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은 Group of 20으로 부르는 국가들로 세계 경제를 이끄는 주요 20개국 국가들을 말한다. G7 국가에 12개의 주요 경제국과 유럽 연합(EU)을 더한 20개의 국가의 재무장관 회의체로 시작했고 이후 정상급 회의체로 변경되었다.
국제사회의 주요 경제·금융 이슈를 폭넓게 논의하는 정상급 포럼, 써밋 콘퍼런스(summit conference), 즉, 회의의 장이다. 이들 G20 국가들에 대하여 알아본다.
첫 재무장관회의
1999년 베를린에서 처음으로 주요 선진국 및 신흥국의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가 함께 모여 국제적인 경제·금융 이슈를 폭넓게 논의하는 첫 G20 재무장관회의가 개최되었다.
첫 정상회의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발생으로 인한 위기 극복을 위해 선진국과 신흥국간의 공조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정상급 회의로 승격되어 처음으로 미국에서 G20 정상회의가 개최되었다. 이후 매년 개최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G20의 경제규모
중국, 인디아, 미국, EU 등 인구규모가 큰 나라가 포함되어 있기에 G20국가의 인구수는 전세계전 세계 인구의 70%에 이른다. GDP 또한 전 세계의 85% 규모이기에 G20 회의체는 전 세계의 경제정책을 결정하는 회의체라고 해도 무방하며 그 영향력은 세계적이다. 국제기구인 OECD와는 성격이 다르다.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는 경제협력개발기구로 국제기구 중 하나이다. 소위 선진국들(아닌 나라들도 있다)이 모여 경제 성장, 경제 정책의 조정, 무역 문제의 검토, 산업 정책의 검토, 국제원조, 환경 문제 등을 논의하는 국제기구이다.
2. Group of 20, 참가국 및 단체
G7 국가 + 각 대륙의 주요 신흥국 12개 국가
EU 의장국 1개
IMF, IBRD, 유럽중앙은행, 국제통화금융위원회, ILO, 유엔사무국 등으로 그룹은 아래와 같이 지역별로 그룹이 나누어져 있다.
Group 1
Member | GDP (Nom) |
GDP (구매력평가) |
무역규모 | 인구 |
![]() 미국 |
1 | 2 | 2 | 3 |
![]() 캐나다 |
8 | 15 | 10 | 17 |
![]() 오스트레일리아 |
13 | 17 | 13 | 19 |
![]() 사우디아라비아 |
16 | 16 | 16 | 18 |
Group 2
Member | GDP (Nom) |
GDP (구매력평가) |
무역규모 | 인구 |
![]() 인디아 |
5 | 3 | 11 | 2 |
![]() 러시아 |
9 | 6 | 12 | 6 |
![]() 터어키 |
17 | 10 | 15 | 9 |
![]() 남아프리카 |
19 | 19 | 18 | 14 |
Group 3
Member | GDP (Nom) |
GDP (구매력평가) |
무역규모 | 인구 |
![]() 브라질 |
11 | 8 | 14 | 5 |
![]() 멕시코 |
14 | 13 | 9 | 7 |
![]() 아르헨티나 |
18 | 18 | 19 | 16 |
Group 4
Member | GDP (Nom) |
GDP (구매력평가) |
무역규모 | 인구 |
![]() 독일 |
4 | 5 | 3 | 10 |
![]() 잉글랜드 |
6 | 9 | 8 | 11 |
![]() 프랑스 |
7 | 10 | 5 | 12 |
![]() 이탈리아 |
10 | 12 | 7 | 13 |
Group 5
Member | GDP (Nom) |
GDP (구매력평가) |
무역규모 | 인구수 |
![]() |
2 | 1 | 1 | 1 |
![]() |
3 | 4 | 4 | 8 |
![]() |
12 | 14 | 6 | 15 |
![]() |
15 | 7 | 17 | 4 |
3. G20에 들어가기
G20에 들어가는 나라들의 경제, 인구규모 등을 순위별로 알아본다. G20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인구와 경제규모, 무역량이 있어야 함은 당연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EU 연합체를 제외하면 19개 국인데 다음은 어느 나라가 들어갈까.
3-1, GDP(Nom, 명목 GDP) 순위를 알아본다.
GDP(Nom)는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은 일정 기간 동안 한 국가에서 생산된 재화와 용역의 시장 가치를 합한 것을 의미하며 보통 최종 생산물의 가치의 합이나 부가 가치의 총액의 합으로 계산한다.
국내 총생산은 천조국 미국이 1위이다. 중국이 2등으로 아직은 격차가 많다. 대한민국은 12위 규모이다. 수출규모는 크다고 해도 국내에서의 부가가치를 창출해 내는 금액에서는 작다는 것이다. 아직까지 일본이 세계 3위의 규모이다.
GDP(Nom) milion$ 2022 | - | - |
Member | GDP(Nom) | Ranking |
United States | 25,035,164 | 1 |
China | 18,321,197 | 2 |
Japan | 4,300,621 | 3 |
Germany | 4,031,149 | 4 |
India | 3,468,566 | 5 |
United Kingdom | 3,198,470 | 6 |
France | 2,778,090 | 7 |
Canada | 2,200,352 | 8 |
Russia | 2,133,092 | 9 |
Italy | 1,996,934 | 10 |
Brazil | 1,894,708 | 11 |
*South Korea | 1,734,207 | 12 |
Australia | 1,724,787 | 13 |
Mexico | 1,424,533 | 14 |
Indonesia | 1,289,429 | 15 |
Saudi Arabia | 1,010,588 | 16 |
Turkey | 853,487 | 17 |
Argentina | 630,698 | 18 |
South Africa | 411,480 | 19 |
European Union | 16,613,060 | 3 |
3-2, Trade (무역규모) 순위를 알아본다.
무역규모는 한해의 수출입을 모두 합한 것이다. 자본수지는 안 들어가는 것 같다. 무역규모는 대륙의 나라 중국이 1위이다. 숫자가 너무 커서 읽기도 힘들 정도인데 읽어 보겠다.
중국의 2021년 무역규모는
USD 6,052,500,000,000 / 6조 5백2십5억 달라
KRW 6,052조 원이다.
미국의 무역규모도 만만치 않다. 물론 수입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3위는 독일, 대한민국은 1조 2천억 달라로 6위이다. 세계 무역규모면에서 G7에 들어갈 정도이다. 하지만 무역규모만으로는 G7에 들어가기가 쉽지 않다. 인도네시아는 인구도 많지만 무역규모가 예상보다 크다.
Trade Milion$ 2021 | - | - |
Member | Trade | Ranking |
China | 6,052,500 | 1 |
United States | 4,689,600 | 2 |
Germany | 3,052,100 | 3 |
Japan | 1,525,000 | 4 |
France | 1,298,900 | 5 |
South Korea | 1,259,500 | 6 |
Italy | 1,167,800 | 7 |
United Kingdom | 1,162,000 | 8 |
Mexico | 1,017,200 | 9 |
Canada | 1,011,600 | 10 |
India | 968,300 | 11 |
Russia | 797,800 | 12 |
Australia | 606,000 | 13 |
Brazil | 515,500 | 14 |
Turkey | 496,600 | 15 |
Saudi Arabia | 429,000 | 16 |
Indonesia | 425,900 | 17 |
South Africa | 237,000 | 18 |
Argentina | 141,100 | 19 |
- | - | |
European Union | 5,078,100 | 2 |
3-3, GDP(PPP) 구매력평가 GDP 순위를 알아본다.
구매력평가 GDP는 각국의 통화단위로 산출된 GDP를 각국의 물가 수준을 함께 반영하는 것이다. 이 수치는 실질적인 소득과 생활수준을 참고할 수 있다. 저소득국가의 GDP(PPP)가 높아진다.
GDP(PPP) milion$ 2022 | - | - |
Member | GDP(PPP) | Ranking |
China | 30,074,380 | 1 |
United States | 25,035,164 | 2 |
India | 11,665,486 | 3 |
Japan | 6,109,961 | 4 |
Germany | 5,316,933 | 5 |
Russia | 4,649,674 | 6 |
Indonesia | 4,023,501 | 7 |
Brazil | 3,782,763 | 8 |
United Kingdom | 3,776,044 | 9 |
France | 3,688,323 | 10 |
Turkey | 3,320,994 | 11 |
Italy | 3,022,162 | 12 |
Mexico | 2,919,875 | 13 |
South Korea | 2,765,834 | 14 |
Canada | 2,240,390 | 15 |
Saudi Arabia | 2,018,260 | 16 |
Australia | 1,615,286 | 17 |
Argentina | 1,207,228 | 18 |
South Africa | 949,846 | 19 |
European Union | 24,048,856 | 3 |
3-4, G20의 인구수
사실 한 국가의 인구수가 많다는 것은 경제성장을 이어갈 수 있는 기반이 된다. 구매력도 크고, 싼 임금으로 인한 대외 경쟁력도 크다.
대륙국가 중구의 인구가 가장 많다. 많은 저임금 노동자들의 노동으로 지금까지 성장해 오고 있다. 최근에는 부동산개발로 성장을 부추기고 있지만 그 한계가 온 듯하다. 더 이상 저임금과 부동산 개발로는 따라오는 국가들을 무시할 수가 없다. 그래서 기술개발에 투자하는 돈이 미국과 맞먹는다.
여하튼 인구수도 경제성장에 중요한 요인이다. 대한민국은 G20에서 인구순으로 14위다. 현재는 저출산으로 인한 향후의 경제성장률에 적신호가 켜진 상태이다.
Population - 2022 | - | - |
Member | Population | Ranking |
China | 1,448,401,200 | 1 |
India | 1,406,632,000 | 2 |
United States | 337,341,954 | 3 |
Indonesia | 279,088,893 | 4 |
Brazil | 217,240,060 | 5 |
Russia | 145,807,429 | 6 |
Mexico | 131,541,424 | 7 |
Japan | 125,592,404 | 8 |
Turkey | 85,551,932 | 9 |
Germany | 84,316,622 | 10 |
United Kingdom | 68,492,933 | 11 |
France | 68,305,148 | 12 |
Italy | 61,095,551 | 13 |
South Africa | 61,060,000 | 14 |
South Korea | 51,844,834 | 15 |
Argentina | 46,300,000 | 16 |
Canada | 38,743,000 | 17 |
Saudi Arabia | 36,168,000 | 18 |
Australia | 26,141,369 | 19 |
European Union | 446,828,803 | 3 |
4. G20 정상회의 일정
G20 정상회의는 매년 개최되는데 우리나라 대한민국은 2010년 "2010 G-20 Seoul summit"라는 이름으로 제5차 정상회의를 서울에서 개최하였다. 그때 우리나라 대표는 이명박이었고, 미국은 버락 오바마, 중국 주석은 후진타오였다.
최근 2022년 11월에 우리나라 대통령이 인도네시아 발리에 간 적이 있는데 위대하신 영부인께서 대통령에게 "오빠, 나가!, 나가! "라고 손짓하던 그때가 신혼여행이 아니라 G20 정상회의차 발리로 간 것이다. 2023년에는 인디아 뉴델리에서 열린다.
G20 정상회의 일정
연도 | 주최국 | 연도 | 주체국 |
2010년 | 대한민국 | 2021년 | 이탈리아 |
2011년 | France | 2022년 | 인도네시아 |
2018년 | 아르헨티나 | 2023년 | 인디아 |
2019년 | 일본 | 2024년 | 브라질 |
2020년 | 사우디 | 2025년 | 남아프리카 |
■■
참고, G7 국가들
G7(Group of 7) 국가들을 알아본다.
Group of 7 G7(Group of Seven)은 G20 (Group of 20)과 유사한 정상 간 회의체이다. 현재는 선진 7개국인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캐나다, 이탈리아가 참가한다. 유럽 연합(EU)도 참가한다. G7모임의 주
karl5044.tistory.com
'여러가지 스토리 > 상식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억새와 갈대의 차이를 구분 하시나요 (0) | 2023.08.14 |
---|---|
태풍(Typhoon)의 등급과 세기 태풍의 이름과 뜻 (0) | 2023.07.18 |
G7(Group of 7) 국가들을 알아본다. (0) | 2023.02.26 |
심폐소생술(CPR)을 알아보자 - 소방청 가이드북 (0) | 2023.02.12 |
여의도에도 국제공항(Yeouido Airport)이 있었다. (0) | 2023.01.02 |
2023년 계묘년의 토끼, 토깽이를 알아본다. (0) | 2022.12.28 |
코로나 19 자가격리와 재택치료 후기 (0) | 2022.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