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능사 필기 대비
조건별 수목 1
1. 요수량과 나무
요수량이 많은 수종 | 가문비, 참나무, 서어나무, 버드나무, 낙우송, 오리나무, 삼나무 |
요수량이 적은 수종 (가뭄에 저항력이 강하다) |
향나무, 노간주나무, 자작나무, 소나무, 편백나무 |
2. 토성에 따른 생장가능 수종은?
사토(점토 12.5% 이하) |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아까시아, 버드나무 |
사양토, 양토, 식양토 | 소나무, 전나무 등 대부분 |
식토(점토 50%이상) | 낙엽송, 서어나무, 가문비나무, 벚나무 |
3.호기성 나무종류
산성토양-호기성 | 소나무, 낙영송, 라기다소나무, 가문비, 잣나무 |
중성토양 | 피나무, 단품, 참나무 |
염기성토양-혐기성(염기성) | 호두, 백합나무, 물푸레나무, 오리나무 |
4.양분요구량에 따른 나무종류
요구량 상 | 오동나무, 느티나무, 전마무, 밤, 물푸레, 참나무 |
요구량 중 | 낙영송, 잣나무, 서어나무, 버드나무 |
요구량 하 | 소나무, 해송, 향나무, 노간주, 아까시, 자작, 오동나무 |
5.균류의 공생에 따른 나무종류
외생균류 | 자작나무, 참나무, 소나무(송이버섯), 가문비 (뿌리표면 공생) |
내생균류 | 은행나무, 향나무, 낙우송, 호두나무 (뿌리세포 안에 공생) |
내외생균 | 피나무(내생, 외생 성질 모두) |
6. 내음성과 관련된 수종의 종류는?
극음수 | 주목, 개자비나무, 사철나무, 회양목 |
음수 | 전나무, 가문비, 너도밤, 단풍나무류 |
중용수 | 편백, 참나무류, 물푸레, 층층나무, 피나무, 굴피나무, 벚나무류 |
양수 | 은행, 소나무류, 측백나무, 향나무, 낙우송, 밤, 오리, 사시나무 |
극양수 | 방크스소나무, 버드나무, 자작나무, 포플러, 낙엽송 |
7. 산림대 별 수종
난대림 | 붉가시나무, 동백, 후박, 아왜나무, 가시나무, 사철, 해송, 삼나무, 편백 |
온대남부 | 개비지나무, 곰솔, 굴피나무, 단풍나무 |
온대중부 | 때죽나무, 신갈, 향나무, 느티나무 |
온대북부 | 피나무, 박달나무, 신갈, 전, 잣나무 |
한대림 | 가문비, 분비, 잎갈나무, 주목, 잣, 전나무 |
8. 생가지치기 위험
생가지치기 위험 있는 수종 | 단풍, 느릅, 벚나무, 물푸레, 너도밤나무, 가문비 |
생가지치기 위험이 적은 수종 | 소나무, 낙엽송, 포플러류, 삼나무, 편백 |

9. 솎아베기(간벌)의 개시시기별 수종
15~20년 | 소나무, 잣나무, 삼나무 |
20~25년 | 편백, 전나무, 가문비 |
10. 비료목으로 사용되는 수목?
콩과수목 | Rhizobium 속 | 아까시나무, 자귀나무, 칡, 싸리나무 |
비콩과수목 | Frankia 속 | 오리나무, 보리수나무, 소귀나무 |
11. 묘목의 곤포시 속당본수
20본 | 가문비, 곰솔, 낙엽송, 리기다 소나무, 잣나무 등 대부분 수종 |
10본 | 밤나무, 수원포플러, 이태리 포플러, 현 사시나무, 황철나무 |
12. 식재시 ha당 심는 본수
본수/ ha | 관련 수종 |
3000~6000/ha | 참나무, 물푸레, 느티나므, 편백 |
3000/ha | 잣나무, 전나무, 낙엽송, 해송 |
600/ha | 수원 포플러, 오동나무 |
400/ha | 밤나무 |
330~400/ha | 이태리 포플러 |
300/ha | 호두나무 |
13. 추파(저장 어려워 수확 즉시 파종) 수종과 시기
추파 시기 | 추파 수종 |
4~5월 | 포풀러류 |
6월 | 느릅나무, 사시나무 |
7~8월 | 회양목 |
11월 | 음나무, 복자기나무 |
14. 파종 방법에 따른 수목
산파 | 소나무, 낙엽송, 오리나무, 자작나무류 |
줄파 | 느티나무, 물푸레, 싸리, 옻나무, 아까시나무 |
점파 | 밤나무, 참나무류, 호두나무, 은행나무 |
15. 판갈이 나무 구분
1년생 판갈이 | 소나무, 삼나무 |
2년생 판갈이 | 참나무류 |
16. 취목방법에 따른 수목
단순 취목 | 석류, 조팝나무, 철쭉, 목련 |
공중 취목 | 목련, 고무나무, 소나무 |
매간 취목 | 벚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
파상 취목 | 포도나무, 덩굴장미 |
17. 접목 시기별 수목
3월 | 은행나무, 귤나무 |
3~4월 | 동백나무, 단풍나무 |
4~5월 | 밤나무, 호두나무 |
18. 수요 수종의 대목과 접수
접수 | 대목 |
소나무류 | 해송 |
섬잣나무 | 해송 |
귤나무 | 탱자, 감귤나무 |
장미나무 | 찔레나무 |
호두나무 | 가래나무 |
사과나무 | 해당화 |
밤나무 | 밤나무(같은 수종) |
은행나무 | 은행나무(같은 수종) |
19. 수목의 형태에 따른 구분은?
관목 5~6m | 싸리, 쥐똥나무, 무궁화, 개나리, 장미, 회양목 |
교목 10m 이상 | 소나무, 낙엽송, 오동나무, 은행, 포플러 |
20. 방구조에 따른 구분은?
겉씨 식물 | 은행, 소나무, 주목, 측백, 낙엽송, 삼나무, 비자나무 |
속씨 식물 | 상수리, 개나리, 매실, 사과, 느티나무, 밤나무, 협죽도 |
겉씨 식물(홑떡잎) | 꽃잎, 꽃받침, 씨방, 도관, 반세포가 없다. |
속씨 식물(쌍떡잎) | 꽃잎, 꽃받침, 씨방, 도관, 반세포가 있다. |
21. 낙엽에 따른 구분
상록수 | 주목, 리기다소나무, 사철, 비자, 동백, 가시나무 |
낙엽수 | 은행, 낙엽송, 낙우송, 상수리, 모란, 층층나무, 배롱나무 |
22. 경제수종에 따른 수목구분
침엽 장기수 | 강송, 잣나무, 전나무, 낙엽송, 삼나무, 편백, 해송, 스트로브잣나무, 버지니아소나무, 리기테다소나무 |
활엽 장기수 | 참나무, 자작나무, 물푸레, 느티나무, 루브라참나무 |
속성수 | 이태리포플러, 현사시나무, 양황철나무, 수원포플러, 오동나무 |
유실수 | 밤나무, 호두나무 |
23. 해외수종 종류
나라 | 수 목 |
미국 | 리기다소나무, 낙우송, 스트로브소나무, 아까시나무, 미루나무 |
유럽 | 독일 가문비, 유럽소나무, 이태리포플러 |
일본 | 삼나무, 낙엽송, 편백, 오리나무 |
24. 수종별 결실 주기는?
주기 | 나무들 |
매년 결실 | 버드나무류, 오리나무류, 포플러류 |
격년 결실 | 소나무류, 오동나무, 아까사나무, 자작나무 |
결실 주기 2~3년 | 참나무류, 들메나무, 느티나무, 편백, 삼나무 |
결실 주기 3~4년 | 전나무, 가문비, 녹나무 |
5년 이상 | 낙엽송, 너도밤나무 |
25. 종자 성숙 기간은?
꽃핀 직후 종자 성숙 (바로) |
사시나무, 미루나무, 버드나무, 황철나무, 온백양 |
꽃핀 해 가을에 성숙 (가을) |
삼나무, 편맥, 전마무, 가문비, 오동, 졸참, 신갈, 떡갈 |
꽃핀 이듬해 가을에 성숙 (1년후 가을) |
소나무류,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잣나무 |
26. 종자 성숙 시기는?
5월 | 버드나무, 미루나무, 양버들, 황철나무, 사시나무 |
6월 | 시무나무, 비술나무, 벚나무, 떡느릅나무 |
7월 | 회양목, 벚나무 |
8월 | 스트로브잣나무, 향나무, 섬잣나무, 귀룽나무, 노간주나무 |
9월 | 소나무, 낙엽송, 주목, 구상나무, 분비나무, 가문비, 향나무, 자작, 물푸레, 밤, 가래나무, 호두, 졸참, 들메나무, 층층나무 |
10월 |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리기다소나무, 해송, 구상나무, 삼나무, 편백, 전마무, 은행나무, 오동나무, 아까시나무, 상수리, 굴참나무, 갈참나무, 단풍, 대추, 밤나무, 층층나무, 오리나무 |
11월 | 동백나무, 회화나무 |
27. 수종별 성숙기를 판단하는 구과의 색구분은?
소나무 | 녹색 |
측백 | 황녹색 |
가문비나무 | 흑색 |
향나무 | 청색 |
28. 휴면원인별 수종
발아 휴면 원인 | 주요 수목 |
불투수성(두꺼워) | 잣, 산수유, 대추, 가래, 자귀나무 |
물리적 방해 | 호두, 잣, 가래, 주목 |
가스 교환의 어려움 | - |
미 성숙한 배 | 들메나무, 향나무, 주목, 은행나무 |
배 자체 휴면 | 배, 사과, 복숭아나무 (주로 유실수) |
생장 억제물질로 인해 | 사과, 배, 피나무, 포도, 감귤류(유실수) |
이중 휴면 | 주목 |
29. 발아 촉진법에 따른 수종
구분 | 사용법 | 적용 수목 |
종피 파상법 | 과피나 종피에 상처 | 향나무, 주목, 옻나무 |
황산처리법(탈납법) | 황산에 넣어 표면 부식 | 옻나무, 피나무, 콩과 수목 |
침수(침지)처리법 | 물에 담궈 냉수침지법, 온탕침지법 |
낙엽송, 삼나무, 편백, 소나무 |
노천매장법 | 종자 저장과 발아 동시에 | |
층적법 | 습한 모래, 이끼를 종자와 층층이 쌓아둔다. |
배휴면 종자에 적용 (주로 유실수) |
약품처리법 | 호르몬제, 화학약품 통해서 | 지베렐린, 시토카닌, 에탈렌, 질산칼륨 |
30. 종자채취에 따른 수종
장대따기 | 밤나무, 참나무 |
홅어따기 | 편백나무, 느티나무, 느릅나무 |
송이따기 | 단풍나무, 물푸레, 오동나무 |
31. 건조법에 따른 수종
양광 건조법 | 소나무, 낙엽송, 전나무, 회양목 |
반음 건조법 | 오리나무, 포플러, 편백, 화백, 미루나무, 참나무류 |
32. 탈종 방법에 따른 수종의 구분
건조 봉타법 | 아까시나무, 박태기나무, 오리나무 |
부숙 마찰법 | 은행, 벚나무, 비자나무, 가래나무, 주목 |
구도법 | 옻나무, 아까시나무 |
도정법 | 옻나무 |
33. 정선 방법에 따른 수종
입선법 | 밤, 가래나무, 호두나무, 상수리나무, 칠엽수등 대립종자 |
풍선법 | 가문비나무, 소나무류, 낙엽송 |
사선법 | 사리나무, 계수나무, 팽나무 |
액체 수선법 | 향나무, 주목, 도토리 등 대립종자 |
액체 식염수선법 | 비중이 큰 옻나무 |
34. 종자 저장 방법에 따른 수종
건조 저장 | 소나무, 해송, 리기다소나무, 삼나무,편백등 소립자 침영수종 |
보습 저장 | 건조시 발아력 상실하는 참나무, 가래나무, 목련 |
35. 종자의 보습저장시 노천 매장시기별 수종구분
종자채취 직후(9~10월) | 들메, 단풍, 잣, 호두, 느티나무 백합나무, 은행나무, 목련 |
토양 동결전(11월하순) | 벽오동, 물푸레, 피나무, 신나무, 층층나무, 옻나무 |
파종 1개월전(3월중순) | 소나무, 해송, 낙엽송, 가문비나무, 전나무 리기다소나무, 방크스소나무, 삼나무, 편백 |
36.종자발아 기준이 되는 대표 수종의 발아 시험기간은?
정상 발아시험 기간 | 수종 |
14일 | 사시나무, 느릅나무 |
21일 | 가문비, 편백, 화백, 아까시나무 |
28일 | 소나무, 해송, 낙엽송, 삼나무, 자작, 오리나무 |
42일 | 느티나무, 옻나무, 전나무, 목련 |
37. 종자의 크기에 따른 구분은?
대립종자 | 1L 당 1,000이하의 잣 보다 큰 종자 |
밤, 상수리, 호두, 은행, 가래 |
중립종자 | 1L 당 1,000~3,000립 정도 잣과 비슷 |
잣, 물푸레, 백합, 피나무 |
소립종자 | 1L 당 3,000~100,000립 정도 | 소나무, 분비나무, 전나무, 벚나무 |
세립종자 | 1L 당 100,000립 이상 종자 | 낙엽송, 자작, 편백, 삼나무, 오리나무 |
■■
'기능사자격증으로 > 산림기능사 시험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림기능사 필기 대비 요약 - 종자생산과 저장 (0) | 2021.10.09 |
---|---|
산림기능사 필기 대비 요약 - 묘목생산(실생묘) (0) | 2021.10.09 |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 묘목식재 (0) | 2021.10.09 |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 숲 가꾸기(풀베기, 가지치기) (0) | 2021.10.07 |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 산림갱신 (0) | 2021.10.07 |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 엽록소와 광합성 (0) | 2021.10.07 |
산림기능사 필기대비 요약 - 산림환경(토양) (0) | 2021.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