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선불 하이패스카드에 대하여 알아본다. 선불 하이패스카드는 두 종류가 있다. 기본적으로 카드 값은 6천 원이며 편의점에서 충전도 가능하다.
초록색 카드
하이패스 자동충전카드는 직접 충전도 되고 잔액이 모자라면 등록한 계좌에서 자동 충전이 되는 카드(등록을 해야 한다)이다.
하얀색 카드
하이패스 선불충전카드는 직접 충전해야 하는 카드이다.
선불 하이패스카드 비교
하이패스 선불충전카드
무기명으로 개인이 직접 편의점, 하이패스 영업소, 지정은행에서 직접 현금으로 충전해야 한다.
인터넷으로 계좌(카드) 충전도 가능하나 카드 등록을 해야 하고 카드리더기가 필요하다.
하이패스 자동충전카드
무기명으로 개인이 직접 편의점, 지정은행, 하이패스 영업소에서 직접 현금으로 충전해야 한다.
인터넷으로 계좌(카드) 충전도 가능하나 카드 등록을 해야 하고 가드리더기가 필요하다.
자동충전카드의 가장 큰 차이점은
하이플러스 홈페이지에서 본인확인 후 자동충전 등록(계좌 등록)을 하면 잔액 부족시 등록계좌에서 자동으로 미리 지정한 금액만큼 충전이 된다.
하이패스 선불충전카드도 자동충전카드로 변경하여 사용 가능하다. 자동충전카드로의 변경은 하이패스영업소나 하이패스 무인기에서 변경등록이 가능하다.
자동 충전카드 충전 금액
자동충전카드는 톨게이트의 하이패스 전용차로를 통과할 때 카드의 잔액이 일정금액 이하일 때, 정한 금액이 자동으로 충전이 된다.
- 카드잔액이 1만 원 미만일 때 : 5만 원 또는 7만 원
- 카드잔액이 2만 원 미만일 때 : 10만 원
- 카드잔액이 3만 원 미만일 때 : 20만 원
기본 충전 금액이며 자동 충전금액을 변경하고자 하는 때에는 선불카드를 소지하고, 가까운 하이패스 영업소를 방문하여 설정금액을 변경할 수 있다.
자동충전 카드등록
자동충전금 미납으로 카드사용이 중지되면 카드에 잔액이 있어도 통행료가 지불되지 않는다.
하이플러스 홈페이지에서
자동충전 카드번호 등록
자동충전 정보 등록 (충전금액)
자동충전 결제수단 등록(계좌등록)
계좌확인 후 등록 완료하면 된다.
일반 충전 방법(자동충전 아니다)
1. 핸드폰 충전
아래의 어플을 다은 받고 선불 하이패스카드를 등록하면 선불카드가 차에 있어도 계좌이체나 신용카드 결제, 페이로 충전이 가능하다.
필요한 금액만큼 충전이 가능하고 편리하다. 그리고 현재 선불하이패스의 잔액도 확인할 수 있다
2. 편의점 및 하이패스 영업소 충전
선불하이패스카드 지창 해야 한다. T머니 선불교통카드처럼 카드를 지창해야 한다.
구분 | 운영시간 | 비고 |
편의점 전 점포 | 24시간 | 현금 |
휴게소 (안내소) |
08시~20시 | 현금, 신용카드 |
휴게소 (무인충전기) |
24시간 | 신용카드 |
영업소 (톨게이트 사무실) |
24시간 | 현금, 신용카드 |
영업소 (민자도로 요금소) |
24시간 | 현금 |
3. ATM 충전
선불하이패스 카드를 지참해야 한다.
ATM | 운영 | 수수료 | 비고 |
롯데 ATM 한네트 ATM 효성 ATM |
24시간 | 수수료 무료 |
현금 |
4. 은행권 충전
선불하이패스 카드를 지참해야 한다.
은행 | 구분 | 수수료 |
기업은행 | 창구, ATM | 당행 무료 타행 유료 |
하나은행 | 창구, ATM | 현금 무료 |
신한은행 | ATM | 현금 무료 |
5. 인터넷 충전
선불하이패스 카드를 준비하고 카드리더기가 있어야 계좌충전, 카드 충전이 가능하다.
카드리더기에 전자카드를 꽂고 조회 버튼 클릭
결제금액을 선택 또는 입력
결제수단 선택 후 결제 및 충전 요청
완료, 충전영수증 출력
* 인터넷 충전은 자동 충전과 다르다.
자동충전은 계좌만 등록하먼 자동으로 충전핵주고 인터넷 충전은 카드 리더기를 설치하고 본인이 직접 충전하는 것이다
인터넷 충전 및 자동충전이 가능한 은행
계좌충전 가능 은행
기업은행, 하나은행, 국민은행, 외환은행, 제일은행, 우리은행, 농협, 신한은행, 시티은행, 우체국, 부산은행, 경남은행, 전북은행, 대구은행, 새마을금고, 광주은행, 수협, 케이뱅크
충전 가능 신용카드
신한카드, BC카드, 우리 카드 ■
'여러가지 스토리 > 상식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국수와 메밀국수 차이 (1) | 2024.09.14 |
---|---|
양미리와 까나리 차이와 구분 (0) | 2023.12.27 |
결혼 기념일 명칭과 의미 선물은 어떤 것이 좋을까 (4) | 2023.09.06 |
산후조리 부기(붓기) 제거에 좋은 홍어 민간요법 (5) | 2023.09.02 |
한국에 사는 개구리 종류와 두꺼비, 맹꽁이 차이 (0) | 2023.08.29 |
억새와 갈대의 차이를 구분 하시나요 (0) | 2023.08.14 |
태풍(Typhoon)의 등급과 세기 태풍의 이름과 뜻 (0) | 2023.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