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스토리' 카테고리의 글 목록 (13 Page)
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여러가지 스토리156

엑셀 위첨자, 아래첨자 입력하기 엑셀사용 시 필요한 위첨자, 아래첨자 입력하는 방법입니다. 엑셀 버전은 Office365, Excel 입니다. 기본 단축 키로 입력하는 방법과 리본메뉴에서 특수문자 입력방법이 있습니다. 1. 셀 서식 단축키 "Ctrl + 1" 사용하여 입력 1 첨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그림에서 처럼 먼저 a 입력 후 커서 위치에서 Ctrl+1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셀서식 대화창이 나옵니다. 필요한 윗첨자, 아랫첨자를 찾아서 체크해주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커서가 바꾸면서 입력 대기상태가 됩니다. 그 자리에서 입력하면 윗 첨자를 입력이 가능합니다. 1글자부터 여러글자, 숫자, 문자도 입력이 가능합니다. 아랫첨자도 같은 방식으로 입력이 가능합니다. 2. 입력 후 첨자로 변환(셀서식 단축키 "Ctrl + 1" 사용) 윗 첨자로.. 2022. 7. 18.
엑셀 특수문자(수학기호) 단축키 입력, 삽입 엑셀사용 시 필요한 특수문자 입력하는 방법입니다. 입력방법이기보다는 찾는 방법이죠. 엑셀 버전은 Office365, Excel 입니다. 특수문자 입력은 메뉴에서 입력하기와 단축키에서 입력하기가 있습니다. 1. 리본메뉴에서 찾기 엑셀 특수문자는리본메뉴에서 삽입-기호 버튼에서 찾아야 합니다.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여기서 하위 집합 버튼으로 필요한 종류를 찾고(히라가나, 한자, 그리스어 등등) 선택 후 삽입 버튼을 누르면 셀에 입력이 됩니다. 이후 셀에서 일반 문자처럼 카피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필요시 다시 불러와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이때 단축키가 훨씬 편해집니다. 2. 단축키로 찾기 특수문자 단축키는 한글 자음 키 + 한자 키를 조합해서 사용하는데 단축키 별로 보여주는 내용이 .. 2022. 7. 15.
한국고유 민물고기 4 - 퉁가리류 한국 고유 (토종) 민물고기 퉁가리 류 퉁사리 Bull-head torrent catfish 우리나라 고유종 사는 곳 금강의 중류지역(영동, 옥천, 무주, 금산, 보은), 웅천천(보령), 만경강(고산), 영산강 상류(장성)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서식처의 파괴로 서식 밀도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하천 중류의 유속이 다소 완만하고 자갈이 많은 곳에 서식하며 야간에 수서곤충을 먹고 산다. 형태와 생태 3년 이상 자라면 11cm까지 자란다. 산란기는 5월 초에서 6월 중순으로 추정, 암컷은 돌 밑에 산란하고 산란장에 남아서 알을 보호한다. 몸은 짙은 황갈색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하나 등 쪽은 다소 짙고 배 쪽은 담황색을 띤다. 배지느러미는 전체적으로 황색이지만 배지느러미 이외의 각 지느러미 가장자리는 담황색.. 2022. 7. 1.
곰치와 꼼치, 물메기의 구분과 차이 꼼치와 곰치 곰치와 꼼치는 전혀 다른 물고기이다. 강원도에서 유명한 곰치국의 재료인 곰치의 실제 이름은 꼼치이다. 물메기와도 다른 종이다. 곰치와 꼼치를 구분하여 보고 참고로 물메기와도 비교해 본다. 🔽 양미리와 까나리 차이와 구분 곰치 Gymnothorax kidako 뱀장어목 꼼치과에 속하는 물고기이다. 사는 곳 얕은 바다의 바위가 많은 암초지대에 무리를 이루어 사는데 성질이 사납고 문어류를 잡아먹는다. 바다 다큐멘터리나 산호초 스노클링 다큐에서 보는 그놈이 이 곰치이다. 생태와 형태 몸길이 60cm 정도이며 큰 것은 1m가 넘는다. 몸은 가늘고 길지만 살지고 피부가 두꺼운 편이며 꼬리는 얇고 넓으며 끝이 뾰족하다. 전 세계에 80종 이상 분포하며 뱀과 비슷하게 생겼다. 몸빛은 황갈색 바탕에 불규칙한.. 2022. 7. 1.
장어 - 뱀장어의 종류 장어의 종류, 뱀장어의 종류 붕장어(아나고), 갯장어, 민물장어(뱀장어)는 뱀장어과에 속하고 칠성장어와 먹장어(꼼장어)는 많이 다른 종이다. 비슷한 곰치도 장어와는 전혀 다른 종이다. 풍천장어(민물장어)는 뱀장어를 말한다. 바다장어는 붕장어(아나고)를 말한다. 댓잎 뱀장어는 갯장어의 유생이고 버들잎 뱀장어는 뱀장어(민물장어)의 유생이다. 칠성장어 붕장어 갯장어 먹장어 (꼼장어) 뱀장어 칠성장어강 조기어강 조기어강 먹장어강 조기어강 칠성장어목 뱀장어목 뱀장어목 먹장어목 뱀장어목 칠성장어과 붕장어과 갯장어과 먹장어과 뱀장어과 다묵장어속 붕장어속 갯장어속 먹장어속 뱀장어속 칠성장어와 꼼장어는 이견이 많이 있지만 원시적 어류로 척추동물로 분류된다. 칠성장어(Lampetra japonica)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 2022. 7. 1.
우리나라 멸종위기 민물고기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환경부에서 지정 및 보호되고 있는 야생 동·식물이다. 국제 자연보호 연맹에서 지정하는 멸종위기 등급과는 다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 Ⅱ급으로 구분하여 보호하고 있다.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 위기종 야생 동식물은 총 221종이다. 그중 1급이 50종, 2급이 171종이다. 포유류 22종, 조류 61종, 파충류 5종, 양서류 2종, 어류 18종, 곤충류 20종, 무척추동물 29종, 육상 식물 64종, 해조류 1종이 있다. (2022년 3월 위키백과 자료) 멸종위기종 중에서 어류를 알아본다.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 - 어류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생물 감돌고기(Pseudopungtungia nigra) 2 급수 이상 맑은 물에서만.. 2022. 6. 26.
미꾸리와 미꾸라지 차이 미꾸리와 미꾸라지 그리고 종개 미꾸리와 미꾸라지는 똑같이 생겼지만 같은 속에 속하고 다른 종이다. 종개라는 이름을 가진 종류도 미꾸리과에 속하는 종이 있지만 좀 다르다. 잉어목 미꾸리과 미꾸리 속에는 미꾸라지와 미꾸리가 속한다. 이 두종이 모두 단백질 공급원의 중요한 식량이었다. 두 종 모두 추어탕의 재료이다. 차이점 미꾸라지와 미꾸리는 비슷하게 생겼으며 구별하지 않고 미꾸라지(추어)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미꾸리는 이추(泥鰍) 미꾸라지는 추어(鰍魚) 미꾸리는 미꾸라지보다 몸이 전체적으로 둥그스름한 편이다.(둥그리) 미꾸라지는 약간 납짝한 편이다(납재기) 미꾸라지의 가장 긴 수염이 미꾸리에 비해 길다. 미꾸라지의 꼬리지느러미 상부의 흑점은 미꾸리와 다르게 불분명하다. 결론은 눕혀서 납작하고 수염이 길면 .. 2022. 6. 26.
한국 고유 민물고기 3 - 돌고기류 한국 고유 민물고기 고유종은 특정 지역에만 분포하는 어종으로 주로 지리적 격리가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진화 역사와 더불어 지역의 특이한 지리 역사를 반영한다. 우리나라의 민물고기는 중국의 황하와 아므르 강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지형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 우리나라의 특성에 적응하며 살아왔다. 우리나라의 민물고기는 현재까지 212종이 산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중 한반도 고유종은 총 61종이며 이중 5종은 북한에만 서식하는 종이다. 한반도 고유종에는 잉어과가 33종, 미꾸리과가 13종으로 이들이 전체의 75%를 차지한다. 감돌고기 Black shinner 한국 고유종 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 감돌고기 속의 모식종 2 급수 이상 맑은 물에서만 서식하는 어종 사는 곳 금강 중상류(진안, 장수), 만경강(고산.. 2022. 6. 26.
한국고유(토종) 민물고기 2 - 종개류 종개(미꾸리)와 미꾸라지 미꾸리 둥글이, 논미꾸리, 미꾸라지, 밑구리, 운구락지 Dojo loach / oriental weatherfish 이추(泥鰍), 한글로 '밋구리'로 쓰고 있다. 미꾸리(미꾸라지)류는 단백질과 비타민 A의 함량이 높아 식용으로도 인기가 있다. 미꾸라지 당미꾸리 chinese muddy loach 한자로는 추어(鰍魚) 몸은 미꾸리보다 길고 납작하다. 미꾸리와 아주 유사하나 이 종은 미병부에 날카로운 융기연이 뚜렷하며, 수염의 길이가 훨씬 길어 미꾸리와 잘 구분된다. 미꾸라지류의 가장 큰 특징은 아가미 호흡 이외에 장으로도 호흡을 한다는 점이다. 이점은 미꾸리도 같다. 왕종개(King spine loach) 기름장어·기름치·하늘미꾸라지 한국 고유종 사는 곳 섬진강(순창, 진안, 장수.. 2022. 6. 25.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