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능사 필기시험 합격 3주 후기
비전공자, 게다가 문과생으로 전기기능사에 도전해 보았습니다. 추가로 샤프함과 기억력이 현저히 떨어진 50대입니다. 전기기능사 필기시험이 3주간 공부한 것으로 가능한 일인지는 모르겠지만 시도해 보았습니다.
전기기능사 필기시험이 어렵다는 말을 들은 바 있어 독학으로 가능한지는 모르겠지만 불합격이면 다시 한번 도전해 보겠다는 심정으로 공부를 시작합니다.
전기기능사 시험 응시자격 및 합격률
응시자격
응시자격은 별도로 없습니다.
전기기능사 합격률
최근 5개년 합격률을 보면 필기는 35% 수준의 합격률로 매우 어려운 편이고, 실기는 70% 수준의 합격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연도 | 필기 합격률 | 실기 합격률 |
2024년 | 36% | 73% |
2023년 | 35% | 74% |
2022년 | 34% | 73% |
2021년 | 34% | 72% |
2020년 | 37% | 67% |
응시료
필기시험 : 14,500원
실기시험 : 106,200원
전기기능사 시험(2025년 제2회) 일정
접수 : 2025.03.20
시험 일자 : 2025.4.10
시험장소 : 산업인력공단 서울남부지사(영등포)
입실시간 : 09:30분

제3 시험장으로 들어갑니다.

CBT(COUMPUTER BASE TEST) 시험을 위한 시험장입니다. 24명 정도의 자리에 12명 정도가 응시를 했습니다. 2명이 응시를 포기했네요. 신분증 확인하고 주의 사항을 듣고 9시 50분부터 시험을 시작합니다.
산업인력공단 전용 쪼가리 연습장을 한 장 받고...
시험 시작과 후기
시험 시작과 동시에 모니터에 문제가 나타납니다. 3과목이 교재의 순서대로 나오지 않고 마구 섞여 나왔습니다.
전기이론 20문제
전기기기 20문제
계산문제가 14개 정도가 나온 듯합니다.
일반문제를 먼저 다 풀고 계산문제(그중 쉬운 저항 구하기 등의 계산문제 4개 정도는 먼저 풀었고)는 나중으로 미뤄뒀습니다. 모두 풀고 안 푼 문제(계산문제)가 10개 남았음을 확인합니다. 시간은 대략 30분 남았습니다.
본격적으로 공학용 계산기와 기하학적 숫자들과 머리싸움을 시작합니다. 계산은 자신 있는데 도대체 "공식"이 생각이 안 납니다.(완벽하게 이해가 안 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이점에서는 공부시간이 부족했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다행히도 계산문제는 쉽게 나온 듯합니다. 게다가 문제의 지문에서 공식을 유추할 수도 있고, 문제에서 근삿값의 답을 유추할 수 있었습니다. 게다가 기출문제와 똑같은 문제도 2문제 정도 나온 듯합니다.
임피던스를 공부하면서 만난 적이 있는 "허수"를 계산하는 문제가 하나 있었는데 쉬울 것 같았었는데 아쉽게도 포기한 것이라 찍었습니다.
전기설비 20문제
전기설비 과목에서는 계산문제가 없었고 대부분 기출문제에서 나온 듯합니다. 처음 보는 문제가 1~2개가 있었지만 그리 어렵지는 않았습니다.
마지막 2분 30초 남았다는 경고시간까지 혼자 남아 계산문제를 풀었습니다. 시험을 치르면서 결국 전기기능사 필기시험의 합격 여부는
첫 번째는 전기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력과
두 번째는 복잡한 전기 공식에 대한 기억력이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독학 공부는 이렇게 했습니다.
첫 주
이해가 되든 안 되든 교재를 공부하면서 3과목의 요약을 노트에 한 번 적었습니다. 얇은 노트 2권을 다 채웠습니다.
두 번째 주
요약노트를 보면서 인터넷 무료강의를 한번 들었습니다. 조금씩 이해가 되기 시작합니다. 이제 기출문제를 풀면서 요약한 것과 비교해 가며 빠진 것, 새로운 것, 자주 나오는 것을 노트에 추가로 메모하였습니다.
3번째 주
시험이 5일 정도 남았습니다.
공식들을 다시 한번 정리하고 기출문제의 계산문제를 풀어보고, 풀어보고... 위상각, 순시값 등등 아예 이해가 잘 되지 않는 공식은 포기했습니다.
기출문제를 많이 풀었습니다. 지겨울 정도로…
시험전날
정리한 노트를 과목별로 다시 한번 읽어보고, 계산문제는 공식을 다시 한번 눈에 익혔습니다. 시험장 가기 전까지 정리한 노트만 읽어보았습니다.
교재가 너덜너덜하게 뒤적이며 공부한 것이 정말 오랜만입니다. 또한 노트에 빨간색, 파란색, 검은색으로 빼곡하게 메모하기도 오랜만입니다.
독학 시 인터넷, 유튜브 무료강의가 많은 도움이 됩니다. 한두 개의 전기 이론은 확실하게 이해시켜주기도 합니다. 기출문제 풀이 강의도 도움이 됩니다. 문제는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합격을 위해
60문제에서 36개만 맞으면 되는데
전기설비 과목에서 20문제 중 최대한 18개는 맞추고 전기이론과 전기기기 과목 40문제에서 18개를 맞추면 됩니다.
계산문제 약 14개 정도에서 최소한 6문제는 맞추어야 합니다. 그리고 계산 문제가 아닌 것을 12개 이상 맞으면 됩니다. 이건 기출문제를 많이 풀고 익히면 될 것입니다.
계산문제는 아래 적은 것 같은 쉬운 공식 4가지만 확실하게 맞추고 나머지는 기억나는 것을 참고하여 찍어도 계산문제 6문제는 맞출 수 있을 겁니다.
전동기의 회전수 공식
최댓값, 실효값 구하는 공식
1J의 열량 구하는 공식
전열기 열랑 구하는 공식
저항 구하기
콘덴서 용랑 구하기
변압기 권수비 구하기
V결선의 출력 구하는 것도 루트 3만 곱하는 것이니 어렵지 않습니다.
필시시험 합격 여부는 시험을 종료하면 그 자리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본인의 예상 점수 81.66
기출문제 풀 때는 평균 68 - 75점 정도였는데… 스스로도 놀랐습니다.
그리고
며칠 뒤 Q-Net에서 공표하는 개별점수 : 81.66점
2025년 2차 전기기능사 필기시험은 너무 쉬었던 것일까요?

어렵게 나올까 봐 많이 걱정했었는데..
합격입니다. ■
'기능사자격증으로 > 기능사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경사(검안사) 자격증과 취업과 전망, 급여수준 (3) | 2023.11.14 |
---|---|
임상병리사 전망과 취업현황, 급여수준 (1) | 2023.11.10 |
의무기록사(보건의료정보관리사) 취업전망과 급여수준 (3) | 2023.11.09 |
치과기공사 전망과 취업현황 급여수준 (2) | 2023.11.09 |
치과위생사 취업, 전망과 급여 수준 (1) | 2023.11.08 |
방사선사의 현황과 취업. 전망과 급여수준 (3) | 2023.11.07 |
작업치료사(의료기사) 전망과 취업 급여수준 (4) | 2023.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