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예상 인구수 추계 출생자와 사망자 수
본문 바로가기
통계자료들

2050년 예상 인구수 추계 출생자와 사망자 수

by molbania3 2025. 3. 10.
반응형

2050년 예상 출생자와 사망자 수
통계청이 발표한 2050년까지 대한민국 추계 예상 인구수와 이를 바탕으로 한 예상 출생아 수와 사망자 수를 알아본다.


현재 인구수와 추계 예상 인구

2024년 12월 기준으로
총인구수는 51,217,221명이다.(2025년 2월 현재는 25,000여 명이 줄어 약 5,191만 명이다.) 추계인구는 사망률과 출생률, 이민자, 국적획득자 등을 감안하여 높은 예상(고위 추계)과 중간예상(중위계) 낮은 예상치(저위계)를 산출한다. 실제 인구감소는 저위추계를 거의 따라간다. 
 
인구추계는 2022년 작성되었고 2024년 예상인구와 실제인구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즉, 고위추계인구는 희망사항이고 중위추계 인구는 정부의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야 달성이 가능한 인구, 저위추계는 최악의 경우의 결과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현실은 살아내기 쉽지 않은 듯 실제 인구는 저위추계보다 더 낮다.

정부의 노력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180도 다른 방향의 정책이 나오지 않는 이상 소멸에 가까운 인구감소는 이미 정해진 미래이다.

연도별 고위추계
(만명)
중위추계
(만명)
저위추계
(만명)
2024
실제
5,122 5,122 5,122
2024
추계
5,184 5,175 5,165
2030 5,221 5,131 5,051
2040 5,244 5,006 4,774
2050 5,095 4,711 4,333
2060 4,740 4,230 3,742
2070 4,354 3,718 3,132

 

 

2024년 실제 인구기준으로 2024년부터 2070년까지 그려본 시나리오별 추계 예상인구 그래프이다. 

 

고위추계로는  768만 명 감소

중위추계로는 1,400만 명 감소

저위추계로는 약 1,990만 명 감소한다.

인구추계 예상 그래프

반응형

 2050년 추계 예상인구


중위, 저위추계 예상인구만 살펴본다. 예상인구와 최근의 실제인구를 비교하여 보면 대한민국 인구가 어떻게 변해갈지 대충 추론해 볼 수가 있다.

중위추계로는
2024년 5,175만 명으로 정점을 찍고 인구감소가 시작된다. 그리고 2035년부터 매년 10만 명씩 감소하는 예상이다.(실제로는 대한민국인구는 2024년 이전부터 매년 10만 명 이상씩 감소 중이다.) 여하튼 중위추계로 2050년의 인구수는 4,710만 명으로 현재보다 약 410만 명 감소한다.

 

2041년에 4천만 명 대로 떨어지고 2065년 경 약 3천만 명 대로 떨어진다.

 연도 중위추계
(천명)
저위
(천명)
2024
실제인구
51,217 51,217
 2024
추계인구
51,751 51,655
 2025 51,685 51,500
 2026 51,609 51,321
 2027 51,535 51,129
 2028 51,460 50,930
 2029 51,384 50,723
 2030 51,306 50,509
 2032 51,135 50,055
 2033 51,041 49,812★
 2035 50,825 49,293
 2036 50,701 49,015
 2038 50,417 48,416
 2039 50,248 48,088
 2040 50,059 47,741
 2041 49,852★ 47,379
 2043 49,381 46,601
 2045 48,835 45,751
 2046 48,532 45,300
 2048 47,863 44,349
 2049 47,496 43,849
 2050 47,107 43,333
 2051 46,697 42,801
 2052 46,268 42,252
2056 44,371 39,899
2060 42,302 37,421
2065 39,685 34,306
2070 37,181 31,318

 


저위추계로 보면,
저위추계로도 2024년 예상인구보다 실제인구는 더 감소했다. 여하튼 저위추계로 본 인구는 2022년부터 바로 인구감소가 시작된다.

2033년 경 오천만 인구는 4천만 명 대로 떨어지고
2050년 경에는 4,300만 명 수준이 된다. 현재인구 대비하여 800만 명이 감소한다. 800만 명은 전체인구의 약 16%이다.

이후는 50만 명씩 감소가 20년간 지속되다가 2070년 경 한국인구는 3천만 명에 이르고 이후 감소가 줄어들기 시작한다. 하지만 출생률이 반등하지 않는 이상 대한민국의 인구는 증가하지 않을 것이다. 이미 정해진 미래이다.


중위추계로 본 출생아와 사망자 수

현재 출생아는 23만 명 정도이다. 2036년까지 출생아가 증가하고 이후 20만 명 수준을 계속 유지하다가 2050년 경 출생아수는 10만 명대로 떨어진다. 2050년 출생아는 20만 명으로 예상했는데 사실 그때 출산하는 임산부를 2020년 생으로 한정하면 2020년 생 여자아이는 약 12만 명이다. 12만 명이 1.7명을 출산해야 한다. 출산율을 높게 예상한 것은 아닐까?

중위추계 출생아 사망자


반면 사망자는 현재 약 35만 명에서 2050년경 매년 70만 명이 사망한다. 인구 자연감소가 매년 40만 명씩 발생한다.

 

연도 중위추계
출생아수
(천명)
중위추계
사망자수
(천명)
 2022 246 360
 2023 230 347
 2024 218 348
 2025 218 358
 2026 229 369
 2027 239 379
 2028 248 390
 2029 257 400
 2030 263 411
 2032 273 433
 2033 276 444
 2035 279 468
 2036 280 480
 2038 270 505
 2039 264 519
 2040 259 533
 2041 255 548
 2043 249 579
 2045 242 611
 2046 238 627
 2048 227 659
 2049 220 673
 2050 212 685
 2051 204 697
 2052 196 708

 

반응형

저위추계로 본 출생아, 사망자 수

저위추계로 출생아 수는 2022년부터 바로 쭉 감소하여 2038년쯤 출생아 수는 10만 명 대로 떨어진다. 그 후 2050년 출생아는 14만 명으로 예상했다. 

 


사망자 수는 저위추계나 중위추계에서나 별 차이가 없다. 2050경 사망자 수는 매년 72만 명으로 인구 자연감소는약 58만 명이다. 매년 약 60만 명씩 감소하는 대한민국의 인구는 2050년 4,300만 명으로 예상했다. 현재보다 800만 명이 감소한다

 연도 저위추계
출생아수
(천명)
중위추계
사망자수
(천명)
 2022 245 365
 2023 226 360
 2024 212 369
 2025 200 381
 2026 197★ 394
 2027 202 407
 2028 206 420
 2029 210 431
 2030 213 442
 2031 214 453
 2032 214 465
 2033 214 476
 2034 213 486
 2035 211 496
 2036 209 509
 2037 204 522
 2038 198★ 537
 2039 193 550
 2040 189 563
 2041 186 578
 2042 183 594
 2043 181 610
 2044 179 625
 2045 177 641
 2046 174 655
 2047 170 667
 2048 166 679
 2049 161 690
 2050 155 699
 2051 148 710
 2052 142 721

 

 

🔽 수도권 추계 예상인구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