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양구군 읍면별 인구수
2025-2월
양구군 인구
20,417명(2025년 2월)
20,621명(2024년 12월)
노인인구비율 : 27.1 %,
청년비율 : 21.4%
2024년 신생아 수 : 110명
양구군 합계출산율 : 1.278(2023년)
구분 | 인구 | 비율 |
전체인구수 2025 |
20,417 | - |
청년인구 20-39세 |
4,373 | 21.4% |
노인인구 65세이상 |
5,527 | 27.% |
신생아 2024년 |
110 | - |
강원도 다른 시군구 확인하기
양구군 연도별 인구 추이
2015년 양구군의 인구수는 24,000명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있는 중이다. 2025년 말에는 1만 명 대로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
연도 | 인구수 | 전년대비 감소 |
전년대비 비율 |
2025 2월 |
20,417 | ▼204 | -1.0% |
2024 | 20,621 | ▼435 | -2.1% |
2023 | 21,056 | ▼327 | -1.5% |
2022 | 21,383 | ▼365 | -1.7% |
2021 | 21,748 | ▼530 | -2.4% |
2020 | 22,278 | ▼486 | -2.1% |
2019 | 22,764 | ▼644 | -2.8% |
2018 | 23,408 | ▼427 | -1.8% |
2017 | 23,835 | ▼175 | -0.7% |
2016 | 24,010 | ▼79 | -0.3% |
2015 | 24,089 | 201 | 0.8% |
2014 | 23,888 | 294 | 1.2% |
2013 | 23,594 | 795 | 3.5% |
2012 | 22,799 | 514 | 2.3% |
2011 | 22,285 | - | - |
아래의 인구추이 그래프에서 보듯이 급격한 인구감소는 없지만 자연 감소 수준으로 꾸준히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양구군 읍면별 인구수
양구읍의 인구가 약 13,000 명으로 군 전체 인구의 64%를 차지한다. 국토정중앙면(남면)의 인구수가 약 3,200명이다. 동면, 방산면, 해안면의 인구는 대략 1천 명 수준이다.

표- 2025년 양구군 인구수
읍면 | 인구 | 비율 |
양구군 전체 |
20,417 | 100% |
양구읍 | 13,056 | 64% |
국토 정중앙면 |
3,215 | 16% |
동면 | 1,843 | 9% |
방산면 | 1,132 | 6% |
해안면 | 1,171 | 6% |
국토정중앙면은 이전에 양구군 남면에서 개명되었다.
🔽 화천군 읍면 인구수와 노인비율
🔽 강원도 인제군 읍면 인구수와 노인비율
2025년 양구군 청년, 노인인구 비율
양구군의 청년비율은 21%, 노인비율은 27%로 강원도에서 청년비율은 높은 편이고 노인비율도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한다. 이는 양구군에 자리 잡은 젊은 군인들이 많은 이유인 듯하다. 이런 이유로 양구군의 출산율도 전국 상위권이다.
양구읍을 제외하고 동면, 방사면의 청년비율은 높은 반면 노인인구비율도 매우 높은 편이다.
구분 | 청년 | 노인 |
양구군 | 21.4% | 27.1% |
양구읍 | 22.8% | 20.9% |
국토 정중앙면 |
18.4% | 37.3% |
동면 | 23.1% | 37.5% |
방산면 | 20.6% | 40.0% |
해안면 | 12.5% | 38.3% |
특히 방산면의 노인인구는 40%에 이른다.
세대별 인구수
청년비율은 높고 노인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양구군의 세대별 인구구조를 보면,
60대가 가장 많아 양구군 인구의 20% 수준이다.
그리고 50대 이하가 50% 정도로 그나마 청장년세대 인구가 많은 편이다. 이런 현상은 철원군, 화천군, 인제군 등 군인들의 거주가 많은 접경지역의 특징이다.
세대 | 인구 | 비율 |
0세대 | 1,286 | 6% |
10대 | 1,752 | 9% |
20대 | 2,161 | 11% |
30대 | 2,212 | 11% |
40대 | 2,313 | 11% |
50대 | 3,080 | 15% |
60대 | 3,992 | 20% |
70대 | 2,027 | 10% |
80대+ | 1,594 | 8% |
전체 | 20,417 | 100% |
양구군 읍면별 인구 변동
10년 전(2014년) 대비 2024년 인구 증감
양구군의 인구는 10년 전보다 -14% 감소하였다. 양구읍뿐만 아니라 전 읍면의 인구가 9%~30% 정도까지 감소하였다. 적은 인구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구분 | 2014 | 2024 | 증감 | 비율 |
양구군 전체 |
23,888 | 20,621 | ▼3,267 | -14% |
양구읍 | 14,934 | 13,175 | ▼1,759 | -12% |
국토 정중앙면 |
3,572 | 3,248 | ▼324 | -9% |
동면 | 2,353 | 1,873 | ▼480 | -20% |
방산면 | 1,620 | 1,153 | ▼467 | -29% |
해안면 | 1,409 | 1,172 | ▼237 | -17% |
전년(2023년) 대비 2024년 인구 증감
양구군의 인구는 연간 2% 이상 감소 중이다. 인구가 증가할 일이 없다.
50년 후면 양구군은 소멸될 수도 있겠다.
구분 | 2023 | 2024 | 증감 | 비율 |
양구군 | 21,056 | 20,621 | ▼435 | -2.1% |
양구읍 | 13,484 | 13,175 | ▼309 | -2.3% |
국토 정중앙면 |
3,261 | 3,248 | ▼13 | -0.4% |
동면 | 1,937 | 1,873 | ▼64 | -3.3% |
방산면 | 1,184 | 1,153 | ▼31 | -2.6% |
해안면 | 1,190 | 1,172 | ▼18 | -1.5% |
어쩌면 양구군은 이미 소멸 중일지도 모르겠다.
결론
2026년이면 양구군의 인구는 1만 명대 수준으로 감소할 것이다.
특별히 양구군은 농촌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청년비율(비슷한 규모의 자치군과 비교)과 낮은 노인비율을 보여주고 있다. 인구대비 청년이 많기 때문이다. 군인들이 많은 지역인 철원군, 화천군, 인제군과 비슷한 인구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 전국 시군구별 노인인구비율)
즉, 양구군에는 군인들과 그 가족들 그리고 노인들 뿐이라는 말이다. 수년이 지난 후 양구군에는 오직 군인들과 그 가족들만이 남을지도 모른다. ■
'통계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도 영월군 읍면별 인구와 노인비율 청년비율 (0) | 2025.03.19 |
---|---|
정선군 읍면별 인구와 청년 노인비율 (0) | 2025.03.19 |
전라남도 노인인구와 시군별 노인인구비율 순위 (0) | 2025.03.17 |
2030 전국 시도별 예상 인구수 (0) | 2025.03.12 |
2025년 울산시 시군구별 인구와 변동 (0) | 2025.03.11 |
2050년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도) 예상 인구수 (0) | 2025.03.11 |
2050년 예상 인구수 추계 출생자와 사망자 수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