기능사 필기 대비 요약 - 종자생산, 발아 관리 (0) | 2022.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