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용정보원의 직업군별 취업자 수 장기 전망입니다. 고용 정보원의 방대한 자료를 가져와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2020년부터 2030년까지의 각 직업군별 취업자의 증감에 대한 전망을 알아봅니다.
1. 전문 의료인 분야
간호사,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한약사의 취업자 수 전망
한국 고용정보원에서 2022년에 앞으로 2030년까지 400여 가지의 직업군에 대하여 취업자 수의 변동과 증감에 대한 연구 자료를 발표하였습니다. 취업이나 자격증에 관심이 많은 분들은 눈여겨보아 향후의 직업을 선택하거나 국가자격증을 취득할 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잘 살펴서 미래를 준비해 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광고성 블로그에 현혹되지 마시고 건조한 자료지만 전문가들이 연구하고 조사, 예측한 자료를 바탕으로 결정하시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첫 번째 분야는 향후 수요가 가장 많이 증가할 분야 중 하나인 의료분야입니다.
전문 의료분야 직업군 취업자 수 전망
증가할 수치가 아니고 예상되는 취업자 수, 요구되는 취업자 수로 보면 될 듯합니다. 전반적으로 의료전문분야에서는 수요가 많을 것으로 보이고 전문 의료인이 아니라도 관련 종사자들도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별히 간호사는 2030년까지 많은 수요가 예상됩니다.
의료분야 취업자 수 증감 전망
의사는 2030년까지 2만여 명 이상이 더 증가할 것이고, 간호사는 10만여 명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 만큼 수요가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한민국의 저출산 고령화로 인하여 아이들은 줄어드나 노인인구가 늘어서 의료 수요가 점점 더 많아진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겠지요. 출산율 하락은 심각한 문제이긴 합니다.
의료분야 취업자 증감률
증감률 순서대로 정리해보면 간호사, 의사가 2.5~ 3%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의료분야 전체로는 2.5% 이상 증가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의료 관련 산업도 같이 성장할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증감률에 대한 도표
전반적으로 2030년까지 전문 의료분야 종사자 전 분야가 2% 이상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취업을 한다면 의료분야입니다. 의사, 간호사가 현재, 미래에도 취업에 있어서는 최고의 직업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자연과학, 사회과학에서 연구를 해야 할 인재들이 의대를 가는 것이겠지요. 안타까운 일입니다. 자연과학 같은 기초과학이 미래의 산업을 만들어내는 것임을 잘 알고 있을 텐데... 이미 선진국인 우리나라가 아직도 많은 분야에서 로열티를 미국, 일본, 독일에 지급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지 모르는 건지...
●●
보건, 임상병리 관련 종사자 - 취업자 수 장기 전망
한국 고용정보원의 직업군별 취업자 수 장기 전망입니다. 방대한 연구, 조사자료에서 필요한 부분을 가져와 정리해 보았습니다. 2020년부터 2030년까지의 각 직업군별 취업자의 증감에 대한 정보
karl5044.tistory.com
* 출처 - 한국 고용정보원,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20~2030』 - 2022
'자격증과 취업-직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 관련 종사자 - 취업자 수 장기 전망 (0) | 2022.05.28 |
---|---|
보건 의료 관련 업종 종사자 - 취업자 수 장기 전망 (0) | 2022.05.28 |
보건, 임상병리 관련 종사자 - 취업자 수 장기 전망 (0) | 2022.05.28 |
취업자 수요가 많을 직업군 분류 -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0) | 2022.05.21 |
취업자가 증가할 분류별 산업 -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0) | 2022.05.21 |
중장년층 자격증 교육훈련과 취업률 (0) | 2022.05.20 |
중장년층 자격증 교육훈련 순위 (0) | 2022.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