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정선군 읍면별 인구수, 청년, 노인비율
2025 - 2월
정선군 인구수
33,412명(2025년 2월)
33,515명 (2024년 12월)
노인인구비율 : 35%
청년인구비율 : 13%
정선군 전체인구수 | 33,412 | 비율 |
청년인구 20-39세 | 4,316 | 13% |
노인인구 65세이상 | 11,691 | 35% |
신생아 2024년 | 433 | 1.26% |
강원도 다른 시군구 확인하기
정선군 연도별 인구
2011년 12월 4만 명이 넘었던 정선군의 인구는 2025년 2월 현재 33,412명으로 약 6,770명이 감소했다. 14년 만에 인구감소율은 -17%이다. 최근에는 감소율이 더 커졌다.
1년 전인 2023년과 대비하여 2.3% 감소하였다. 연간 2% 인구감소라는 말은 50년 뒤에는 소멸한다는 말이다.
연도 | 인구 | 전년대비 | 증감 |
2025 | 33,412 | ▼103 | - |
2024 | 33,515 | ▼687 | -2.0% |
2023 | 34,202 | ▼729 | -2.1% |
2022 | 34,931 | ▼744 | -2.1% |
2021 | 35,675 | ▼1,195 | -3.2% |
2020 | 36,870 | ▼401 | -1.1% |
2019 | 37,271 | ▼429 | -1.1% |
2018 | 37,700 | ▼473 | -1.2% |
2017 | 38,173 | ▼545 | -1.4% |
2016 | 38,718 | ▼479 | -1.2% |
2014 | 39,425 | ▼560 | -1.4% |
2013 | 39,985 | 70 | 0.2% |
2012 | 39,915 | ▼266 | -0.7% |
2011 | 40,181 | - | - |
정선군 읍면별 인구
정선군에서는 정선읍의 인구가 9,837 명으로 군 인구의 30%에 이른다. 정선읍의 인구는 2023년에 1만 명이 무너졌다. 정선군의 읍면에서 1만 명이 넘는 읍면 지역은 없다.
표- 정선군 읍면별 인구 그래프

강원랜드가 자리 잡고 있는 고한읍, 사북읍의 인구가 4천여 명이고 임계면의 인구가 약 3천여 명이다. 정선군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지역은 신동읍 함백출장소로 인구수는 1,487명, 정선군 화암면의 인구가 1,510명 정도이다.
읍면 | 인구 | 비율 |
정선군 전체 | 33,412 | 100% |
정선읍 | 9,837 | 29% |
고한읍 | 4,142 | 12% |
사북읍 | 4,186 | 13% |
신동읍 | 1,688 | 5% |
신동읍 함백출장소 | 1,487 | 4% |
남면 | 3,070 | 9% |
북평면 | 2,366 | 7% |
임계면 | 3,266 | 10% |
화암면 | 1,510 | 5% |
여량면 | 1,860 | 6% |
강원도 정선군 청년 노인인구비율
정선군에서 노인인구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임계면으로 노인비율이 46.7%, 여량연의 노인비율이 46.6%으로 거의 50% 수준이다.
북평면, 화암면의 노인인구도 40%가 넘는다.
표- 정선군 읍면 청년 노인비율
읍면 | 청년 인구수 | 청년 비율 | 노인 인구수 | 노인 비율 |
정선군 전체 | 4,316 | 13% | 11,691 | 35% |
정선읍 | 1,506 | 15% | 2,820 | 29% |
고한읍 | 772 | 19% | 1,196 | 29% |
사북읍 | 566 | 13% | 1,247 | 30% |
신동읍 | 149 | 9% | 666 | 39% |
신동읍 함백출 | 183 | 12% | 619 | 41% |
남면 | 344 | 11% | 1,122 | 36% |
북평면 | 251 | 10% | 964 | 40% |
임계면 | 250 | 8% | 1,538 | 47% |
화암면 | 133 | 9% | 643 | 42% |
여량면 | 162 | 9% | 876 | 47% |
임계면의 청년비율은 8%로 청년인구(20-39세)는 약 250명 정도이다.
정선군 읍면별 인구 변동
10년 전 대비 2024년 인구 증감
2014년 대비 2024년의 정선군 인구는 15%나 감소하였다. 최근 10년간 정선군 모든 읍면의 인구가 10% ~25% 정도 감소하였다.
그중에서도 함백출장소와 사북읍의 인구감소는 심각해 보인다. 강원랜드 카지노가 정선군의 인구를 늘여주거나 유지시켜주지는 못하는 듯하다.
구분 | 2014 | 2024 | 증감 | 비율 |
정선군 전체 | 39,425 | 33,515 | ▼5,910 | -15% |
정선읍 | 11,491 | 9,811 | ▼1,680 | -15% |
고한읍 | 5,008 | 4,139 | ▼869 | -17% |
사북읍 | 5,543 | 4,213 | ▼1,330 | -24% |
신동읍 | 1,827 | 1,692 | ▼135 | -7% |
신동읍 함백출 | 1,992 | 1,503 | ▼489 | -25% |
남면 | 3,413 | 3,086 | ▼327 | -10% |
북평면 | 2,681 | 2,393 | ▼288 | -11% |
임계면 | 3,643 | 3,291 | ▼352 | -10% |
화암면 | 1,685 | 1,519 | ▼166 | -10% |
여량면 | 2,142 | 1,868 | ▼274 | -13% |
전년 대비 2024년 인구 증감
전년(2023년)과 비교하면 2024년의 인구변동에서도 사북읍, 북평면의 인구감소는 -4% 정도로 감소율이 크다. 매년 2~4% 인구감소는 25~50년 내에 지역이 소멸한다는 말이다.
구분 | 2023 | 2024 | 증감 | 비율 |
정선군 전체 | 34,202 | 33,515 | ▼687 | -2% |
정선읍 | 9,918 | 9,811 | ▼107 | -1% |
고한읍 | 4,237 | 4,139 | ▼98 | -2% |
사북읍 | 4,366 | 4,213 | ▼153 | -4% |
신동읍 | 1,721 | 1,692 | ▼29 | -2% |
신동읍 함백출 | 1,551 | 1,503 | ▼48 | -3% |
남면 | 3,126 | 3,086 | ▼40 | -1% |
북평면 | 2,480 | 2,393 | ▼87 | -4% |
임계면 | 3,363 | 3,291 | ▼72 | -2% |
화암면 | 1,539 | 1,519 | ▼20 | -1% |
여량면 | 1,901 | 1,868 | ▼33 | -2% |
결론
앞으로도 정선군의 모든 읍면지역의 인구는 계속 감소할 것이다. 현재 10년 내에 노인인구로 접어들 55세-64세의 인구도 22%에 이른다.
10년 뒤면,
정선군의 인구는 20%가 감소하여 약 27,000명,
정선군의 노인비율은 대략 60% 이상이 될 것이다.
그리고 현재 인구가 1,519명인 여량면의 인구는 약 1,200명이 될 것이다. 인구가 줄면 마트, 주유소, 미장원 등 기초 생활시설들이 사라진다. 이는 인구소멸을 더욱 가속시킬 것이다. 어쩌면 생활 인프라가 사라진 10년 뒤 아우라지의 여량면에는 사람이 없을지도 모른다.
정선군은 더 이상 지방 기초자치단체로서의 역할이 어려워 보인다. 영월군이나 평창군과의 합병하는 것이 행정력을 낭비하지 않고 주민들의 복지를 더 신경 쓸 수 있는 여력이 생길 것이다.■
'통계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도 양구군 읍면별 인구 청년 노인비율 (0) | 2025.03.21 |
---|---|
강원도 영월군 읍면별 인구와 노인비율 청년비율 (0) | 2025.03.19 |
전라남도 노인인구와 시군별 노인인구비율 순위 (0) | 2025.03.17 |
2030 전국 시도별 예상 인구수 (0) | 2025.03.12 |
2025년 울산시 시군구별 인구와 변동 (0) | 2025.03.11 |
2050년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도) 예상 인구수 (0) | 2025.03.11 |
2050년 예상 인구수 추계 출생자와 사망자 수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