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군별 인구수
강원도 시군별 인구수와 증감률을 알아봅니다.
인구 기준은 2010년 대비 2022년입니다.
1. 강원도 시군별 인구수와 증감
2010년 대비 2020년에는 강원도 전 시군의 인구 감소분이 전부 원주시의 인구증가로 이전된 듯한 수치를 보입니다. 춘천시가 10년간 1만 5천, 원주시가 4만 4천여 명 증가할 때 다른 시군은 5만여 명이 줄어들었습니다. 강원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은 원주시이고, 가장 적은 인구를 가지 지자체는 양구군입니다.
전체적으로 자족시설을 갖춘 원주, 춘천 정도는 늘어났으며 원주와 가까운 횡성군이 같이 늘어났습니다. 오지마을 중 하나인 인제군의 인구가 조금 늘었다는 점이 특별하긴 합니다.
나머지 시군은 시 지역이든 군지역 이든 간에 전부 인구가 감소합니다. 태백시는 인구 자체가 작았는데 20% 가까이 감소하였고, 삼척시도 10% 가까이 줄어들었습니다. 인구 3만 명 이하의 시군은 화천군, 양양군, 고성군, 양구군입니다.
양구군의 인구는 2만 명도 위태로워 보이고 이 추세라면 인제군, 정선군, 영월군의 인구도 곧 3만 명 아래로 내려갈 것 같습니다. 대도시의 하나의 자치동의 인구보다 적을 수도 있습니다.
(단위: 명)
구분 | 2010년 | 2015년 | 2022년 |
춘천시 인구수 |
269,950 | 277,997 | 285,372 |
원주시 인구수 |
314,678 | 332,995 | 358,659 |
강릉시 인구수 |
218,503 | 214,560 | 212,642 |
동해시 인구수 |
95,236 | 93,895 | 89,804 |
태백시 인구수 |
50,864 | 47,501 | 40,331 |
속초시 인구수 |
84,302 | 81,992 | 82,737 |
삼척시 인구수 |
72,046 | 70,839 | 64,264 |
홍천군 인구수 |
69,893 | 70,336 | 68,047 |
횡성군 인구수 |
44,254 | 45,777 | 46,401 |
영월군 인구수 |
40,407 | 40,216 | 38,003 |
평창군 인구수 |
43,622 | 43,500 | 41,136 |
정선군 인구수 |
41,045 | 39,197 | 35,446 |
철원군 인구수 |
48,928 | 48,799 | 42,964 |
화천군 인구수 |
24,364 | 27,020 | 24,046 |
양구군 인구수 |
21,843 | 24,089 | 21,701 |
인제군 인구수 |
31,842 | 33,255 | 32,216 |
고성군 인구수 |
30,112 | 30,060 | 27,366 |
양양군 인구수 |
27,929 | 27,479 | 27,901 |
소계 | 1,529,818 | 1,549,507 | 1,539,036 |
2. 강원도 시군별 인구수와 증감률
현재 강원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자체는 원주시이며 가장 적은 인구를 가진 지자체는 양구군입니다. 증감률에서도 원주시가 13% 이상 증가하였습니다. 수도권과 전철이 연결된 원주시는 이제 수도권이라고 해도 될 듯합니다.
가장 많은 감소율을 보인 곳은 태백시입니다. 2010년대비 20% 넘게 인구가 감소하였습니다.
2010년 대비 10% 정도의 인구감소율을 보인 시군은 태백시, 삼척시, 정선군, 철원군, 고성군입니다. 도농 간의 격차가 많이 발생하지만 강원 영동지방의 인구는 시군 구분 없이 전체가 감소하는 중이고 산간지방의 시군은 앞으로도 계속 감소하여 3만 명 이하로 수렴되어 통폐합되거나 소멸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도 감소하는 시군은 현재 인구보다 더 감소할 것 같습니다.
(단위: 명)
구분 | 증감 | 증감률 |
춘천시 | 15,422 | 5.71% |
원주시 | 43,981 | 13.98% |
강릉시 | ▼5,861 | -2.68% |
동해시 | ▼5,432 | -5.70% |
태백시 | ▼10,533 | -20.71% |
속초시 | ▼1,565 | -1.86% |
삼척시 | ▼7,782 | -10.80% |
홍천군 | ▼1,846 | -2.64% |
횡성군 | 2,147 | 4.85% |
영월군 | ▼2,404 | -5.95% |
평창군 | ▼2,486 | -5.70% |
정선군 | ▼5,599 | -13.64% |
철원군 | ▼5,964 | -12.19% |
화천군 | ▼318 | -1.31% |
양구군 | ▼142 | -0.65% |
인제군 | 374 | 1.17% |
고성군 | ▼2,746 | -9.12% |
양양군 | ▼28 | -0.10% |
소계 | 9,218 | 0.60% |

수도권에서 가까운 원주, 횡성은 인구가 증가한 반면, 나머지 지역은 전체적으로 감소를보여 줍니다. 태백, 정선, 철원 지역이 많은 비율로 줄어들고 있습니다. 삼척시, 고성군도 감소비율은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는 각 시군의 읍면동별 인구수입니다.
구분 | 구분 |
춘천시 | 홍천군 |
원주시 | 횡성군 |
강릉시 읍면동별 인구수 |
영월군 읍면별 인구수 |
동해시 동별 인구수 |
평창군 |
태백시 | 정선군 |
속초시 | 철원군 |
삼척시 | 양양군 |
- | 화천군 |
- | 양구군 |
고성군 | 인제군 |
아래는 전국 지자체의 인구수와 대한민국 인구자료입니다.
전국 시도별 인구수, 대한민국 인구수 2022년
전국 시군별 인구수와 증감 2010년, 2020년 대비 2022년 1. 대한민국 인구수 2020년 대한민국 인구는 정점을 찍었습니다. 정부 예측 2027년에 정점을 찍고 내려온다는 예상을 7년이나 앞당겨 정점을 찍
karl5044.tistory.com
◆◆
이 자료는 통계청 자료를 사용합니다.
'통계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 시군별 인구수, 증감률 (0) | 2022.06.08 |
---|---|
충청남도 시군별 인구수와, 증감 (0) | 2022.06.07 |
전국 시도별 인구수, 2023년 대한민국 인구수 (0) | 2022.06.07 |
충청북도 시군별 인구수와 증감 - 2022년 (0) | 2022.06.07 |
대한민국 출산율 - OECD 비교 Data (0) | 2022.06.06 |
전국 시군 소멸 위험지역 51.8%, 2023년 2월 현재, (0) | 2022.05.04 |
2222년 02-22의 대한민국 인구수는? (0) | 2022.02.22 |