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대구시 인구수와 구별 인구변동
본문 바로가기
통계자료들

2025년 2월 대구시 인구수와 구별 인구변동

by molbania3 2025. 3. 10.
반응형

대구광역시 구별 인구수와 변동

2025년 2월 기준으로 대구광역시의 전체 인구수와 변동 구별 인구수와 인구증감을 알아본다


대구광역시 인구수

  2,362,587명(2025년 2월)
  2,363,629명(2024년 12월) 

  1,685,826명(2051년 저위 추계인구)
노인인구비율 : 21%(2025)
합계출산율 : 0.702(2023)

전체인구수 2,362,578 비율
청년인구
20-39세
547,512 23%
노인인구
65세이상
497,341 21%
신생아
2024년
10,090명 1.8%
합계출산율
2023
0.702 -

 


대구광역시 연도별 인구

 

대구시의 최근 인구는 236만 명이다. 최근 매년 1만 명씩 감소하고 있는 중이며 감소율은 연간 0.5% 수준이다. 아래 인구추이 그래프를 보면 급격한 감소를 보이다. 최근에는 비율은 줄었지만 그래도 감소는 막을 수 없어 보인다.

 

대구시의 노령인구비율이 초고령사회를 말하는 20%가 넘었다. 앞으로 사망자가 늘어날 것으로 보아 대구시의 인구감소는 심해 질 것으로 보인다.

대구광역시 연도별 인구 그래프

 
 
2023년은 군위군(약 22,988명)이 대구시로 편입되면서 인구가 증가했다.  추가된 인구를 빼면 실제로는 1만 명 이상 감소했다.

연도 인구 전년대비 증감
 2025
02
2,362,578 ▼1,051 -0.04%
 2024 2,363,629 ▼11,331 -0.48%
 2023 2,374,960 11,269 0.48%
 2022 2,363,691 ▼21,721 -0.91%
 2021 2,385,412 ▼32,934 -1.36%
 2020 2,418,346 ▼19,685 -0.81%
 2019 2,438,031 ▼23,738 -0.96%
 2018 2,461,769 ▼13,462 -0.54%
 2017 2,475,231 ▼9,326 -0.38%
 2016 2,484,557 ▼3,272 -0.13%
 2015 2,487,829 ▼5,435 -0.22%
 2014 2,493,264 ▼8,324 -0.33%
 2013 2,501,588 ▼4,056 -0.16%
 2012 2,505,644 ▼1,627 -0.06%
 2011 2,507,271 - -

 

🔽 경상북도 시군별 인구수

반응형

2025년 대구시 시군구별 인구

대구시에서는 달서구의 인구가 약 52만 명으로 가장 많다. 북구, 수성구의 인구도 40만 명 수준이다. 시내지역에서는 대구 중구의 인구가 약 9만 8천 명으로 가장 적다. 아이러니하게도 대구 중구의 청년인구비율은 30%가 넘어 가장 젊은 지역이기도 하다. 이는 전국 시군구 청년비율 상위 9위에 해당한다. (참고, 전국 시군구 청년인구 비율 순위)

 시군  인구 비율
 중구 98,568 4.2%
 동구 341,690 14.5%
 서구 162,411 6.9%
 남구 136,898 5.8%
 북구 412,180 17.4%
 수성구 410,259 17.4%
 달서구 521,290 22.1%
 달성군 256,852 10.9%
군위군 22,430 0.9%

 

대구시에 편입된 군위군의 2025년 2월 인구수는 약 22,400명이다. 군위군의 노인인구비율은 47.5%로 전국에서 상위 2위이다. (참고 전국 시군구별 노인인구 비율)


대구광역시 인구 변동

 

대구시의 인구는 2014년 대비 현재 13만 명이 감소(약 5.2%)하였고, 1년 전 2023년 12월 기준으로는 약 3만여 명 감소, 작년 2024년 12월 대비 2개월 만에 약 7천여 명 감소하였다. 점차 감소폭이 커지고 있다.

연도 인구수 현재
대비
2025
2월
2,362,578 -
2024 2,363,629 -1,051 
2023 2,374,960 -12,382
2014 2,493,264 -130,686

 

반응형

10년 전(2014년) 대비 2024년 변동

 

대구의 시군구별 인구 중에서 10년 전보다 인구가 늘어난 지역은 대구 중구와 달성군이다 달성군은 새로이 택지로 개발되는 곳이 많은 탓으로 인구가 급성장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 외 지역은 감소하였는데 대구 서구가 22% 정도 감소하였고 남구는 16% 감소, 인구가 가장 많던 달서구의 인구도 2014년 대비 10% 이상 감소하였다

시군 2014 2025
2월
증감 증감율
 중구 78,812 98,568 19,756 25.1%
 동구 347,975 341,690 ▼6,285 -1.8%
 서구 210,770 162,411 ▼48,359 -22.9%
 남구 163,492 136,898 ▼26,594 -16.3%
 북구 444,375 412,180 ▼32,195 -7.2%
 수성구 456,505 410,259 ▼46,246 -10.1%
 달서구 606,433 521,290 ▼85,143 -14.0%
 달성군 184,902 256,852 71,950 38.9%
군위군 24,170 22,430 ▼1,740 -7.2%

 


전년(2023년) 대비 2025년 2월 증감

 

전년 2023년 대비하여 현재, 대구 중구의 인구가 악 1만 명이 증가하였고 수성구는 0.7% 증가, 나머지 자치구, 자치군들은 모두 감소하였다.

의외로 인구가 가장 많은 달서구의 전년 대비 인구감소비율은 -1.2%이고 최근까지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던 달성군의 인구도 최근 감소 중이다.

시군  2023 2025.2 증감 증감율
 중구 89,064 98,568 9,504 10.7%
 동구 342,813 341,690 ▼1,123 -0.3%
 서구 164,088 162,411 ▼1,677 -1.0%
 남구 139,187 136,898 ▼2,289 -1.6%
 북구 419,624 412,180 ▼7,444 -1.8%
 수성구 407,331 410,259 2,928 0.7%
 달서구 527,781 521,290 ▼6,491 -1.2%
 달성군 262,084 256,852 ▼5,232 -2.0%
군위군 22,988 22,430 ▼558 -2.4%

 

인구감소가 심각했던 군위군의 경우는 대구에 편입된 지금도 여전히 인구감소가 진행 중이다. 

 


대구시 인구 증감 특징

인구추계 저위 시나리오에 다르면 2041년 경 대구시의 인구는 190만 명 수준이고 2050년 경에는 160만 명 수준(약 76만 명 감소)으로 떨어진다.

 

대구시도 다른 지방 광역자치단체들과 마찬가지로 기업을 유치하지 않은 이상 그냥 인구감소는 정해진 미래이다. 기업유치나 특화산업, 특별한 괸광자원의 연구가 없이 건설로만 개발하려는 정책. 특히 쉬운 아파트개발에 집중한 결과를 여지없이 보여주는 곳이다. 부산시도 비슷한 상황이긴 하다.

극단적으로 표현하면
아이 낳기를 거부하여 아이들은 사라지고
청년들은 떠나고
아파트는 넘쳐나고
늙은이들만 자신들과 같이 낡아가는 콘크리트에 갇혀 소멸을 기다리는 디스토피아를 보여준다고 하겠다. 홍 대구시장이나 박 부산시장이나 할 일도, 할 수 있는 능력도, 의지도 없어 보인다. ■


🔽경북 2025년 시군별 인구와 증감
🔽전붇자치도 2025년 시군별 인구와 증감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