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수도권 예상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 추계에 의한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도)의 2050년의 예상 인구와 더불어 현재 전체인구의 51% 수준인 수도권 인구는 어떻게 변할지도 알아본다. (추계인구는 출산율, 사망률, 이민 등의 비율을 높게 또는 낮게 설정함에 따라 고위, 중위, 저위추계로 예상한다.)
수도권 2024년 12월 인구수
서울의 인구수는 933만 명
인천시의 인구는 302만 명
경기도의 인구수는 1,369만 명
수도권의 현재 인구는 약 2,604만 명
2050년 저위추계로 수도권 예상인구는 약 2,300만 명이다.
구분 | 인구수 | 비율 |
전국 | 51,217,221 | 100% |
서울시 | 9,331,828 | 18.2% |
인천시 | 3,021,010 | 5.9% |
경기도 | 13,694,685 | 26.7% |
수도권 소계 |
26,047,523 | 50.8% |

2050년까지 수도권 인구 예상(중위추계)
서울시 인구는
현재 933만 명 수준에서 계속 감소하여 2033년 800만 명 대로 떨어진다. 그리고 2052년 경에는 793만 명 정도로 현재보다 약 140만 명이 감소한다.
인천시의 경우
현재 302만 명에서 2037년까지 320만 명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인천시 인구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2050년 경 인천시 인구는 290만 명 수준으로 현재 인구와 비슷하게 원위치가 된다. 현재 인구와 차이가 없다.
경기도의 중위추계 인구를 보면
현재 1,369만 명에서 2038년 1,450만 명으로 약 80만 명 더 늘어나다가 이후 감소로 돌아선다. 2051년 경에는 1,390만 명으로 예상했다. 그래도 현재의 경기도 인구보다 많다. 이후에는 경기도의 인구도 계속 감소할 것이다.
연도 | 서울 (천명) |
인천 천명 |
경기 (천명) |
2024 | 9,394 | 3,049 | 13,861 |
2025 | 9,340 | 3,058 | 13,949 |
2026 | 9,287 | 3,067 | 14,027 |
2027 | 9,236 | 3,075 | 14,100 |
2028 | 9,187 | 3,083 | 14,166 |
2029 | 9,141 | 3,090 | 14,228 |
2030 | 9,096 | 3,098 | 14,284 |
2031 | 9,054 | 3,104 | 14,334 |
2032 | 9,014 | 3,110 | 14,378 |
2033 | 8,975 | 3,115 | 14,417 |
2034 | 8,938 | 3,120 | 14,449 |
2035 | 8,902 | 3,123 | 14,476 |
2036 | 8,867 | 3,125 | 14,495 |
2037 | 8,831 | 3,126 | 14,509 |
2038 | 8,794 | 3,126 | 14,516 |
2039 | 8,754 | 3,125 | 14,515 |
2040 | 8,710 | 3,122 | 14,506 |
2041 | 8,663 | 3,117 | 14,489 |
2042 | 8,612 | 3,111 | 14,465 |
2043 | 8,558 | 3,103 | 14,434 |
2044 | 8,500 | 3,094 | 14,396 |
2045 | 8,439 | 3,083 | 14,351 |
2046 | 8,375 | 3,071 | 14,298 |
2047 | 8,307 | 3,057 | 14,238 |
2048 | 8,237 | 3,042 | 14,169 |
2049 | 8,165 | 3,025 | 14,093 |
2050 | 8,090 | 3,006 | 14,007 |
2051 | 8,013 | 2,986 | 13,914 |
2052 | 7,935 | 2,964 | 13,812 |
중위추계로 본 수도권 예상인구
2050년 경 수도권 인구는 약 2,510만 명 정도이다. 2024년 수도권 인구 2,604만 명 대비 약 94만 명이 줄어드는 것으로 예상했다. 생각보다 적게 줄어든다. 실제로는 아래에서 아래에서 살펴볼 저위추계로 예상한 수도권인구가 더 정확할 것이다.
2050년 예상 총인구수는 4,710만 명이고 수도권인구는 전체의 53.3% 정도이다. 수도권집중이 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인구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은 수도권도 예외가 없다.
총인구 (천명) |
연도 | 수도권 (천명) |
비율 |
51,217 | 2024 실제 |
26,047 | 50.9% |
51,751 | 2024 추계 |
26,304 | 50.8% |
51,685 | 2025 | 26,347 | 51.0% |
51,609 | 2026 | 26,381 | 51.1% |
51,535 | 2027 | 26,411 | 51.2% |
51,460 | 2028 | 26,436 | 51.4% |
51,384 | 2029 | 26,459 | 51.5% |
51,306 | 2030 | 26,478 | 51.6% |
51,223 | 2031 | 26,492 | 51.7% |
51,135 | 2032 | 26,502 | 51.8% |
51,041 | 2033 | 26,507 | 51.9% |
50,938 | 2034 | 26,507 | 52.0% |
50,825 | 2035 | 26,501 | 52.1% |
50,701 | 2036 | 26,487 | 52.2% |
50,567 | 2037 | 26,466 | 52.3% |
50,417 | 2038 | 26,436 | 52.4% |
50,248 | 2039 | 26,394 | 52.5% |
50,059 | 2040 | 26,338 | 52.6% |
49,852 | 2041 | 26,269 | 52.7% |
49,625 | 2042 | 26,188 | 52.8% |
49,381 | 2043 | 26,095 | 52.8% |
49,117 | 2044 | 25,990 | 52.9% |
48,835 | 2045 | 25,873 | 53.0% |
48,532 | 2046 | 25,744 | 53.0% |
48,208 | 2047 | 25,602 | 53.1% |
47,863 | 2048 | 25,448 | 53.2% |
47,496 | 2049 | 25,283 | 53.2% |
47,107 | 2050 | 25,103 | 53.3% |
46,697 | 2051 | 24,913 | 53.3% |
46,268 | 2052 | 24,711 | 53.4% |
2050년까지 수도권 인구 예상(저위추계)
서울시의 경우
현재인구 933만 명에서 2030년(바로 5년 뒤)에는 약 800만 명 대로 떨어진다. 5년 만에 30만 명이 감소한다. 2040년 경에는 828만 명 정도로 약 100만 명이 감소한다.
2050년 경에는 서울시의 인구를 약 740만 명으로 예상했다. 25년 뒤 서울시의 인구는 현재보다 약 200만 명이 감소한다.
인천시는
현재인구 302만 명에서 2027년 약 305만 명으로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고 2052년 270만 명까지 줄어든다. 현재인구보다 약 30만 명이 감소한다.
경기도 저위추계 예상인구를 보면.
현재 1,369만 명에서 2028년 1,400만 명으로 증가하고 일정기간 유지하다가 2036년부터 감소한다. 2050년에는 경기도 인구는 1,280만 명 수준으로 감소한다. 2024년 대비 약 100만 명이 감소한다.
연도 | 서울 (천명) |
인천 (천명) |
경기 (천명) |
2024 | 9,375 | 3,044 | 13,832 |
2025 | 9,304 | 3,047 | 13,893 |
2026 | 9,231 | 3,050 | 13,941 |
2027 | 9,157 | 3,051 | 13,978 |
2028 | 9,085 | 3,051 | 14,008 |
2029 | 9,014 | 3,051 | 14,030 |
2030 | 8,944 | 3,050 | 14,045 |
2031 | 8,876 | 3,048 | 14,052 |
2032 | 8,809 | 3,045 | 14,053 |
2033 | 8,743 | 3,041 | 14,046 |
2034 | 8,678 | 3,035 | 14,032 |
2035 | 8,614 | 3,029 | 14,011 |
2036 | 8,551 | 3,021 | 13,982 |
2037 | 8,487 | 3,012 | 13,947 |
2038 | 8,421 | 3,002 | 13,904 |
2039 | 8,353 | 2,990 | 13,853 |
2040 | 8,282 | 2,977 | 13,794 |
2041 | 8,209 | 2,962 | 13,729 |
2042 | 8,133 | 2,946 | 13,656 |
2043 | 8,053 | 2,928 | 13,576 |
2044 | 7,970 | 2,909 | 13,490 |
2045 | 7,884 | 2,888 | 13,397 |
2046 | 7,795 | 2,866 | 13,298 |
2047 | 7,704 | 2,843 | 13,192 |
2048 | 7,610 | 2,819 | 13,080 |
2049 | 7,513 | 2,793 | 12,961 |
2050 | 7,415 | 2,765 | 12,836 |
2051 | 7,316 | 2,737 | 12,704 |
2052 | 7,215 | 2,707 | 12,565 |
저위추계로 본 수도권 예상인구
2030년까지 수도권인구는 현재보다 약간 증가하다가 2031년부터 감소를 시작한다. 2040년 경 수도권 인구는 약 2,503만 명 정도로 2024년 대비 100만 명 정도 감소하고 2050년의 수도권인구는 2,301만 명으로 2024년 대비 약 303만 명이 줄어드는 것으로 예상했다.
저위추계로 2050년 전체인구 4,330만 명에서 수도권 인구는 2,300만 명으로 53.1%를 차지한다. 2024년 수도권 인구비율 50.9%보다 2.2%가 더 늘어났다.
수도권집중 현상도 문제이지만 실질적으로 수도권인구도 11.6% 이상 감소한다는 사실이다.
총인구 (천명) |
연도 | 수도권 (천명) |
비율 |
51,217 | 2024 실제 |
26,047 | 50.9% |
51,655 | 2024 추계 |
26,251 | 50.8% |
51,500 | 2025 | 26,244 | 51.0% |
51,321 | 2026 | 26,222 | 51.1% |
51,129 | 2027 | 26,186 | 51.2% |
50,930 | 2028 | 26,144 | 51.3% |
50,723 | 2029 | 26,095 | 51.4% |
50,509 | 2030 | 26,039 | 51.6% |
50,287 | 2031 | 25,976 | 51.7% |
50,055 | 2032 | 25,907 | 51.8% |
49,812 | 2033 | 25,830 | 51.9% |
49,558 | 2034 | 25,745 | 51.9% |
49,293 | 2035 | 25,654 | 52.0% |
49,015 | 2036 | 25,554 | 52.1% |
48,724 | 2037 | 25,446 | 52.2% |
48,416 | 2038 | 25,327 | 52.3% |
48,088 | 2039 | 25,196 | 52.4% |
47,741 | 2040 | 25,053 | 52.5% |
47,379 | 2041 | 24,900 | 52.6% |
46,999 | 2042 | 24,735 | 52.6% |
46,601 | 2043 | 24,557 | 52.7% |
46,184 | 2044 | 24,369 | 52.8% |
45,751 | 2045 | 24,169 | 52.8% |
45,300 | 2046 | 23,959 | 52.9% |
44,832 | 2047 | 23,739 | 53.0% |
44,349 | 2048 | 23,509 | 53.0% |
43,849 | 2049 | 23,267 | 53.1% |
43,333 | 2050 | 23,016 | 53.1% |
42,801 | 2051 | 22,757 | 53.2% |
42,252 | 2052 | 22,487 | 53.2% |
수도권 집중 현상은 현재도 높은 비율이다. 앞으로도 이 상태를 유지하거나 좀 더 높아질 전망이다. 대한민국의 인구감소의 큰 원인 중 하나 일 수도 있는 수도권집중 현상에 대한 대책이 있어야 할 것 같다.■
'통계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라남도 노인인구와 시군별 노인인구비율 순위 (0) | 2025.03.17 |
---|---|
2030 전국 시도별 예상 인구수 (0) | 2025.03.12 |
2025년 울산시 시군구별 인구와 변동 (0) | 2025.03.11 |
2050년 예상 인구수 추계 출생자와 사망자 수 (0) | 2025.03.10 |
2025년 2월 대구시 인구수와 구별 인구변동 (0) | 2025.03.10 |
2025 경상남도 시군별 인구수와 인구 순위 (0) | 2025.03.10 |
전국 의과대학 2025년 입학정원 모집정원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