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광역시 자치구별 인구수와 변동
2025년 2월 기준으로 울산시의 전체 인구수와 연도별 인구증감, 자치구와 군의 인구수와 인구증감을 알아본다. 한국 제조업의 수도, 자동차 산업의 메카, 울산의 심각한 인구감소도 알아본다.
울산광역시 인구수
1,095,778명(2025년 2월)
1,098,049명(2024년 12월)
782,942명(2050년 저위추계인구)
노인인구비율 : 17%(2025)
합계출산율 : 0.814(2023)
울산시의 노인인구비율 17%로 전국에서 매우 낮은 편이다. 아무래도 공장 노동자들이 많이 거주하는 것이 이유인 듯하다. 의외로 청년비율은 23.04%로 높지는 않다. 중장년층이 많은 이유일까?
전체인구수 | 1,095,778 | 비율 |
청년인구 20-39세 |
251,604 | 23% |
노인인구 65세이상 |
191,053 | 17% |
신생아수 2024년 |
5,182명 | 2.1% |
합계출산율 2023 |
0.814 | ★ |
울산광역시 연도별 인구
2015년, 울산시의 인구는 117만 명을 정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했다. 2021년까지 감소율이 증가하다가 최근 감소율이 다소 줄어들었다.
최대 인구대비 현재까지 78,000여 명이 감소했다.

앞으로가 더 큰 문제이다. 통계청이 추계인구로 예상한 울산시의 인구는
2030년 : 1,037,433명
2040년 : 918,438명
2050년 : 782,942명 정도로 예상된다.
2050년에는 현재 대비 약 96만 명(30%)이 감소하는 것으로 예상했다.
연도 | 인구 | 전년대비 | 증감 |
2025 02 |
1,095,778 | ▼2,271 | -0.21% |
2024 | 1,098,049 | ▼5,612 | -0.51% |
2023 | 1,103,661 | ▼7,002 | -0.63% |
2022 | 1,110,663 | ▼10,929 | -0.97% |
2021 | 1,121,592 | ▼14,425 | -1.27% |
2020 | 1,136,017 | ▼12,002 | -1.05% |
2019 | 1,148,019 | ▼7,604 | -0.66% |
2018 | 1,155,623 | ▼9,509 | -0.82% |
2017 | 1,165,132 | ▼7,172 | -0.61% |
2016 | 1,172,304 | ▼1,230 | -0.10% |
2015 | 1,173,534 | 7,157 | 0.61% |
2014 | 1,166,377 | 9,897 | 0.86% |
2013 | 1,156,480 | 9,224 | 0.80% |
2012 | 1,147,256 | 11,762 | 1.04% |
2011 | 1,135,494 | - | - |
2025년 울산시 자치군구별 인구
울산시에서는 남구의 인구가 304,00여 명으로 가장 많다. 그 뒤로는 울주군의 인구가 울산에서 두 번째로 많다. 울산시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지역은 울산 동구로 2025년 2월 기준 인구수는 150,356명이다.
시군 | 인구수 | 비율 |
울산시 전체 |
1,095,778 | 100.0% |
중구 | 206,398 | 18.8% |
남구 | 304,734 | 27.8% |
동구 | 150,356 | 13.7% |
북구 | 215,862 | 19.7% |
울주군 | 218,428 | 19.9% |
울산광역시 인구 변동
2014년 울산 인구는 약 117만 명이었고.
2023년 울산 인구수는 110만 명이다.
2024년 12월 인구는 약 1,098,049명으로 10년 전 2014년 대비 약 7만 명이 줄었고 전년과 대비하여 약 5,600여 명이 줄었다.
울산 시군구별 10년 전 대비 2024년 비교
울산의 시군구에서 2014년 대비 증가한 지역은 울산 북구와 울주군이다. 북구의 인구 증가는 약 15% 수준이다. 반면, 울산 중구, 남구, 동구의 인구는 10% 이상 감소하였다.
시군 | 2,014 | 2024 | 증감 | 증감율 |
울산시 전체 |
1,166,377 | 1,098,049 | ▼68,328 | -5.9% |
중구 | 238,825 | 207,000 | ▼31,825 | -13.3% |
남구 | 347,759 | 304,885 | ▼42,874 | -12.3% |
동구 | 176,668 | 150,836 | ▼25,832 | -14.6% |
북구 | 188,733 | 216,522 | 27,789 | 14.7% |
울주군 | 214,392 | 218,806 | 4,414 | 2.1% |
전년(2023년) 대비 2024년 증감
1년 전 2023년 대비하여 인구가 증가한 곳은 울산 북구가 유일하고 증가율은 매우 작다. 울산 북구에는 현대자동차 공장이 자리 잡고 있는 곳이다. 나머지 자치구와 울주군의 인구는 감소하고 있다.
시군 | 2023 | 2024 | 증감 | 증감율 |
중구 | 208,668 | 207,000 | ▼1,668 | -0.8% |
남구 | 307,232 | 304,885 | ▼2,347 | -0.8% |
동구 | 152,287 | 150,836 | ▼1,451 | -1.0% |
북구 | 216,477 | 216,522 | 45 | 0.0% |
울주군 | 218,997 | 218,806 | ▼191 | -0.1% |
앞서 울산시의 2050년 추계인구가 78만 명 수준이 될 것이라는 예상처럼, 향후 울산시의 인구수는 재앙적 수준으로 감소가 예상되고 있다. 여기서 확인해 볼 수 있다.
울산광역시 인구 증감 특징
울산시의 인구감소는 부산, 대구만큼이나 심각한 상태이다. 뉴스에서는 "부산, 인구감소로 소멸 위험"이라는 뉴스만 나오지만 실제로는 울산시의 인구감소가 더 심각한 수준이다.
사실 2040년 경에는 울산시 인구가 백만 이하가 되어 광역자치시의 자격을 반납해야 할 정도이다.
우리나라 제조업의 메카인 울산,
석유화학공장, 자동차공장, 조선소, 페인트공장 등등 한국의 대규모 공장이 즐비한 곳이다. 의외로 인구감소의 원인은 울산의 강점이었던 "제조업"의 변신이다.
근본적인 원인은 대한민국 제조업의 경쟁력 하락이다. 이로 인해 공장의 해외투자, 물량의 감소, 자동화, 인건비 절감을 위한 구조조정 등등의 대한민국 제조업 현실의 맨 앞에 울산시가 서 있는 것이다. ■
'통계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선군 읍면별 인구와 청년 노인비율 (0) | 2025.03.19 |
---|---|
전라남도 노인인구와 시군별 노인인구비율 순위 (0) | 2025.03.17 |
2030 전국 시도별 예상 인구수 (0) | 2025.03.12 |
2050년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도) 예상 인구수 (0) | 2025.03.11 |
2050년 예상 인구수 추계 출생자와 사망자 수 (0) | 2025.03.10 |
2025년 2월 대구시 인구수와 구별 인구변동 (0) | 2025.03.10 |
2025 경상남도 시군별 인구수와 인구 순위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