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영월군 읍면별 인구수
2025-2월
영월군 인구
36,500명(2025년 2월)
노인인구비율 : 36.3%, 강원도 2위
청년비율 : 13.2%
2024년 영월군 신생아 수 : 70명
구분 | 인구 | 비율 |
전체인구수 2025 |
36,500 | - |
청년인구 20-39세 |
4,812 | 13% |
노인인구 65세이상 |
13,266 | 36.3% |
신생아 2024년 |
70 | 0.2% |
강원도 다른 시군구 확인하기
영월군 연도별 인구
2025년 2월 기준으로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의 인구수는 약 36,500명이다. 원래 인구도 적은데 인구감소도 크다. 영월의 인구는 10여 년 전부터 계속하여 인구가 감소해 왔다.
연도 | 인구수 | 전년대비 | 비율 |
2025 | 36,500 | ▼221 | -0.6% |
2024 | 36,721 | ▼611 | -1.6% |
2023 | 37,332 | ▼396 | -1.0% |
2022 | 37,728 | ▼176 | -0.5% |
2021 | 37,904 | ▼758 | -2.0% |
2020 | 38,662 | ▼465 | -1.2% |
2019 | 39,127 | ▼603 | -1.5% |
2018 | 39,730 | ▼337 | -0.8% |
2017 | 40,067 | ▼6 | 0.0% |
2016 | 40,073 | ▼143 | -0.4% |
2015 | 40,216 | 25 | 0.1% |
2014 | 40,191 | 41 | 0.1% |
2013 | 40,150 | ▼5 | 0.0% |
2012 | 40,155 | ▼44 | -0.1% |
2011 | 40,199 | - | - |
매년 1~2% 지방 인구감소는 대한민국의 사회, 문화, 경제적 현실에서 당연한 수순으로 보인다. 결국 지방소멸은 돌이킬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표-영월군 인구추이
영월군 읍면별 인구
영월읍의 인구가 19,600여 명으로 군 인구의 54%에 이른다. 그다음으로 주천면의 인구수가 약 3,800명, 나머지 읍면의 인구는 1~2천 명 정도이다.
상동읍의 인구가 약 1천 명으로 가장 적고, 산솔면, 김삿갓면의 인구도 1천 명대이다. 상동읍은 읍이 아니라 면 수준의 인구이다.
표- 2025년 영월군 읍면 인구
읍면 | 인구 | 비율 |
영월군 | 36,500 | 100% |
영월읍 | 19,671 | 54% |
상동읍 | 1,018 | 2.8% |
산솔면 | 1,378 | 4% |
김삿갓면 | 1,742 | 5% |
북면 | 2,020 | 6% |
남면 | 2,105 | 6% |
한반도면 | 1,143 | 3% |
한반도면 쌍용출장소 |
1,520 | 4% |
주천면 | 3,793 | 10% |
무릉도원면 | 2,110 | 6% |
2024년 영월군 청년, 노인인구 비율
영월군전체 노인비율은 35.8%로 강원도에서 횡성군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영월읍을 제외하고 모든 읍면의 노인비율이 40%가 넘는다. 무릉도원면의 노인비율은 거의 48%에 이르고 남면과 산솔면은 47%, 상동읍과 북면의 노인비율은 약 46%이다.
구분 | 청년비율 | 노인비율 |
영월군 전체 |
13% | 36.3% |
영월읍 | 18% | 27.1% |
상동읍 | 8% | 46.2% |
산솔면 | 6% | 47.6% |
김삿갓면 | 8% | 42.0% |
북면 | 9% | 46.5% |
남면 | 9% | 47.2% |
한반도면 | 11% | 40.9% |
한반도면 쌍용출장소 |
10% | 47.4% |
주천면 | 9% | 46.6% |
무릉도원면 | 6% | 47.8% |
상동읍의 청년인구는 83명이고, 산솔면의 청년 인구비율은 8% 정도이고 전체인구 1,380명 중에서 청년인구수는 88명이다. 거의 청년들이 없다.
세대별 인구수
인구 감소가 심한 영월군, 어느 세대가 많이 살고 있는지 세대별로 알아보자.
영월군에서는 60대가 가장 많다. 그 뒤로 50대, 70대 순이다.
세대 | 인구 | 비율 |
0세대 | 1,277 | 3% |
10대 | 2,430 | 7% |
20대 | 2,536 | 7% |
30대 | 2,276 | 6% |
40대 | 3,742 | 10% |
50대 | 6,563 | 18% |
60대 | 8,855 | 24% |
70대 | 5,271 | 14% |
80대+ | 3,550 | 10% |
전체 | 36,500 | 100% |
영월군 읍면별 인구 변동
10년 전(2014년) 대비 2024년 인구 증감
2014년 대비 현재 영월군 인구는 10%나 줄었다. 영월읍의 인구도 9%가 줄었다. 무릉도원면, 김삿갓면의 인구가 10년 전보다 조금 늘었지만 큰 의미가 없다.
구분 | 2014 | 2024 | 증감 | 비율 |
영월군 | 40,191 | 36,721 | ▼3,470 | -9% |
영월읍 | 21,949 | 19,838 | ▼2,111 | -10% |
상동읍 | 1,205 | 1,009 | ▼196 | -16% |
산솔면 | 1,579 | 1,394 | ▼185 | -12% |
김삿갓면 | 1,743 | 1,779 | 36 | 2% |
북면 | 2,308 | 2,006 | ▼302 | -13% |
남면 | 2,303 | 2,109 | ▼194 | -8% |
한반도면 | 1,243 | 1,145 | ▼98 | -4% |
한반도면 쌍용출장소 |
1,969 | 1,543 | ▼426 | -34% |
주천면 | 4,020 | 3,793 | ▼227 | -12% |
무릉도원면 | 1,872 | 2,105 | 233 | 6% |
전년(2023년) 대비 2024년 인구 증감
전년보다 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산솔면, 주천면, 김삿갓면, 무릉도원면의 인구가 늘었지만 아주 미미하다.
그래도 무릉도원면의 인구는 조금이나마 늘어나는 이유는 무릉도원이라는 이름 탓인지, 귀농, 귀촌인의 증가의 탓인지는 모르겠다. 큰 의미 없어 보인다. 영월군의 각 읍면의 인구감소는 대책이 없을 만큼 심각하다.
구분 | 2023 | 2024 | 증감 | 비율 |
영월군 | 37,332 | 36,721 | ▼611 | -1.6% |
영월읍 | 20,360 | 19,838 | ▼522 | -2.6% |
상동읍 | 1,029 | 1,009 | ▼20 | -1.9% |
산솔면 | 1,390 | 1,394 | 4 | 0.3% |
김삿갓면 | 1,769 | 1,779 | 10 | 0.6% |
북면 | 2,036 | 2,006 | ▼30 | -1.5% |
남면 | 2,132 | 2,109 | ▼23 | -1.1% |
한반도면 | 1,184 | 1,145 | ▼39 | -3.3% |
한반도면 쌍용출장소 |
1,571 | 1,543 | ▼28 | -2.4% |
주천면 | 3,791 | 3,793 | 2 | 0.1% |
무릉도원면 | 2,070 | 2,105 | 35 | 0.9% |
결론
2024년 영월군에서 태어난 신생아는 70명 정도이다. 2024년 영월군 인구감소 숫자는 611명이다. 681명이 사망하거나 영월을 떠났다는 것이다.
1명이 태어나면 9명이 사망한 셈이다.
1달에 6명 출산을 하고 1달에 56명 장례를 치른다.
영월읍에는 산부인과가 없을 것 같고
장례식장은 적자에 시달릴 것으로 보인다.
동강과 주천강이 흐르는 산속의 고즈넉한 작은 마을로 남을 것 같다. ■
'통계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도 양구군 읍면별 인구 청년 노인비율 (0) | 2025.03.21 |
---|---|
정선군 읍면별 인구와 청년 노인비율 (0) | 2025.03.19 |
전라남도 노인인구와 시군별 노인인구비율 순위 (0) | 2025.03.17 |
2030 전국 시도별 예상 인구수 (0) | 2025.03.12 |
2025년 울산시 시군구별 인구와 변동 (0) | 2025.03.11 |
2050년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도) 예상 인구수 (0) | 2025.03.11 |
2050년 예상 인구수 추계 출생자와 사망자 수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