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시군구 2곳 중 1곳은 소멸 위험지역으로
소멸 위험지역은 29.4%
소멸 고 위험지역은 22.4%
지방 소멸 위험지역의 합계는 51.8%입니다.
2022년 3월 기준으로는 49.6% 였으나 1년 만인 2023년 2월 기준으로는 51.8%로 올랐습니다. 하지만 대도시를 제외하면 소멸 위험지역은 74%에 이릅니다.
한국 고용정보원이 지방소멸을 특집으로 「지역산업과 고용」을 발간했다. 통계청의 월별 주민등록인구통계 자료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2023년 2월 기준 소멸 위험지역은 118곳으로 전국 228개 시군구의 약 절반이 넘는 수치(51.8%) 수준으로 나타났다. 2020년 대비 2023년 2월 신규 소멸 위험에 진입한 기초지자체는 16 지역이 늘어났다.
년도 | 소멸 위험 시군개수 |
전체시군에 비율 |
2020 | 102 | 44.7% |
2022.3 | 113 | 49.6% |
2023.2 | 118 | 51.8% |
2022년에는 제조업 쇠퇴 지역인 통영시, 군산시, 당진시 그리고 전통적으로 제조업 기반이 약한 중소도시 충주, 속초, 서산시 등이 포함되었고 수도권 외곽지역인 포천시, 동두천시 등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2023년의 통계자료에서는 포항시가 소멸 위험지역으로 들어가게 되었고 경북 상주시는 소멸 고위험지역으로 들어갔습니다. 강원도 일부 군들이 소멸 고위험지역으로 추가 지정되었습니다.
소멸위험지역 현황
(2023년 2월 기준)
지방소멸위험분류 | 시군구 | 읍면동 | |||
개수 | (비율) | 개수 | (비율) | ||
1 | 0 | 0.0% | 166 | 4.6% | |
2 | 17 | 7.5% | 328 | 9.2% | |
3 | 93 | 40.8% | 1,135 | 31.7% | |
4 | 67 | 29.4% | 778 | 21.7% | |
5 | 51 | 22.4% | 1,173 | 32.8% | |
소멸위험지역 소계(4+5) |
118 | 51.8% | 1,951 | 54.5% | |
전체 | 228 | 100% | 3,580 | 100% |
신규 소멸 위험(0.2~0.5) 진입한 지자체
(2020년 대비 2022년)
이제는 중소 시 단위까지 소멸 위험지역으로 들어갑니다.
시군구 | 전체인구 (명) |
가임여성 인구 |
65세 이상 인구 |
소멸위험 지수 |
통영시 | 124,872 | 8% | 22% | 0.387 |
포천시 | 148,527 | 9% | 21% | 0.44 |
충주시 | 208,946 | 10% | 21% | 0.451 |
나주시 | 116,497 | 11% | 23% | 0.465 |
당진시 | 166,971 | 9% | 20% | 0.468 |
속초시 | 82,737 | 10% | 20% | 0.472 |
여수시 | 276,145 | 10% | 21% | 0.482 |
동두천시 | 93,346 | 10% | 22% | 0.483 |
익산시 | 277,151 | 10% | 21% | 0.489 |
서산시 | 176,452 | 10% | 19% | 0.492 |
군산시 | 264,656 | 10% | 20% | 0.494 |
2020년 대비 소멸 위험지역의 증감
구분 | 2020 | 2022 | 2023 |
소멸 위험 |
80 | 68 | 67 |
소멸 고위험 |
22 | 45 | 51 |
위험지역 소계 |
102 | 113 | 118 |
118개 시군구/ 228개 시군구 = 51.8% 라구요?
51.8%는 수치 상 한계를 보여주는 거죠. 지방이라 하면 최소한 대도시의 자치구는 지방에서 빼야 하지 않을까요? 그래서 6대 광역시의 소속 군지역을 제외한 자치구만 해도 69개입니다. 세종시를 더하면 70개입니다. 228개 자치 시군구에서 대도시의 자치구를 뺀 158개 지자체와 비교하면,
지방의 74.7%가 소멸 위험지역입니다.
2곳 중 1곳이 소멸하는 게 아니라 4곳 중에서 3곳이 소멸 예정입니다. 뒷집, 이쪽 옆집, 저쪽 옆집이 다 빈집이고 앞집에만 사람이 산다는 거죠. 다른 말로 하면 대도시 근교 아니면 전부 소멸한다는 말입니다.
연구결과의 결론이 “일자리를 중심으로 대안적 전략의 마련이 시급하다”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말이 쉬운 일이죠. 수도권 규제를 다 풀어놓고, 전국을 서울 중심으로 도로, 철도망을 만드는데 해결이 될까요?
백약이 무효합니다. 이런 정치, 경제, 문화, 교육의 일극체계를 가진 나라가 도시국가 말고 또 있기나 한지 모르겠습니다. 있네요. 옆 나라 일본! 중국, 스페인 정도?
전구 소멸 위험지역 지도
먼저 소멸 위험지수에 대해 알아봅니다. 가임여성의 숫자 대비 노인들 숫자의 비입니다. 한마디로 노인들이 죽으면 그 수를 채우는 비율이라 하겠습니다. 많아야 하겠지요. 그 비율이 1 이상이어야 공동체가 유지될 겁니다.
소멸위험지수 ▶ 20~39세 여성인구 수 /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 소멸위험지수 값이 1.0 이상 ▶ 정상 소멸위험지수 값이 1.0 미만으로 하락하는 경우 ▶ 그 지역은 인구학적인 쇠퇴위험 단계에 진입 되었음을 의미 소멸위험지수 값이 0.5 미만일 경우 ▶앞으로 소멸해 갈 것입니다. 소멸위험지수 값이 0.2 미만일 경우 ▶ 지금 노인들 뿐이고 공동체는 소멸 중이라는 말이다. |
명칭 | 소멸위험지수 | 구분 |
소멸 저위험 | 1.5 이상 | ----------- |
정상 지역 | 1.0 ~ 1.5 미만 | ----------- |
소멸 주의 | 0.5 ~ 1.0 미만 | ----------- |
소멸 위험 지역 진입 |
0.2 ~ 0.5 미만 | ----------- |
소멸 고위험 지역 |
0.2 미만 | ----------- |
지도에서 고향이 사라져 가는지 봅니다.
대도시라도 안심할 수가 없다. 대도시의 일부 구도심도 소멸의 강가에 와 있습니다. 2010년 전국 소멸 지도 그림입니다. 0.5 이하의 지자체가 제법 있습니다. 이때 과감하게 수도권 분산 정책을 펴야 하는데 2MB 각하께서는 땅 파시느라 수도권 규제를 풀어 버렸지요. 본 게임이 시작된 겁니다.
* 2010년 기준 지방소멸지도
그리고 10년이 지나면서
본격적으로 지방 소멸이라는 말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저 유명한 일본국의 책, 마스다 히로야가 쓴 <지방소멸>에 대하여 한마디 한 일본인이 있었지요. 이대로 가면 결국은 "도쿄도 축소되고, 일본은 파멸한다."는 말처럼 우리나라도 똑같은 모양으로 가고 있습니다.
아래 지도는 12년이 지난 2022년 3월의 지방소멸 지도입니다.
정상지역인 연두색, 녹색 지역을 확인하기가 더 쉬워 보입니다. 아예 녹색지역은 없습니다. 소멸 위험지역(진입지역과 고위험지역)인 주황색, 빨간색 지역이 전국의 49.6%인가요?
* 2022년 기준 지방소멸지도
눈에는 70~80% 수준입니다.
* 2023년 기준 지방소멸지도
빨간색의 소멸 고위험지역이 늘어납니다. 특별히 경북은 상주시가 소멸 고위험지역에 포함되었습니다. 강원도지역에 소멸 고위험지역이 확대되고 있는 중입니다.
경상도 지역에서는 시 단위의 자치단체에서 소멸 위험지역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포항시, 거제시, 김해시가 포함되었습니다. 이들 지역의 특징은 인구가 적지는 않으나 젊은 층이 빠르게 이탈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곧 사라질, 제일 먼저 사라질 지역
(아마 지역의 이름이 먼저 사라지겠지요.) 우리의 고향이 어디인지를 확인해 봅니다.
소멸 위험지수 0.2 이하의 소멸 고위험지역 45개 지역입니다.
소멸 지수 0.2라는 수치는 노인인구가 40%가 넘는다는 말입니다. 50% 가까이 될 수도 있으며, 어느 지역에는 둘 중 한 사람은 노인이라는 말입니다.
대부분의 인구학자들이 꼽은 첫 번째로 사라질 동네는 경북 영양군과 군위군을 첫 번째로 사라질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영양군은 아마도 청송군, 영덕군, 영양군 3개의 군이 합쳐져서 청양덕군으로 개명을 하지 않을까 하며, 군위군은 의성군 군위읍으로 될 수도 있겠습니다.
그다음은 첩첩산중인 무주, 진안, 장수군이 아닐까 합니다. 앞으로 그 동네는 인적이 드문, 아마 호랭이가 살만한 진짜 첩첩산중이 될 겁니다. 뒤를 이어 전남 남해안 시군과, 전북평야지대의 농촌 등 여러 지자체가 따라 소멸되겠지요.
지역 | 시군구 | 인구 | 노인인구 (추정) |
- | - | - | - |
인천광역시 | 강화군 | 68,940 | 27,576 |
- | - | - | - |
충청북도 | 괴산군 | 38,369 | 15,348 |
충청북도 | 단양군 | 30,159 | 12,064 |
충청북도 | 보은군 | 33,587 | 13,435 |
충청북도 | 영동군 | 49,215 | 19,686 |
- | - | - | - |
충청남도 | 금산군 | 53,064 | 21,226 |
충청남도 | 부여군 | 67,806 | 27,122 |
충청남도 | 태안군 | 63,026 | 25,210 |
충청남도 | 서천군 | 53,660 | 21,464 |
충청남도 | 청양군 | 31,848 | 12,739 |
- | - | - | - |
경상북도 | 고령군 | 32,837 | 13,135 |
경상북도 | 군위군 | 23,766 | 9,506 |
경상북도 | 봉화군 | 32,699 | 13,080 |
경상북도 | 성주군 | 44,410 | 17,764 |
경상북도 | 영덕군 | 37,900 | 15,160 |
경상북도 | 영양군 | 17,227 | 6,891 |
경상북도 | 의성군 | 52,799 | 21,120 |
경상북도 | 청도군 | 43,105 | 17,242 |
경상북도 | 청송군 | 25,688 | 10,275 |
- | - | - | - |
전라북도 | 고창군 | 56,801 | 22,720 |
전라북도 | 무주군 | 24,503 | 9,801 |
전라북도 | 부안군 | 54,125 | 21,650 |
전라북도 | 순창군 | 29,026 | 11,610 |
전라북도 | 임실군 | 28,875 | 11,550 |
전라북도 | 장수군 | 22,954 | 9,182 |
전라북도 | 진안군 | 25,891 | 10,356 |
- | - | - | |
전라남도 | 강진군 | 35,886 | 14,354 |
전라남도 | 고흥군 | 65,745 | 26,298 |
전라남도 | 곡성군 | 29,462 | 11,785 |
전라남도 | 구례군 | 26,634 | 10,654 |
전라남도 | 보성군 | 42,582 | 17,033 |
전라남도 | 신안군 | 41,076 | 16,430 |
전라남도 | 완도군 | 51,296 | 20,518 |
전라남도 | 장흥군 | 39,091 | 15,636 |
전라남도 | 진도군 | 31,103 | 12,441 |
전라남도 | 함평군 | 33,233 | 13,293 |
전라남도 | 해남군 | 71,432 | 28,573 |
- | - | - | - |
경상남도 | 고성군 | 53,196 | 21,278 |
경상남도 | 남해군 | 43,958 | 17,583 |
경상남도 | 산청군 | 35,803 | 14,321 |
경상남도 | 의령군 | 27,550 | 11,020 |
경상남도 | 창녕군 | 63,031 | 25,212 |
경상남도 | 하동군 | 47,135 | 18,854 |
경상남도 | 함양군 | 39,954 | 15,982 |
경상남도 | 합천군 | 45,743 | 18,297 |
이게 다가 아니죠.
소멸 위험지역에 진입한, 소멸 지수 0.2~0.5 이하 지자체는 더 많습니다.
68개 지자체입니다.
강원도는 춘천, 원주를 제외한 전 지역이 여기에 속하고
수도권은 경기도 북동부 외곽지역 전체 지자체
충청도는 천안, 아산, 대전, 세종, 청주 인근을 제외한 지역
전라북도는 전주를 제외한 전 지역
전라남도는 순천, 광양, 광주, 목포, 무안을 제외한 전 지역
경상북도는 대구, 구미, 포항을 제외한 전 지역
경상남도는 남동해안과 진주를 제외한 내륙 전 지역
시간의 차이가 있을 뿐 이대로 가다가는 지방 전 지역이 소멸로 가고 대한민국은 수도권, 서울공화국으로 전락하고 맙니다. <지방소멸>에 대하여 일본인이 한 말이 있습니다. " 결국에는 도쿄도 축소되고 일본은 파멸한다." 그 말 그대로 결국에는 "서울공화국도 축소되고 대한민국은 도시국가로 전락하고 마는 것"이죠.
옆집에서 그 실체를 보여주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정치는 자기 밥그릇 챙기기에만 골몰하죠. 국민들에게 공동체 의식은 개나 줘버리라는 메시지를 던져주고는 나 몰라라 하는 행태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지금이라도 정신 챙겨서 지방을 살려야 서울이 살고, 서울이 살아야 대한민국이 살아가는 길이라는 사실을 직시하고 정책을 펴 주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아래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성과물 > 연구사업보고서 (keis.or.kr)
'통계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 시군별 인구수, 증감률 (0) | 2022.06.08 |
---|---|
충청남도 시군별 인구수와, 증감 (0) | 2022.06.07 |
전국 시도별 인구수, 2023년 대한민국 인구수 (0) | 2022.06.07 |
충청북도 시군별 인구수와 증감 - 2022년 (0) | 2022.06.07 |
전국 시군별 인구수 - 강원도 시군별 인구수, 변동 (0) | 2022.06.06 |
대한민국 출산율 - OECD 비교 Data (0) | 2022.06.06 |
2222년 02-22의 대한민국 인구수는? (0) | 2022.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