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시도별 예상 인구수
통계청의 추계인구에 기반하여 2024년 12월 현재인구수와 비교하여 2030년 전국 시도별 예상 인구수를 알아본다. 추계인구는 출산율, 사망률, 이민 등의 비율을 높게 또는 낮게 설정함에 따라 고위, 중위, 저위추계로 예상한다.
여기서는 중간 값인 중위추계 예상 인구수와 실제인구 증감과 비슷한 저위추계 예상 인구수를 비교해 본다. 2030년 예상인구에서 가장 큰 감소율을 보이는 곳은 대구시이다.
현재(2024.12) 총인구수와 추계인구수
2024년 현재 총인구수는 51,217, 221명이다. 추계 조건별로 예상인구수를 보면
중위추계로,
2030년 총인구는 9만 명이 늘어난다. 이후 2050년 경에는 400만 명이 감소하고 2070년 인구는 1400만 명이 감소하여 예상 총인구는 3,700만 명이다.
저위추계로,
2030년에는 71만 명이 감소하고 15년 뒤 2040년에는 350만 명 감소, 2050년에는 총인구가 4,300만 명 정도이고 2070년 경에는 현재보다 약 2,000만 명이 감소하여 총인구는 약 3,100만 명이 예상된다.
대한민국 인구 “삼천만 명” 시대가 도래하는 것이다. 나라를 잘만 운영하면 삼천만 국민들이 쾌적하게 살아갈 수도 있다. 다만 지옥만큼 힘든 고통과 갈등의 시간을 지나야 할 것이다.
연도 | 중위추계 (만명) |
2024 대비 증감 |
저위추계 (만명) |
2024 대비 증감 |
2024 실제 |
5,122 | - | 5,122 | - |
2030 | 5,131 | +9 | 5,051 | -71 |
2040 | 5,006 | -116 | 4,774 | -348 |
2050 | 4,711 | -411 | 4,333 | -789 |
2060 | 4,230 | -892 | 3,742 | -1380 |
2070 |
3,718 | -1404 | 3,132 | -1990 |
중위추계로 본 2030년 시도별 예상인구
중위 추계로 2030년 한국의 총인구는 약 9만 명 증가하는 것으로 예상했다. 현실은 감소 중이다. 이점에서 저위추계 예상인구가 현실과 맞아 간다고 본다.
인구가 증가하는 시도는 인천시, 세종시. 경기도, 충북, 충남, 제주도의 인구가 증가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서울시 인구는 감소하지만 충청지역을 포함한 수도권에서 여전히 인구가 증가함을 볼 수 있다.
시도 | 2024 (만명) |
2030 (만명) |
증감 (만명) |
비율 |
전국 | 5,122 | 5,131 | 8.8 | 0.17% |
서울 | 933 | 910 | -23.6 | -2.53% |
부산 | 327 | 311 | -15.5 | -4.74% |
대구 | 236 | 224 | -12.1 | -5.11% |
인천 | 302 | 310 | 7.7 | 2.54% |
광주 | 141 | 140 | -0.6 | -0.40% |
대전 | 144 | 143 | -1.2 | -0.82% |
울산 | 110 | 105 | -4.5 | -4.13% |
세종 | 39 | 44 | 4.6 | 11.65% |
경기 | 1,369 | 1,428 | 58.9 | 4.30% |
강원 | 152 | 152 | -0.1 | -0.03% |
충북 | 159 | 164 | 4.7 | 2.93% |
충남 | 214 | 225 | 11.7 | 5.48% |
전북 | 174 | 169 | -4.4 | -2.55% |
전남 | 179 | 171 | -8.2 | -4.57% |
경북 | 253 | 252 | -0.7 | -0.29% |
경남 | 323 | 314 | -8.7 | -2.71% |
제주 | 67 | 68 | 0.9 | 1.37% |
가장 큰 비율로 인구가 감소할 지역은 대구, 부산, 전남, 울산 순이다. 서울의 감소비율도 -2.5% 정도로 약 23만 명이 감소한다. 의외로 강원도의 인구수는 큰 변동이 없다.
중위추계 예상인구는 정부 당국의 희망 섞인 전망치를 보여 준 것이 아닌가 한다. 이제 저위추계로 본 2030년 전국 시도별 예상 인구수를 보자.
저위추계로 본 2030년 시도별 예상인구
저위추계로 한국의 총인구는 2030년까지 약 71만 명 감소한다. 2030년은 겨우 5년 뒤이다. 2030년 이후의 예상인구는 심각해진다.

서울시는 악 39만 명 감소(-4.1%)하고 인천시는 3만 명이 증가, 경기도의 인구는 약 35만 명이 증가하여 수도권 인구는 전체적으로 약간 증가한다. 그 외 저위추계에서도 예상인구가 증가하는 지역은 세종시, 충북, 충남 지역이다.
시도 | 2024 (만명) |
2030 (만명) |
증감 (만명) |
비율 |
전국 | 5,122 | 5,051 | -70.8 | -1.38% |
서울 | 933 | 894 | -38.8 | -4.15% |
부산 | 327 | 308 | -19.0 | -5.81% |
대구 | 236 | 222 | -14.7 | -6.20% |
인천 | 302 | 305 | 2.9 | 0.95% |
광주 | 141 | 138 | -2.7 | -1.94% |
대전 | 144 | 141 | -3.2 | -2.22% |
울산 | 110 | 104 | -6.1 | -5.52% |
세종 | 39 | 43 | 4.0 | 10.19% |
경기 | 1,369 | 1,404 | 35.0 | 2.55% |
강원 | 152 | 150 | -2.0 | -1.35% |
충북 | 159 | 161 | 1.9 | 1.19% |
충남 | 214 | 221 | 7.5 | 3.52% |
전북 | 174 | 167 | -6.9 | -3.95% |
전남 | 179 | 168 | -10.9 | -6.11% |
경북 | 253 | 249 | -4.6 | -1.82% |
경남 | 323 | 310 | -13.0 | -4.02% |
제주 | 67.0 | 66.7 | -0.3 | -0.39% |
2030년 가장 큰 비율로 인구가 감소하는 지역은
대구시로 약 - 6.20% 감소한다. 전라남도는 -6.11%, 부산시는 -5.85%, 울산시의 예상인구는 5.5% 감소한다. 서울시는 약 40만 명이 감소(-4.5%)한다.
결론
중위추계로 예상한 2030년의 총인구는 증가한다. 반면 저위추계 예상치는 약 71만 명 감소한다.
수도권의 경우,
2030년 까지는 증가한다. 수도권 집중이 더 심화될 것으로 보였으나 서울 인구의 감소 효과로 전체적으로 약간 증가하는 것에 그쳤다. 이후의 수도권 인구도 감소한다.
지방권의 경우
충청권의 경우는 저위추계나 중위추계 모두 2030년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예상하였다. 전라, 경상. 강원 지역은 광역시든 자치도든 대도시든 시골이든 모두 감소한다. 2024년 대비 2030년 예상인구가 가장 큰 감소를 보이는 곳은 대구시와 전라남도, 부산시이다.
이제 인구감소가 체감할 정도의 수치로 나타나는 2040년 이후 전국 시도별 인구수를 알아본다.■
'통계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도 영월군 읍면별 인구와 노인비율 청년비율 (0) | 2025.03.19 |
---|---|
정선군 읍면별 인구와 청년 노인비율 (0) | 2025.03.19 |
전라남도 노인인구와 시군별 노인인구비율 순위 (0) | 2025.03.17 |
2025년 울산시 시군구별 인구와 변동 (0) | 2025.03.11 |
2050년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도) 예상 인구수 (0) | 2025.03.11 |
2050년 예상 인구수 추계 출생자와 사망자 수 (0) | 2025.03.10 |
2025년 2월 대구시 인구수와 구별 인구변동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